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스터하우트 49

궁수자리의 강력한 전파원

천문학에서 웨스터하우트 49는 W49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H II 영역의 강력한 은하 열 전파원으로 1958년 가트 웨스터하우트에 의해 발견되었다.

웨스터하우트 49
W49의 UKIDSS JHK 이미지
W49의 UKIDSS JHK 이미지
관측 정보
형태 H II 영역
적경 19h 10m 17s
적위 +09° 06′ 00″
별자리 독수리자리
물리적 성질
명칭 W49, 웨스터하우트 49
메시에 천체 목록
NGC 천체 목록

거리는 약 11,100파섹 또는 36,000광년으로 추정되며[1] 이는 태양과 은하중심으로부터 거의 같은 거리에 있는 은하평면에 있다는 것으로 약 절반 거리에 있는 거대한 H II 영역 NGC 3603과 비교된다. 오래된 초신성 잔해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비열 복사가 발견되었고 기체 분자 발산류와 H2O(물) 메이저가 감지되었다. 광학적 짝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는 부분적으로는 성간 흡수로 인한 것이지만 은하평면에서 그렇게 먼 거리에 있는 밀집된 별들은 일반적인 배경과 거의 구별되지 않는다.[출처 필요]

VLT가 다른 기기와 함께 사용된 2014년에 발표된 연구는 이 별 형성 지역의 중심 성단에 매우 거대한 별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해당 별(W49nr1, [WBB2016] 1로도 알려짐[2])의 매개변수는 지금까지 잘 제한되지 못했지만 태양의 수백만 배의 광도 뿐만 아니라 초기 질량도 태양질량의 100~180배로 추정되며 더 높을수도 있고 알려진 가장 광도가 높고 가장 무거운 별 중 하나다.[3] 이 지역에 위치한 또 다른 별인 [WBB2016] 2는 질량이 태양의 250배에 달하며 알려진 가장 밝고 무거운 별 중 하나다.[4]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Uncloaking the King of the Milky Way: The largest star in our home galaxy's largest stellar nursery”. 《www.nanowerk.com》. 2016년 1월 12일에 확인함. 
  2. Wu, Shi-Wei; Bik, Arjan; Bestenlehner, Joachim M.; Henning, Thomas; Pasquali, Anna; Brandner, Wolfgang; Stolte, Andrea (2016년 5월 1일). “The massive stellar population of W49: A spectroscopic survey”. 《Astronomy and Astrophysics》 589: A16. arXiv:1602.05190. Bibcode:2016A&A...589A..16W. doi:10.1051/0004-6361/201527823. ISSN 0004-6361. 
  3. Wu, S. W.; Bik, A; Henning, T. H.; Pasquali, A.; Brandner, W.; Stolte, A. (2014). “The discovery of a very massive star in W49”. 《Astronomy & Astrophysics》 568: L13. arXiv:1407.4804. Bibcode:2014A&A...568L..13W. doi:10.1051/0004-6361/201424154. S2CID 55277847. 
  4. Wu, Shi-Wei; Bik, Arjan; Bestenlehner, Joachim M.; Henning, Thomas; Pasquali, Anna; Brandner, Wolfgang; Stolte, Andrea (2016년 5월 1일). “The massive stellar population of W49: A spectroscopic survey”. 《Astronomy and Astrophysics》 589: A16. arXiv:1602.05190. Bibcode:2016A&A...589A..16W. doi:10.1051/0004-6361/201527823. ISSN 0004-6361. 
  • A Survey of the Continuous Radiation from the Galactic System at a Frequency of 1390 Mc/s, G. Westerhout, Bull. Astron. Inst. Neth.14, 215, 1958.
  • A Distant HII Region in the Galaxy, K. Akabane and F. J. Kerr (Frank John Kerr), Aust. J. Phys. 18, 91, 1965.
  • Galactic HII Regions. The nature of the Radio Source W49, P. G. Mezger and J. Schraml, Astropys. J.150, 807,1967.
  • High Resolution Observations of the Radio Source W49, C. G. Wynn-Williams, Mon. Not. R. astr. Soc. 142, 453 1969.
  • High Resolution Far-infrared Observations of HII Regions: Sagittarius B2, W49, DR 21- W75, P. M. Harvey, M. F. Campbell and W. F. Hoffman, Astrophys. J. 211, 786, 1977.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