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성 경련체온 상승과 관련이 있지만 두개내 감염은 없는 발작이다. 열성 경련은 어린이의 2-7%에 영향을 미치며[1] 여아보다 남아에게 더 흔하다.[1] 생후 6개월에서 5세 사이의 소아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18개월 전후에 발생률이 더 높다.[2][3] 대부분의 발작은 5분 미만 지속되며 소아는 일반적으로 빠르게 회복된다.[1][2]

열성 경련에는 단순 및 복합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4][5] 단순 열성 발작은 다른 건강한 어린이에게 15분 미만 지속되는 전신 발작이 한 번 발생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4][5] 복합 열성 경련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신체 한쪽의 경련, 15분 이상의 지속 시간 또는 24시간 이내에 2회 이상의 발작과 같은 국소 증상.[4][5] 약 60-70%는 단순 열성 경련으로 분류되고 30-40%는 복합 경련으로 분류된다.[5][6]

열성 경련은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열에 의해 유발된다.[7][8] 기본 메커니즘은 완전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유전학, 환경 요인, 뇌 미성숙 및 염증 매개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8][9][10] 체온의 급격한 상승과 하강은 열성 경련 발생의 주요 메커니즘이 아니다. 진단에는 뇌 감염이 없는지, 이전에 열이 없는 발작이 없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포함된다.[11][7] 일반적으로 혈액 검사, 뇌 영상 또는 뇌파도(EEG)는 필요하지 않다.[7][9] 발열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가 중요하다. 건강해 보이는 어린이의 경우 요추 천자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7][9]

한 번의 열성 발작 후 어린 시절에 또 다른 열성 발작을 일으킬 확률은 약 35%이다.[12][13] 더 이상의 열성 발작을 예방하기 위해 항경련제나 해열제는 권장되지 않다.[14][15][16] 발작 중에 소아의 몸을 빠르게 식히려는 노력은 광범위하게 연구되지 않았지만 권장되지는 않다.[17] 열성 발작이 있는 아동의 장기적 예후는 일반적으로 다른 아동과 비슷한 학업 성취도를 보이며 우수하다.[18] 열성 발작이 있는 어린이는 간질 위험이 약 1%인 일반 인구에 비해 2~3%로 약간 증가한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다.[19][20][21]

징후 및 증상 편집

일반적으로 어린이의 체온은 38 °C (100 °F) 이상이다.[22] 대부분 열이 있을 경우 39 °C (102 °F) 도 이상이다.[22] 대부분의 열성 경련은 열이 난 후 처음 24시간 동안 발생한다.[22] 전형적인 발작 활동의 징후로는 의식 상실, 위로 향한 눈, 불규칙한 호흡, 입에서 분비물 증가 또는 거품이 생기고 소아가 창백하거나 파랗게 보일 수 있다(청색증).[23] 때때로 팔과 다리의 리드미컬한 움직임으로 몸이 경직된다. 소아는 실금(젖거나 스스로 흙을 묻힘)할 수 있으며 토할 수도 있다.[23] 발작 후 소아는 몇 분 동안 생명이 없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발작 후 상태).[23] 열성 발작의 발생은 종종 가족에게 충격이며 발작 후 상태는 종종 발작의 일부로 인식된다.

열성 경련에는 단순과 복합의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24][25] 단순형과 복합형의 구분은 뒤따르는 간질의 위험에 근거한다.[24] 단순 열성 발작은 후기 간질(열이 없는 발작)의 위험이 매우 낮다(~2%).[24][25] 복합 열성 발작 후 간질의 위험은 복합 기능의 수에 따라 달라지며 각 요인에 약 5%의 위험이 추가된다.[24] 따라서 세 가지 요인이 모두 있는 어린이는 약 15%의 후속 간질 위험이 있다. 열성 간질 상태(FSE)는 발작이 30분 이상 지속되는 것을 의미한다.[26] 이는 열성 발작 사례의 최대 5%에서 발생하며 몇 가지 특별한 장기적 문제가 있다.[27][28]

발열의 원인 편집

열성 경련은 일반적으로 38°C( 이상의 열에 의해 유발된다.[29] 발열의 원인은 종종 바이러스성 질환이다.[30] 열성 발작의 가능성은 체온이 얼마나 높은지에 따라 달라지지 않다.[30][31] 오랫동안 체온 상승 속도(즉, 체온이 얼마나 빨리 올라가는가)가 중요하다고 여겨져 왔다.[30][32] 그러나 이것이 주요 동인이 아니라는 것이 이제 분명해졌다. 소아에서 종종 열을 유발하는 질병에는 중이염과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이 포함된다.[33][34] 열성 발작과 관련된 다른 감염에는 세균성 이질, 살모넬라증, 특히 Roseola(HHV6)가 포함된다.[35] 이러한 감염이 열성 발작을 유발하는 방법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35]

기전 편집

열성 경련의 정확한 기본 기전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관련된 다인성 요인으로 생각된다.[36][37] 분명히 열성 발작은 뇌의 성숙과 관련이 있지만 미성숙한 뇌가 열의 영향에 더 취약한 이유는 분명하지 않다.[36] 한 가지 제안은 염증 매개체, 특히 사이토카인이 열성 발작에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38][39] 많은 사이토카인이 있으며 체내에서의 역할은 복잡하다. 일부는 발열에 중요하고 다른 일부는 뇌 흥분성에 영향을 미친다.[39] 열성 발작이 있는 소아는 열성 발작이 없는 소아와 비교하여 일부 사이토카인의 양이 다르다는 몇 가지 증거가 있다.[40] 또한, 열성 발작이 정상적인 발달 동안 뇌의 흥분성 증가로 인해 노화와 관련된 현상이라는 설득력 있는 증거가 있다.[41]

즉각적인 진료 및 진단 편집

소아가 평가 시점에 여전히 발작이 있는 경우 발작을 멈추기 위한 응급 치료를 시작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디아제팜, 로라제팜 또는 미다졸람을 정맥 주사한다.[42] 정맥 접근이 어려운 경우 직장 디아제팜 또는 비강 내 미다졸람 또는 근육 내 미다졸람이 효과적일 수 있다.[43] 발작이 멈추면 열성 발작의 진단은 기록된 최고 온도 값, 발작 및 열의 시기, 발작 특징, 기준선으로 돌아가는 시간, 예방 접종 이력, 질병 노출, 가족력.[44] 열의 원인을 찾고 수막염을 배제하고 신경학적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주의 깊은 신체 검사가 중요하다.[44][45] 열성 발작의 모방에는 떨림, 열성 섬망, 열성 간대성 간대성 근경련, 호흡 정지 발작, 경련성 실신 및 경미한 위장염을 동반한 양성 경련이 포함된다.[44][45][46]

수막염과 뇌염은 어린 아이들이 목이 뻣뻣해지는 것과 같은 수막염의 전형적인 징후를 보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어려울 수 있는 것을 배제해야 한다.[47] 폐렴구균Haemophilus influenzae에 대한 예방 접종을 받은 소아는 수막염을 일으킬 수 있는 다른 박테리아가 있지만 세균성 수막염에 걸릴 위험이 낮다.[48]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이나 뇌염은 발작과 함께 나타날 수 있다.[49] 수막염/뇌염을 배제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뇌척수액 분석을 통한 요추 천자이다.[47] 어린이가 발작에서 빨리 회복하고 정상적으로 행동한다면 세균성 뇌수막염일 가능성이 거의 없으며 요추 천자는 불필요하다.[50][47][48] 의심스러운 경우 수막염 치료 지연의 결과가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요추 천자를 권장한다.[47]

첫 번째 열성 발작 후, 다른 열성 질환 동안 또 다른 열성 발작의 전체 위험은 30-40%이며, 이는 일반적으로 다음 해 내에 발생한다.[51][52] 재발 위험을 증가시키는 가장 일관된 요인은 1세 미만의 연령이다.[51][53] 첫 번째 발작 시, 그리고 첫 번째 열성 발작 전에 짧은 열이 지속된다.[52] 이러한 요인이 전혀 없는 어린이의 재발 위험은 약 20%이고 모든 요인은 약 60-70%의 위험이 있다.[52] 국소 열성 발작이 있는 소아는 재발 위험이 증가할 수 있지만 다른 복잡한 특징(동일한 질병 동안 2회 이상의 발작 및 장기간 열성 발작)이 재발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다.[51]

치료 편집

  • 발작의 시작 시간을 기록하라. 발작이 5분 이상 지속되면 구급차를 부르라.[54] 이전에 처방된 경우에만 직장 디아제팜 또는 비강내 미다졸람을 사용할 수 있다.[54] 추가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즉시 가까운 의료 시설로 아이를 데려가야 한다.[54]
  • 사고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이나 바닥과 같은 보호된 표면에 아이를 점차적으로 눕히라.[54] 경련이 일어나는 동안 아이를 제지하거나 안아주지 마라.[54]
  • 질식을 방지하기 위해 아이를 옆구리나 엎드려 눕히라. 가능하면 아이의 입에서 모든 물체를 부드럽게 제거하라. 경련이 일어나는 동안 아이의 입에 아무것도 넣지 않아야 한다.[54] 이러한 물체는 어린이의 기도를 막고 호흡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54]
  • 이것이 아이의 첫 번째 열성 발작인 경우 즉시 치료를 받고 발작이 끝나면 열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아이를 의사에게 데려가라.[54] 아이가 목이 뻣뻣하거나 무기력이 심하거나 심한 구토 증상을 보이는 경우 특히 시급하다. 이러한 증상은 뇌 표면의 감염인 수막염의 징후일 수 있다.[54]

각주 편집

  1. Camfield, P; Camfield, C (June 2015). “Febrile seizures and genetic epilepsy with febrile seizures plus (GEFS+).”. 《Epileptic Disorders》 17 (2): 124–33. doi:10.1684/epd.2015.0737. PMID 25917466. 
  2. Graves, RC; Oehler, K; Tingle, LE (2012년 1월 15일). “Febrile seizures: risks, evaluation, and prognosis.”. 《American Family Physician》 85 (2): 149–53. PMID 22335215. 
  3. “Guidelines for epidemiologic studies on epilepsy. Commission on Epidemiology and Prognosis,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 《Epilepsia》 34 (4): 592–6. July 1993. doi:10.1111/j.1528-1157.1993.tb00433.x. PMID 8330566. 
  4. Camfield, P; Camfield, C (June 2015). “Febrile seizures and genetic epilepsy with febrile seizures plus (GEFS+).”. 《Epileptic Disorders》 17 (2): 124–33. doi:10.1684/epd.2015.0737. PMID 25917466. 
  5. Graves, RC; Oehler, K; Tingle, LE (2012년 1월 15일). “Febrile seizures: risks, evaluation, and prognosis.”. 《American Family Physician》 85 (2): 149–53. PMID 22335215. 
  6. Bureau, Michelle; Genton, Pierre; Dravet, Charlotte; Delgado-Escueta, Antonio V.; Guerrini, Renzo; Tassinari, Carlo Alberto; Thomas, Pierre; Wolf, Peter (2019년 6월 20일). 《Epileptic Syndromes in Infancy, Childhood and Adolescence - 6th edition》 (영어). John Libbey Eurotext. ISBN 978-2-7420-1609-9. 
  7. Graves, RC; Oehler, K; Tingle, LE (2012년 1월 15일). “Febrile seizures: risks, evaluation, and prognosis.”. 《American Family Physician》 85 (2): 149–53. PMID 22335215. 
  8. Leung, AK; Hon, KL; Leung, TN (2018). “Febrile seizures: an overview.”. 《Drugs in Context》 7: 212536. doi:10.7573/dic.212536. PMC 6052913. PMID 30038660. 
  9. Patel, N; Ram, D; Swiderska, N; Mewasingh, LD; Newton, RW; Offringa, M (2015년 8월 18일). “Febrile seizures.”. 《BMJ (Clinical Research Ed.)》 351: h4240. doi:10.1136/bmj.h4240. PMID 26286537. 
  10. Bureau, Michelle; Genton, Pierre; Dravet, Charlotte; Delgado-Escueta, Antonio V.; Guerrini, Renzo; Tassinari, Carlo Alberto; Thomas, Pierre; Wolf, Peter (2019년 6월 20일). 《Epileptic Syndromes in Infancy, Childhood and Adolescence - 6th edition》 (영어). John Libbey Eurotext. ISBN 978-2-7420-1609-9. 
  11. Camfield, P; Camfield, C (June 2015). “Febrile seizures and genetic epilepsy with febrile seizures plus (GEFS+).”. 《Epileptic Disorders》 17 (2): 124–33. doi:10.1684/epd.2015.0737. PMID 25917466. 
  12. Berg, AT (2008). “Risk of recurrence after a first unprovoked seizure.”. 《Epilepsia》. 49 Suppl 1: 13–8. doi:10.1111/j.1528-1167.2008.01444.x. PMID 18184149. 
  13. Offringa, M; Bossuyt, PM; Lubsen, J; Ellenberg, JH; Nelson, KB; Knudsen, FU; Annegers, JF; el-Radhi, AS; Habbema, JD (April 1994). “Risk factors for seizure recurrence in children with febrile seizures: a pooled analysis of individual patient data from five studies.”. 《The Journal of Pediatrics》 124 (4): 574–84. doi:10.1016/s0022-3476(05)83136-1. PMID 8151472. 
  14. Offringa, Martin; Newton, Richard; Nevitt, Sarah J.; Vraka, Katerina (2021년 6월 16일). “Prophylactic drug management for febrile seizures in children”.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6: CD003031. doi:10.1002/14651858.CD003031.pub4. ISSN 1469-493X. PMC 8207248. PMID 34131913. 
  15. Steering Committee on Quality Improvement and Management, Subcommittee on Febrile Seizure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June 2008). “Febrile seizures: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long-term management of the child with simple febrile seizures.”. 《Pediatrics》 121 (6): 1281–6. doi:10.1542/peds.2008-0939. PMID 18519501. 
  16. Hashimoto, R; Suto, M; Tsuji, M; Sasaki, H; Takehara, K; Ishiguro, A; Kubota, M (April 2021). “Use of antipyretics for preventing febrile seizure recurrence in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180 (4): 987–997. doi:10.1007/s00431-020-03845-8. PMID 33125519. 
  17. Mewasingh, LD (2014년 1월 31일). “Febrile seizures.”. 《BMJ Clinical Evidence》 2014. PMC 3908738. PMID 24484859. 
  18. Patel, N; Ram, D; Swiderska, N; Mewasingh, LD; Newton, RW; Offringa, M (2015년 8월 18일). “Febrile seizures.”. 《BMJ (Clinical Research Ed.)》 351: h4240. doi:10.1136/bmj.h4240. PMID 26286537. 
  19. Camfield, P; Camfield, C (June 2015). “Febrile seizures and genetic epilepsy with febrile seizures plus (GEFS+).”. 《Epileptic Disorders》 17 (2): 124–33. doi:10.1684/epd.2015.0737. PMID 25917466. 
  20. Graves, RC; Oehler, K; Tingle, LE (2012년 1월 15일). “Febrile seizures: risks, evaluation, and prognosis.”. 《American Family Physician》 85 (2): 149–53. PMID 22335215. 
  21. Shinnar, S; Glauser, TA (January 2002). “Febrile seizures.”. 《Journal of Child Neurology》. 17 Suppl 1: S44-52. doi:10.1177/08830738020170010601. PMID 11918463. 
  22. Leung, AK; Hon, KL; Leung, TN (2018). “Febrile seizures: an overview.”. 《Drugs in Context》 7: 212536. doi:10.7573/dic.212536. PMC 6052913. PMID 30038660. 
  23. “Febrile seizures”. 《nhs.uk》 (영어). 2017년 10월 18일. 
  24. Camfield, P; Camfield, C (June 2015). “Febrile seizures and genetic epilepsy with febrile seizures plus (GEFS+).”. 《Epileptic Disorders》 17 (2): 124–33. doi:10.1684/epd.2015.0737. PMID 25917466. 
  25. Graves, RC; Oehler, K; Tingle, LE (2012년 1월 15일). “Febrile seizures: risks, evaluation, and prognosis.”. 《American Family Physician》 85 (2): 149–53. PMID 22335215. 
  26. Patel, N; Ram, D; Swiderska, N; Mewasingh, LD; Newton, RW; Offringa, M (2015년 8월 18일). “Febrile seizures.”. 《BMJ (Clinical Research Ed.)》 351: h4240. doi:10.1136/bmj.h4240. PMID 26286537. 
  27. Mewasingh, LD; Chin, RFM; Scott, RC (November 2020). “Current understanding of febrile seizures and their long-term outcomes.”.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62 (11): 1245–1249. doi:10.1111/dmcn.14642. PMID 32748466. 
  28. Morimoto, T; Nagao, H; Sano, N; Takahashi, M; Matsuda, H (1990). “Hyperthermia-induced seizures with a servo system: neurophysiological roles of age, temperature elevation rate and regional GABA content in the rat.”. 《Brain & Development》 12 (3): 279–83. doi:10.1016/s0387-7604(12)80307-x. PMID 2169710. 
  29. Hashimoto, R; Suto, M; Tsuji, M; Sasaki, H; Takehara, K; Ishiguro, A; Kubota, M (April 2021). “Use of antipyretics for preventing febrile seizure recurrence in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180 (4): 987–997. doi:10.1007/s00431-020-03845-8. PMID 33125519. 
  30. Graves, RC; Oehler, K; Tingle, LE (2012년 1월 15일). “Febrile seizures: risks, evaluation, and prognosis.”. 《American Family Physician》 85 (2): 149–53. PMID 22335215. 
  31. Leung, AK; Hon, KL; Leung, TN (2018). “Febrile seizures: an overview.”. 《Drugs in Context》 7: 212536. doi:10.7573/dic.212536. PMC 6052913. PMID 30038660. 
  32. Morimoto, T; Nagao, H; Sano, N; Takahashi, M; Matsuda, H (1990). “Hyperthermia-induced seizures with a servo system: neurophysiological roles of age, temperature elevation rate and regional GABA content in the rat.”. 《Brain & Development》 12 (3): 279–83. doi:10.1016/s0387-7604(12)80307-x. PMID 2169710. 
  33. Millichap, JG; Millichap, JJ (September 2006). “Role of viral infections in the etiology of febrile seizures.”. 《Pediatric Neurology》 35 (3): 165–72. doi:10.1016/j.pediatrneurol.2006.06.004. PMID 16939854. 
  34. Kinsella, JB; O'Sullivan, P; McShane, DP (May 1995). “The role of the middle ear and tonsil in the etiology of febrile convuls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32 (2): 153–7. doi:10.1016/0165-5876(95)01166-9. PMID 7657469. 
  35. Suga, S; Suzuki, K; Ihira, M; Yoshikawa, T; Kajita, Y; Ozaki, T; Iida, K; Saito, Y; Asano, Y (January 2000). “Clinical characteristics of febrile convulsions during primary HHV-6 infection.”.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82 (1): 62–6. doi:10.1136/adc.82.1.62. PMC 1718177. PMID 10630916. 
  36. Leung, AK; Hon, KL; Leung, TN (2018). “Febrile seizures: an overview.”. 《Drugs in Context》 7: 212536. doi:10.7573/dic.212536. PMC 6052913. PMID 30038660. 
  37. Patel, N; Ram, D; Swiderska, N; Mewasingh, LD; Newton, RW; Offringa, M (2015년 8월 18일). “Febrile seizures.”. 《BMJ (Clinical Research Ed.)》 351: h4240. doi:10.1136/bmj.h4240. PMID 26286537. 
  38. Bureau, Michelle; Genton, Pierre; Dravet, Charlotte; Delgado-Escueta, Antonio V.; Guerrini, Renzo; Tassinari, Carlo Alberto; Thomas, Pierre; Wolf, Peter (2019년 6월 20일). 《Epileptic Syndromes in Infancy, Childhood and Adolescence - 6th edition》 (영어). John Libbey Eurotext. ISBN 978-2-7420-1609-9. 
  39. Saghazadeh, A; Gharedaghi, M; Meysamie, A; Bauer, S; Rezaei, N (2014). “Proinflammatory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s in febrile seizures and epilepsy: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Reviews in the Neurosciences》 25 (2): 281–305. doi:10.1515/revneuro-2013-0045. PMID 24515998. 
  40. Kwon, A; Kwak, BO; Kim, K; Ha, J; Kim, SJ; Bae, SH; Son, JS; Kim, SN; Lee, R (July 2018). “Cytokine levels in febrile seizure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eizure》 59: 5–10. doi:10.1016/j.seizure.2018.04.023. PMID 29727742. 
  41. Jensen, Frances E.; Sanchez, Russell M. (2002). “Why Does the Developing Brain Demonstrate Heightened Susceptibility to Febrile and Other Provoked Seizures?”. 《Febrile Seizures》: 153–168. doi:10.1016/B978-012078141-6/50013-5. ISBN 9780120781416. 
  42. Ahmad, S; Marsh, ED (September 2010). “Febrile status epilepticus: current state of clinical and basic research.”. 《Seminars in Pediatric Neurology》 17 (3): 150–4. doi:10.1016/j.spen.2010.06.004. PMID 20727483. 
  43. McTague, A; Martland, T; Appleton, R (2018년 1월 10일). “Drug management for acute tonic-clonic convulsions including 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in children.”.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CD001905. doi:10.1002/14651858.CD001905.pub3. PMC 6491279. PMID 29320603. 
  44. Bureau, Michelle; Genton, Pierre; Dravet, Charlotte; Delgado-Escueta, Antonio V.; Guerrini, Renzo; Tassinari, Carlo Alberto; Thomas, Pierre; Wolf, Peter (2019년 6월 20일). 《Epileptic Syndromes in Infancy, Childhood and Adolescence - 6th edition》 (영어). John Libbey Eurotext. ISBN 978-2-7420-1609-9. 
  45. Leung, AK; Hon, KL; Leung, TN (2018). “Febrile seizures: an overview.”. 《Drugs in Context》 7: 212536. doi:10.7573/dic.212536. PMC 6052913. PMID 30038660. 
  46. Kang, B; Kwon, YS (July 2014). “Benign convulsion with mild gastroenteritis.”.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57 (7): 304–9. doi:10.3345/kjp.2014.57.7.304. PMC 4127392. PMID 25114690. 
  47. Subcommittee on Febrile, Seizure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February 2011). “Neurodiagnostic evaluation of the child with a simple febrile seizure.”. 《Pediatrics》 127 (2): 389–94. doi:10.1542/peds.2010-3318. PMID 21285335. 
  48. Janowski, A; Newland, J (2017). “Of the Phrensy: an update on the epidemiology and pathogenesis of bacterial meningitis in the pediatric population.”. 《F1000Research》 6. doi:10.12688/f1000research.8533.1. PMC 5288681. PMID 28184287. 
  49. Patel, N; Ram, D; Swiderska, N; Mewasingh, LD; Newton, RW; Offringa, M (2015년 8월 18일). “Febrile seizures.”. 《BMJ (Clinical Research Ed.)》 351: h4240. doi:10.1136/bmj.h4240. PMID 26286537. 
  50. Bureau, Michelle; Genton, Pierre; Dravet, Charlotte; Delgado-Escueta, Antonio V.; Guerrini, Renzo; Tassinari, Carlo Alberto; Thomas, Pierre; Wolf, Peter (2019년 6월 20일). 《Epileptic Syndromes in Infancy, Childhood and Adolescence - 6th edition》 (영어). John Libbey Eurotext. ISBN 978-2-7420-1609-9. 
  51. Offringa, M; Bossuyt, PM; Lubsen, J; Ellenberg, JH; Nelson, KB; Knudsen, FU; Annegers, JF; el-Radhi, AS; Habbema, JD (April 1994). “Risk factors for seizure recurrence in children with febrile seizures: a pooled analysis of individual patient data from five studies.”. 《The Journal of Pediatrics》 124 (4): 574–84. doi:10.1016/s0022-3476(05)83136-1. PMID 8151472. 
  52. Berg, AT; Shinnar, S; Darefsky, AS; Holford, TR; Shapiro, ED; Salomon, ME; Crain, EF; Hauser, AW (April 1997). “Predictors of recurrent febrile seizures. A prospective cohort study.”.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51 (4): 371–8. doi:10.1001/archpedi.1997.02170410045006. PMID 9111436. 2022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2월 8일에 확인함. 
  53. Berg, AT; Shinnar, S; Hauser, WA; Leventhal, JM (March 1990). “Predictors of recurrent febrile seizures: a metaanalytic review.”. 《The Journal of Pediatrics》 116 (3): 329–37. doi:10.1016/s0022-3476(05)82816-1. PMID 2137875. 
  54. “Febrile Seizures”. 《Epilepsy Foundation》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