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론에서 상영근기(上零根基, 영어: upper nilradical)와 하영근기(下零根基, 영어: lower nilradical)는 멱영원들로 구성된, 의 특별한 아이디얼들이다. 가환환의 경우 이 둘은 일치하며, 영근기(零根基, 영어: nilradical)라고 불린다.

정의 편집

 의 왼쪽·오른쪽·양쪽 아이디얼멱영원들로만 구성되어 있다면, 이를 멱영원 왼쪽·오른쪽·양쪽 아이디얼(영어: nil ideal)이라고 한다. (이는 멱영 왼쪽·오른쪽·양쪽 아이디얼과 다르다.)

 상영근기(上零根基, 영어: upper nilradical) 또는 쾨테 근기(영어: Köthe radical)는 모든 멱영원 양쪽 아이디얼들의 합이다.[1]:163, Definition 10.26

 

 하영근기(下零根基, 영어: lower nilradical) 또는 베어-맥코이 근기(영어: Baer–McCoy radical)는 영 아이디얼소근기이다. 즉,  의 모든 소 아이디얼들의 교집합이다.[1]:158, Definition 10.13

 

 레비츠키 근기(영어: Levitzky ideal)는 모든 국소 멱영 아이디얼들의 합이다.[1]:166 여기서 국소 멱영 아이디얼(영어: locally nilpotent ideal)  는 임의의 유한 부분 집합  가 주어졌을 때, 충분히 큰 자연수  에 대하여  이 되는 아이디얼이다.

성질 편집

하영근기 · 레비츠키 근기 · 상영근기는 환의 양쪽 아이디얼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하영근기 ⊆ 레비츠키 근기 ⊆ 상영근기 ⊆ 제이컵슨 근기

상영근기의 모든 원소들은 멱영원이지만, 일반적인 환에서는 상영근기에 속하지 않는 멱영원이 존재할 수 있다.

만약 환  가환환이거나 왼쪽 뇌터 환이거나 오른쪽 뇌터 환이라면, 상영근기 · 하영근기 · 레비츠키 근기가 모두 일치하며, 이를 영근기라고 한다.

쾨테 추측 편집

다음 명제들은 모두 서로 동치이며, 이들이 참인지 여부를 쾨테 추측(영어: Köthe conjecture)이라고 한다.

  • 임의의 환에서, 두 멱영원 왼쪽 아이디얼의 합은 멱영원 왼쪽 아이디얼이다.
  • 임의의 환에서, 모든 멱영원 왼쪽 아이디얼은 상영근기에 속한다.
  • 임의의 환   및 임의의 멱영원 양쪽 아이디얼  에 대하여, 행렬 아이디얼  은 멱영원 아이디얼이다.
  • 임의의 양의 정수   및 임의의 환   및 임의의 멱영원 양쪽 아이디얼  에 대하여, 행렬 아이디얼  은 멱영원 아이디얼이다.

쾨테 추측은 오른쪽 뇌터 환이나 다항 항등식 환에 대하여 증명되었지만, 일반적인 환에 대하여 아직 미해결 문제이다.[2]

가환환의 경우 편집

가환환의 경우, 영근기는 모든 멱영원의 집합과 같으며, 영 아이디얼소근기이다. (이는 비가환환의 경우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참고 문헌 편집

  1. Lam, Tsit-Yuen (2001). 《A first course in noncommutative ring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31 2판. Springer. doi:10.1007/978-1-4419-8616-0. ISBN 978-0-387-95183-6. ISSN 0072-5285. 
  2. Smoktunowicz, Agata (2001). “On some results related to Köthe’s conjecture” (PDF). 《Сердика математическо списание》 (영어) 27: 159–170. ISSN 1310-6600. 

외부 링크 편집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