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사랑방/2012년 제46주

사랑방
2012년 제46주
2012년 11월
44 29 30 31 1 2 3 4
45 5 6 7 8 9 10 11
46 12 13 14 15 16 17 18
47 19 20 21 22 23 24 25
48 26 27 28 29 30 1 2


광무개혁 페이지 확장 및 수정 편집

안녕하세요. 전 지금 저와 함께 광무개혁대한제국 페이지를 수정-확장하실 분을 찾고 있습니다.

제가 예전에 영어로 시대표와 페이지를 하나 따로 만든게 있는데, http://en.wikipedia.org/wiki/Timeline_of_the_Gwangmu_Reform http://en.wikipedia.org/wiki/Gwangmu_Reform 입니다. 번역이 필요하시면 제가 해 드릴 수 있지만, 영어를 하실 줄 아시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ㅋㅋ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114.92.163.71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Asadal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Wikivoyage 편집

일단 알려는 드려야 할 것 같아서 알려드립니다. Wikivoyage가 출범하였습니다. Wikivoyage는 여행 관련 프로젝트입니다. 기존 사이트인 Wikivoyage가 위키미디어 재단의 프로젝트가 된 것입니다. 그러나 Wikivoyage는 위키데이터(Wikidata)처럼 다언어판 프로젝트가 아닙니다. 그래서 한국어판은 별도의 Wikivoyage를 설립할 수 있으며, 그 단계를 밟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생각하건대, 설립을 위한 절차를 밟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생각합니다. 위키백과 활동자이면서 동시에 위키백과 자매 프로젝트인 위키문헌, 위키인용집, 위키뉴스의 기여자로서 보건대, 새로운 프로젝트를 더 늘리는 것은 현재 시점에서 절대적으로 지양되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굳이 설립을 원하는 분이 계신다면 설립을 도와드릴 수는 있으나, 아시다시피 Wikivoyage 이전에 한국어판은 위키배움터(Wikiversity)도 2007년 2월 이래로 베타상태에 머물러 있는 판국입니다. 더욱이 설립된 프로젝트들인 위키문헌, 위키인용집, 위키뉴스는 황무지 그 이상의 표현이 무색하지 않은가 싶습니다. 그 중에 다행히 위키문헌에서는 7일 내 평균적 활동적 기여자가 3명이라는 경이로운 숫자를 기록하고 있어 살아 있는 프로젝트이고, 위키인용집은 7일 내 평균적 활동적 기여자가 0.4명에 육박하는 등 그런 실정입니다. 위키배움터도 설립하면 기여자가 평균 1 이하로 떨어질 것이 염려되는데, 과연 이 시점에서 Wikivoyage 설립 운동을 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설립 운동을 극구 반대하여 나설 의사는 없으나 혹 설립 운동을 하실 분께서는 다른 자매 프로젝트의 상황을 깊이 고려하시고 선택을 하심이 옳을 것입니다. --Sotiale (토론) 2012년 11월 12일 (월) 16:47 (KST)답변

위키여행에 관해서는 지난 주에 올린 글을 참고하시고요. 비키부아야주는 위키트래블에서 fork된 프로젝트이고, 위키트래블에는 200개가 넘는 한국어 문서가 존재합니다. 둘 다 CC-BY-SA를 쓰는 프로젝트이므로, 위크트래블의 한국어 문서를 씨앗삼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의 버스/철도 등 교통 관련 편집자들을 봐서는 다른 프로젝트에 비해 참여자를 모으는게 어려워보이지는 않네요. -- ChongDae (토론) 2012년 11월 12일 (월) 17:06 (KST)답변
바쁘다보니 뭐랑 뭐랑 자꾸 헷갈리네요... 여튼, 글쎄요.. 위키백과 편집자가 그쪽으로 넘어가 활동하거나 혹은 동시에 활동해줄런지요. 인큐베이터에서의 설립 과정에서의 활발함과 그 유지는 전혀 다르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잘 모르겠네요.. --Sotiale (토론) 2012년 11월 12일 (월) 17:18 (KST)답변
위키트래블을 편집했던 사용자 중에 현재도 위키백과에서 활동하는 분들이 여럿 있습니다.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추방된 사용자도 일부 보이긴 합니다. 아~) -- ChongDae (토론) 2012년 11월 12일 (월) 18:42 (KST)답변
그러고 보니, 지난 주에 ChongDae 님과 제가 협업하여 위키트래블 문서를 발전시켰었군요. -- 아사달(Asadal) (토론) 2012년 11월 13일 (화) 01:47 (KST)답변

한자어를 해당 한글 문서로 넘겨주기 만드는 것에 대한 총의가 있나요? 편집

네이버에서 "적정"이라는 단어로 검색을 하니 검색결과의 지식백과 섹션에 너무 많은 항목들이 나와 찾기가 어려워, 다시 원하는 한자어인 "寂靜"으로 검색했더니 검색결과에서 위키백과의 적정 문서는 빠져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한자어를 한글 문서로 넘겨주기 만드는 것에 대한 총의가 있나요? --배우는사람 (토론) 2012년 11월 12일 (월) 16:49 (KST)답변

한자나 로마자로 된 넘겨주기는 기본적으로 허용하지 않는 것으로 총의가 모아져 있습니다. 위키백과:넘겨주기 및 사랑방의 과거 토론을 참고하세요. -- ChongDae (토론) 2012년 11월 12일 (월) 17:07 (KST)답변

중재위원 추가 선거 편집

오늘까지 중재위원 추가 선거에 입후보한 두 회원을 위한 청문회(?) 공간을 마련했습니다. 후보자에게 궁금한 점이 있다면 질문을 올려주세요. 그리고 혹시 출마할 뜻이 있거나, 추천할만한 좋은 후보가 있다면 선거 개시 전까지 입후보 란에 후보자 이름을 올려주세요. 선거는 다음 주인 11월 20일 화요일부터 시작됩니다. -- ChongDae (토론) 2012년 11월 12일 (월) 17:00 (KST)답변

위키서울 편집

뭐가 위키인가 하고 한참 봤는데 위키 시스템은 아닌거 같구요. 한국인에게 위키란 무엇일까요. 잇-아이템일까요? -_- http://wikiseoul.com --거북이 (토론) 2012년 11월 12일 (월) 17:56 (KST)답변

위키리크스 이후 위키가 꽤나 여기저기서 고생하고 다니는군요. (위키리크스는 그래도 시작은 위키였지만..) 그러고보니 "2.0" 유행은 어느새 사그라들었네요. -- ChongDae (토론) 2012년 11월 12일 (월) 18:10 (KST)답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WIKI=it-item--mineralsab (토론) 2012년 11월 12일 (월) 20:04 (KST)답변
그러고 보니까 떠오른 잡담인데, 저는 한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가 네이버 개인 블로그를 위키라는 제목을 달고 운영한 것도 본 적이 있군요. --Pectus Solentis (한결같은 자의 가슴) 2012년 11월 13일 (화) 08:55 (KST)답변

위키백과:봇 편집 요청 편집

제가 엊그제 위키백과:봇 편집 요청/2012년 11월에다가 요청을 해 놓았는데도 아직까지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은 것 같은데 어떻게 된 건가요? 봇 편집 요청을 한게 이번이 처음이라서 바로 처리될 거라고 생각을 했었습니다.--Khlee560 (토론) 2012년 11월 12일 (월) 20:39 (KST)답변

아, 죄송합니다. 곧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최근에 바빠서 확인이 늦었네요.. :P --Sotiale (토론) 2012년 11월 12일 (월) 20:41 (KST)답변

위키데이터 임시 관리자 선거 편집

한국어 화자 세 명이 임시관리자 선거에 나왔네요. 자세한 사항은 위키데이터 사랑방을 참고해주세요. --Sotiale (토론) 2012년 11월 12일 (월) 23:11 (KST)답변

유니폴리 또 일냈습니다 편집

'사람 위키'란 총문서 14개밖에 안 되는 작은 위키인데, 어김없이 적혀 있는 정경훈 천재 드립을 보고 유니폴리임을 직감했고, 이제는 저에 대한 비방까지 개시하고 있군요.

제가 경계선 성격장애 과거 유병자인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아스퍼거 증후군전혀 유병한 사실이 없으며, 제가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라는 주장은 특정 집단에서 저를 음해하기 위해서 제기한 주장입니다. 뭐 이건 개인사니까 상관없고, 지금까지 유니폴리의 패턴을 보면 저 위키에서 위키백과의 다른 사용자 분들도 음해하지 않을까 싶어서 알려드립니다. 아니, 총문서 14개 정도의 작은 위키로 보기에는 위키백과 사용자가 차지하는 분량이 너무 많네요. --Pectus Solentis (한결같은 자의 가슴) 2012년 11월 13일 (화) 08:16 (KST)답변

  타 사이트에 저를 비방했다는 사실을 자랑스럽게 적시하기까지 했습니다. 제가 직접 찾아가서 객관적으로 사실만 적시하니까 (DC 심갤에서 활동한 거 사실이고, 백괴사전에서 엔하 깠다가 관리자직 스스로 내려놓는 거 사실이고, 경계선 성격장애 과거 유병자인 거 사실이고, 아스퍼거 증후군 엄청 까고 다니는 거 사실이에요.) 지가 쫄았는지 제 문서는 삭제하던데. --Pectus Solentis (한결같은 자의 가슴) 2012년 11월 13일 (화) 10:04 (KST)답변

이미 추방당한 사용자에 대해 공동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관심이 최고 아닐까요? 자꾸 언급해줘봐야 좋을 게 없습니다. 혹시 위키아 쪽의 정책을 살펴봐서 위키아에서 삭제할 수 있는지 살펴보시거나요. -- ChongDae (토론) 2012년 11월 13일 (화) 10:49 (KST)답변
이제 추가적인 Sock Puppet 가능성마저도 모두 봉쇄된 상황인가요? --Pectus Solentis (한결같은 자의 가슴) 2012년 11월 13일 (화) 12:36 (KST)답변

  좋은 유니폴리 인증입니다. --Pectus Solentis (한결같은 자의 가슴) 2012년 11월 13일 (화) 12:36 (KST)답변

위키백과와 관련 없는 곳의 문서 '역사'와 이것저것 기여자들을 보았지만, 문서 내용에는 정 모씨와 관련된 내용이 없고, 다만 사이트 구조상 문서 아래에 다른 '추천 문서'들이 노출되도록 되어있는 것이더군요. 고로 해당 '사람 위키'라는 것이 유니폴리가 만든 위키 사이트라는 점이 명백해지더라도, 해당 비방 내용이 유니폴리가 편집한 내용인지는 좀 더 신중히 살펴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좋은 유니폴리 인증입니다'로 인용하신 내용을 살펴보아도 유니폴리가 사람위키를 만든 장본인이라는 증언은 있어도 해당 비방을 유니폴리가 썼다는 말은 없습니다. Pectus Solentis님께서 해당 내용을 읽고 느끼셨을 분노와 억울함을 풀어놓을 곳으로 이 장소가 적합하다고 느끼시는 것은 이해합니다만, 당사자가 해명이 불가능한 곳에서 일방적으로 화를 내시는 것 같아보여 안타깝습니다. 여기는 유니폴리가 추방된 곳이고 물론 유니폴리에 대해 악감정을 지닌 분들이 몇몇 계신 곳이기도 합니다만 유니폴리 개인의 사적인 공간에서 벌어진(누가(조희팔?) 했는지도 확인할 수 없는) 일에 대해 유력한 '용의자'를 '범인'으로 지목하시는 것은 혹시 모를 '특정 집단(들)'의 잘못을 Pectus Solentis님 스스로가 덮어주는 결과가 될 수도 있음을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여기저기서 악성 글에 시달린 점 알고 있고 개인적으로 도와드리고 싶었던 적이 많습니다만 괜히 이번 지적으로 기분 상하시지 않을까 조심스럽기도 합니다. 아무튼 악성 사용자들에겐 더욱 치밀하게 대응하셔야 소기의 성취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뜬금없이 유니폴리 변호만 하고 가는 것 같아 죄송하기도 하네요 ^^; --자연머리 (토론) 2012년 11월 13일 (화) 12:56 (KST)답변
그냥 반가운데요, 오랜만이라. ㅎ --거북이 (토론) 2012년 11월 13일 (화) 14:24 (KST)답변
저도 반갑습니다. 오늘 추운데 외투 꼭 챙기고 밖에 나가세요~ 위키백과에 다시 열정적으로 기여를 하고 싶은데 아직 손가락에 불이 붙지를 않네요. :-) --자연머리 (토론) 2012년 11월 13일 (화) 15:00 (KST)답변
그럼 유니폴리는 이제 추가적으로 다중계정을 통해 위키백과에 찝적댈 가능성도 봉쇄된 건가요? 하소연이 아니라 추가적인 반달의 가능성이 있어 위키백과에 알린 겁니다. 또, '표준궤' 등 철도 용어로 닉네임을 쓰는 점, 그리고 그 닉네임을 사용하는 사람이 자기가 유니폴리라고 밝힌 점에서 유니폴리가 저 문서를 직접 썼다고 느낄 개연성은 충분하구요. --Pectus Solentis (한결같은 자의 가슴) 2012년 11월 13일 (화) 14:34 (KST)답변
더이상의 유니폴리 변호는 하지 않을게요. 다만 표준궤 = 사람위키 운영자인 건 맞는 것 같은데 워낙 다양한 사용자명들(팔렌티스, 조희팔 등 - 사용자들이라 단정짓지 않겠습니다)이 판을 쳐놔서 어지럽습니다. 그냥 무시하세요. --자연머리 (토론) 2012년 11월 13일 (화) 15:00 (KST)답변
 정보 위키백과는 무사하다니까 다행이지만, 백괴사전에서는 또다시 반달을 시작할 모양인가 봅니다. --Pectus Solentis (한결같은 자의 가슴) 2012년 11월 13일 (화) 14:37 (KST)답변
의미없는 게릴라일 뿐인데요.--NuvieK 2012년 11월 13일 (화) 14:53 (KST)답변
위키백과에서는 나름대로.. 일반 문서에서는 정상적인 기여를 잘 하고 있습니다. 다만 가끔씩 돌발행동을 하지 않는다면 더욱 좋겠지만요.. :) --Sotiale (토론) 2012년 11월 13일 (화) 15:00 (KST)답변
유니폴리가 추방이나 사법처리 등이 아니라 교화가 된 건가요? 그렇다면 추방된 것보다 더 좋은 결과겠지만요. --Pectus Solentis (한결같은 자의 가슴) 2012년 11월 13일 (화) 15:03 (KST)답변
일종의 추방 상황에 가깝다고 볼 수 있겠네요. 사법처리는 고려가 되지 않고 있고, 교화는 50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Sotiale (토론) 2012년 11월 13일 (화) 15:11 (KST)답변
유니폴리가 문제성 기여 횟수를 줄였다는 것 자체가 어떤 의미에서는 교화된 것 아닐까요 (...) --Pectus Solentis (한결같은 자의 가슴) 2012년 11월 13일 (화) 18:39 (KST)답변

이젠 그 양반이 뭘 하든 아웃 오브 안중입니다.--Park4223 (토론) 2012년 11월 14일 (수) 00:38 (KST)답변

공공누리에 대한 경과 보고(?) 편집

안녕하세요. 어제였던 2012년 11월 14일에 땅콩샌드님, 미네랄삽빠님과 함께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을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이유인즉, 1차적으로는 공공누리 상징 마크에 대한 문제(위키백과:사랑방/2012년 제42주#‘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물 참조)가 있어서였고, 2차적으로는 공공누리와 위키백과의 협력을 논의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약 2시간동안 여러 이야기가 오가면서, 공공누리 측에 바라고 싶은 것들은 다 전달하였고, 성취하였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여러가지 값진 이야기들이 나누어졌다고 생각을 합니다.

먼저 가장 문제였었던 공공누리 상징 마크는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를 하시겠다고 답하여 주셨습니다. 그리고 다소 모호한 부분이었던 영구성 조건에 대해서도 확답을 받게 되었는데, ‘영구성 조건이 성립’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관련된 틀에 대해서는, 공공누리 측 분들께서 틀을 직접 수정해보는 것은 어떻겠느냐는 답변에 그렇게 하셔도 무관하다고 답변을 드렸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제가 협력을 해 드리기로 하였구요.. 일단 상징 마크가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되어야 근거가 생기므로 관련 내용이 수정되는 대로 마크 파일을 올려서 기본적인 틀을 만들 예정입니다. 그리고 이후 공공누리 측 분들께서 수정하실 수 있도록 제가 메일을 통하든 어떠한 방법으로 도와드릴 계획입니다.

아.. 잠이 덜 깨어서 글이 매끄럽지 않은데, 전달드리고 싶은 것은 횡설수설이라도 전달을 다 드린게 아닌가 싶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다시금 땅콩샌드님, 미네랄삽빠님께 감사하다는 말씀을 거듭 드리며 공공누리 측 분들께도 협조에 응해주시어 대단히 감사드린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제가 한 일이 별로 없는 것 같은 기분이 들어서 한편으로는 죄송한 마음도 있구요.. :) 공공누리 라이선스 저작물 중 제1유형이 현재로서는 많지 않지만, 이제 향후 저작물이 많아지면, 어떻게 효과적으로 협조할 수 있는가, 하는 방향만 정하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공공누리 측 분들께서도 제1유형의 독려를 하고 계신다는 답변을 주시기도 하였구요. --Sotiale (토론) 2012년 11월 15일 (목) 10:00 (KST)답변

수고하셨습니다.  좋아요 -- Jjw (토론) 2012년 11월 15일 (목) 15:45 (KST)답변
Sotiale 님이 제일 수고하셨습니다. :) --mineralsab (토론) 2012년 11월 16일 (금) 00:07 (KST)답변
수고 많으셨습니다. --자연머리 (토론) 2012년 11월 16일 (금) 13:31 (KST)답변
Sotiale 님, 미네랄삽빠 님, 땅콩샌드 님, 모두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12년 11월 22일 (목) 20:33 (KST)답변

글로벌 세계 대백과 사전 출처의 ‘미화 표현’? 편집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문서들을 일전에 충분한 검토 없이 원문을 거의 그대로 넣는 사례가 몇몇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그 문제를 꺼내고 싶은데요, 일부 문서에서 미화표현이 지나친 경우가 있습니다. ‘어느 나라 최고의 건축가’, ‘몇 세기의 위대한 ~~’와 같은 방식인데, 물론 적절한 출처가 있다면 그러한 표현이 용인될 수 있습니다. 번역이 앞부분만 되었지만, 사용자:Sotiale/호언장담을 하지 마세요(일본어판에서도 영어판을 참고한 것)에서도 적절한 출처가 있다면 이러한 표현들을 원천적으로 막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이라는 이유로 이러한 미화 표현들이 무분별하게 사용되어 있는 것은 출처에서 비롯된 표현이라기보다는 독자 연구의 부분이 어느 정도 있는 것이 아닌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러한 표현을 저는 고치는 편이 좋다고 생각하는데, 이러한 일에 들어가기 이전에 다른 참여자분들께서는 어떠한 견해이신지 묻고, 그 의견에 따라서 일을 진행코자 합니다. 고견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otiale (토론) 2012년 11월 15일 (목) 10:09 (KST)답변

당연히 처리해야죠. 위키백과의 주요 정책인 중립적 시각에 따라서요. 외부의 컨텐츠를 가져올 때, 위키백과의 정책과 지침에 따라서 적절히 수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ChongDae (토론) 2012년 11월 15일 (목) 16:49 (KST)답변
예, 수정하는 것이 찬성합니다. 단, 예외적으로 "OOO가 말하기를, 어느 나라 최고의 건축가~" 이렇게 쓰여져 있는 것은 고치지 말고 그냥 두어야겠죠. -- 아사달(Asadal) (토론) 2012년 11월 16일 (금) 01:09 (KST)답변
옛날 백과사전들은 백과사전답지 못한 면도 많았던거 같아요. 과감히 날렸습니다 저는. ㅎㅎ --거북이 (토론) 2012년 11월 16일 (금) 10:08 (KST)답변
다만 건축의 4대거장이라든지 (혹은 3대거장) 나라를 말할때 대표하는 건축가는 있기는 있습니다만, 그런것 빼고는 정리되어야겠지요. --이정원 (토론) 2012년 11월 16일 (금) 13:47 (KST)답변
물론 공적으로 인정하는, 가칭 바흐는 음악의 아버지로 불리는 등이나 거장은 다르게 봐야겠지요. 그럼 일단 그러한 미화표현들에 대해서는 찾는 대로 적절한 출처를 찾아보고, 찾을 수 없다면 미화표현을 바꾸도록 하겠습니다. --Sotiale (토론) 2012년 11월 16일 (금) 19:48 (KST)답변

위키백과토론:사용자 권한 편집

새로운 권한 추가에 관한 토론은 끝난 것으로 보입니다. 다른 분들의 의견을 좀 더 듣고, 이견이 더 이상 없다면 투표 형식으로 총의를 확인한 후에 버그질라에 수정을 요청할 계획입니다. -- ChongDae (토론) 2012년 11월 15일 (목) 18:04 (KST)답변

틀:달력 문서에서 'subst:'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편집

틀:달력을 보면, -- "이 틀에서는 달력에 대한 세부적인 설정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만약 기념일과 같은 설정이 필요하다면 subst:를 사용해 주세요." --라고 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 subst:를 어떻게 적용하나요? 제 개인 위키에서 사용하려고 합니다. --Namsoo (토론) 2012년 11월 16일 (금) 18:49 (KST)답변

{{달력|XXXX}} 처럼 쓸 자리에 {{풀기:달력|XXXX}}라고 쓰고 저장하면 틀 내용이 다 풀린채 저장됩니다. 그 후에 필요에 따라 뜯어고치면 됩니다. -- ChongDae (토론) 2012년 11월 16일 (금) 18:53 (KST)답변

틀이 풀리는 것은 알겠는데... ^^; 좀더 자세하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Namsoo (토론) 2012년 11월 16일 (금) 19:02 (KST)답변
위키백과:틀위키백과:문서 끼워넣기를 참고하세요. 그리고 이런 질문은 앞으로 백:질문방에 올려주세요. -- ChongDae (토론) 2012년 11월 16일 (금) 19:19 (KST)답변
네... 감사합니다. 질문방이 따로 있었네요. --Namsoo (토론) 2012년 11월 16일 (금) 19:49 (KST)답변

위치 지도에서 위도가 정확하지 않네요 편집

위치 지도에서 경도는 정확한 것 같은데 위도는 모든 틀에서 정확한 위도보다 아래로 내려가 있는 형태로 틀리게 나오네요. 글로벌한 문제인가 싶어 {{대한민국 국립공원 위치지도}}와 {{Location map National parks of South Korea}}를 비교해보니 영문판의 것은 제대로 나오네요. 이 문제의 이유나 정정 방법을 아시는 분이 계시는지요? --배우는사람 (토론) 2012년 11월 17일 (토) 14:22 (KST)답변

분류 추가 협조 편집

저의 서명 시각을 기준으로, 분류가 필요한 문서 수가 100개를 넘었습니다. 저 혼자 처리하기 힘들기 때문에 여러분들의 협조를 구합니다. 목록은 여기에 있습니다. --ted (토론) 2012년 11월 18일 (일) 01:11 (KST)답변

제가 조금 줄여서 지금 50여개가 되네요. --Nt (토론) 2012년 11월 18일 (일) 21:13 (KST)답변
틈틈히 문서 분류를 달면서 정리를 해 왔었는데 최근 바빠서 잠시 공백을 둔 사이에 금방 늘어나네요. 문서 정리도 하는 김에 다 처리해 둘게요...:) --Sotiale (토론) 2012년 11월 18일 (일) 22:44 (KST)답변

백:양형 지침,백:대표저자에 대하여 다시 논의하려고 합니다. 편집

어느 정도의 필요성은 있는 것 같네요.--knachs3371 기여횟수 1000회 돌파! (토론) 2012년 11월 18일 (일) 20:32 (KST)답변

이미 위키백과 공동체에서 거부된 제안을 곧이 다시 꺼내는 이유가 뭔지 알고 싶습니다. --다이나믹 로동!(토론) 2012년 11월 18일 (일) 20:50 (KST)답변
{{거부}}에서 설명하듯이 거부된 제안도 다시 토론후 정책이나 지침으로 승격가능합니다.--knachs3371 기여횟수 1000회 돌파! (토론) 2012년 11월 18일 (일) 20:52 (KST)답변
다시 토론할 수 있는 것은 맞습니다. 다만 이들 제안이 정책 또는 지침으로서의 실효성이 있는지를 먼저 확인하셨기를 바랍니다. --다이나믹 로동!(토론) 2012년 11월 18일 (일) 20:54 (KST)답변
양형 지침은 차단을 결정하는 열쇠이고,대표저자는 문서 훼손에 대비하기 위한것 같네요.--knachs3371 기여횟수 1000회 돌파! (토론) 2012년 11월 18일 (일) 20:56 (KST)답변
자업자득님께서 말하시는 차단을 결정하는 열쇠위키백과:차단 정책에 있습니다. --다이나믹 로동!(토론) 2012년 11월 18일 (일) 21:20 (KST)답변

새로운 부정 행위 방지 필터 제안합니다. 편집

제안하는 것은 한국어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문서입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Nt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자업자득36699284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정보이미 영어판에서는 영어가 없는 문서 걸러내는 필터도 있네요.--knachs3371 기여횟수 1000회 돌파! (토론) 2012년 11월 18일 (일) 21:13 (KST)답변
엥;; 이건 제가 한 말이 아닌데요;; --Nt (토론) 2012년 11월 18일 (일) 21:31 (KST)답변
죄송합니다. 실수했네요;; -- 잿빛동공(T.Hikaru) (토론) 2012년 11월 18일 (일) 21:52 (KST)답변
구현해서 현재 테스트 중입니다. -- ChongDae (토론) 2012년 11월 22일 (목) 12:32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