연성 (일본어의 음운)

연성(連声 (れんじょう) 렌조[*])은 일본어연음의 하나이다. 두 개의 한자로 이루어지는 단어의 첫 번째 글자가 자음으로 끝나며 또한 두 번째 글자가 행·행·행일 때에 그것이 행·행·행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언어학적으로는 장자음화의 하나이다.

개요 편집

헤이안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에 걸친 일본어에서는 한자음(음독)이 -t, -n, -m 중 하나의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가 있었다. 이들의 한자 뒤에 모음(행) 또는 반모음(행, 행)으로 시작되는 한자가 이어지면 그 한자가 각각 행, 행, 행으로 변화하는 경우가 있었다. 행으로부터 행·행으로 변화할 때는 요음이 됐다.

에도 시대 이후에는 -t는 독립 음절 또는 로 변했고, 또 -m 및 -n은 일반적으로 으로 발음되게 됐고, 한어의 연성은 거의 보이지 않게 됐지만 일부 한어에는 지금도 흔적이 남아 있다.

또란 무로마치 시대에는 한어 내에서뿐만 아니라 한어 뒤에 조사 , 가 이어질 때에도 연성이 나타났다. 이 현상은 오늘날에는 , 교겐 등의 일본 고전 연극이나 극히 일부 지역의 일본어의 방언에만 남아 있다.

  • 念仏を →염불을ねんぶっ (but+wo)
  • 今日は(こんにちは) →오늘은/안녕하세요こんにっ (nit+wa)
  • 冥見を →명견을みょうけん (ken+wo)

예시 편집

아래의 예시는 역사적 가나 표기법으로 표기하며, -n을 으로, -m을 로 구별하여 적는다.

첫 번째 글자가 -n으로 끝날 때 편집

  • 銀杏 →은행(나무): ぎん+あんぎん
  • 観音 →관음: くゎん+おむくゎん
  • 云々 →운운: うん+うんうん
  • 反応 →반응: はん+おうはん
  • 天皇 →천황: てん+わうてん
  • 輪廻 →윤회: りん+ゑりん
  • 因縁 →인연: いん+ゑんいん

첫 번째 글자가 -m으로 끝날 때 편집

  • 三位 →삼품: さむ+ゐさむ
  • 陰陽 →음양: おむ+やうおむゃう

첫 번째 글자가 -t로 끝날 때 편집

  • 雪隠 →뒷간: せつ+いんせっ
  • 屈惑 →진절머리: くつ+わくくっ (→ 屈託)

참고 문헌 편집

  • 나가다 노리오; 하야시 치카후미 (2000) [1982]. 《日本の漢字》 [일본의 한자] (일본어). 추코 문고. 287~28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