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방
2023년 제4주
2023년 1월
52 26 27 28 29 30 31 1
1 2 3 4 5 6 7 8
2 9 10 11 12 13 14 15
3 16 17 18 19 20 21 22
4 23 24 25 26 27 28 29
5 30 31 1 2 3 4 5

독자 연구 금지 정책 개정안 제안 편집

위키백과의 정책과 지침 문서에 따라 독자 연구 금지 정책에 대한 개정 토론을 열었습니다. 기존 정책에서 설명이 미흡했던 부분을 보충하고 세밀하게 작성해봤습니다. 독자 연구 금지 정책은 위키백과 내용의 근본적인 정책 중 하나이므로 많은 분들이 의견을 내주셨으면 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Vela* (토론 / 기여) 2023년 1월 23일 (월) 02:12 (KST)답변

널리 알려진 본명과 예명을 문서 도입부에서 어떻게 서술할지에 대해 편집

본명이 자발적으로 거리낌없이 널리 알려진 연예인등의 경우 표제어와 별개로 서두에서 본명을 우선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영어 위키백과는 본명이 공개적으로 알려진 인물에 대해 본명예명으로 알려진 위키나라의 가수 방송인이다 이런식의 도입부를 취하는 경우가 많은데 한국어 위키백과는 예명(본명: 본명)은 위키나라의 가수 방송인이다 이런식의 도입부를 취하는 경우가 많네요. 적어도 이말년 처럼 복수의 예명이 동등한 이름인 경우에는 맨앞에는 본명이 와야한다고 봅니다.

영어 위키백과처럼 1)본명이 자발적으로 거리낌없이 널리 알려진 인물, 2)본명이 알려지는데 거리낌이 있으나 이미 널리 보도되어 문서에 수록이 가능한 인물, 3)본명이 생존인물의 전기에 따라 수록이 불가능한 인물을 구분하여 1의 경우에는 서두에 본명을 기술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으면 합니다.

1)이 어색하더라도 조동림(매드클라운, 마미손)이나 이병건(이말년, 침착맨)같은 경우는 본명을 서두에 쓰는게 중립적이라고 봅니다. 2001:2D8:215:D69:0:0:1DFE:50A5 (토론) 2023년 1월 23일 (월) 11:17 (KST)답변

 반대 서두는 표제어를 따릅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1월 23일 (월) 11:47 (KST)답변
 반대 양념파닭님과 의견 같으며, 여기에 왜 중립성을 언급하시는 지 이해가 안됩니다. -- ginaan기나ㅏㄴ(˵⚈ε⚈˵) 2023년 1월 23일 (월) 12:51 (KST)답변
표제어는 공동체의 총의가 반영되어 정해집니다. 따라서 이미 정해진 총의를 무시하고 편집을 강제하는 규정은 위키백과에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허나 이런 의견 하나 하나가 공동체를 발전 시킬 수 있다 생각합니다. 의견 제시에 감사드립니다. 이야기꾼 (토론) 2023년 1월 23일 (월) 16:35 (KST)답변
총의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당 문서 토론에서 더 자세한 이유와 함께 제안하는 것을 추천드립ㄴ디ㅏ.       ❄️ 💬📝📈 2023년 1월 24일 (화) 21:57 (KST)답변
 반대 '침착맨'이 더 알려진 이말년의 경우도 아니고(심지어 이쪽은 이말년'도' 예명이고요), 굳이 예명을 주로 쓰는 사람을 본명부터 쓴다는 것은 아니죠... 차은우처럼 예명이 사실상 본명을 대신하는 경우에서도, 본명을 앞에 기입해서 얻는 이득이 무엇이 있을까요. 독자들의 혼란? --trainholic (T, C) 2023년 1월 25일 (수) 03:31 (KST)답변
의견 제시에 감사드립니다. 백과사전이기 때문에 보다 객관적이고 불변하는 정보인 이름을 표제로 삼거나, 문서의 서두에 놓아야한다는 말씀에도 분명 일리가 있습니다. 다만 저로서는 표제어와 서두에 놓인 표기가 다른 경우 독자의 혼란이 가중될 수 있고, 위키백과는 표제어의 변경이 용이한 등 백과사전보다 유연하기때문에 현재대로 가는 것이 더 좋다고 봅니다. 의견이 기각당하시더라도 앞으로 좋은 의견 많이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사도바울 (💬ℹ️) 2023년 1월 26일 (목) 01:24 (KST)답변
 반대 한국은 예명이 더 널리 쓰여 집니다. 그러므로 굳이 본명을 내세울 이유는 잘 모르겠네요. -- JaykateChang (토론) 2023년 2월 8일 (수) 11:52 (KST)답변

대만타이완 관련 (2) 편집

안녕하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셨는지요:) 토론:타이완에 토론을 열려다, 타이완 문서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기에 사랑방에 토론 엽니다. 의견에 앞서 아래 토론을 먼저 읡어주시기 바랍니다.

당시 토론에서는 타이완에서 대만으로의 이동으로 의견이 어느 정도 모아졌던 상황이었습니다.

 정보 위키백과:사랑방/2022년 제14주#대만과 타이완 관련에서 논의 후 분류가 이동되었습니다. 별 문제 없이 이동되다가 사용자토론:Bluehill/2022년#타이완/대만 이동에서 이의가 있던 이후 편집이 멈췄다가 사:Trusovafan에 의해 편집이 재개되었는데, 이동 후 분류들을 변경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ginaan기나ㅏㄴ(˵⚈ε⚈˵) 2023년 1월 25일 (수) 18:22 (KST)

위 발언 참고하시면 해당 사랑방 토론에 대해 기억하지 못하다가 사용자토론:Seon0804#타이완이 포함된 분류를 대만으로 바꾸시는 중인데에서 분류는 대만으로 이동되었는데 정작 타이완 문서는 대만으로 이동하지 않았음을 알았습니다. 바로 이동 요청하려고 했으나, 이 토론이 종결된 이후에 해도 늦지 않기에 따로 요청한 것은 없습니다. 세칙에 관련해서는 의견이 모아지지 않았는데

행정구역/지명 타이완과 국명/지명 대만을 구분할 수 있을까요? 타이완성과 관련된 문서인지, 대만에 관련된 문서인지를 구분할 기준이 애매합니다. 그리고 같은 문서에서 "타이완과 상하이" 식으로 병렬적으로 지명이 적혀 있을 경우, "대만과 상하이" 식은 좀 이상합니다.

당시 ChongDae님 말씀에 대한 해답으로 구체적인 기준이 확립되어야할 것 같습니다. 많은 의견 바랍니다.

당시 의견 내주셨던 분들께 핑합니다. @Goondae, @LR0725, @Ykhwong, @Ellif, @양념파닭, @대한민국 헌법, @밥풀떼기, @ChongDae -- ginaan기나ㅏㄴ(˵⚈ε⚈˵) 2023년 1월 25일 (수) 19:47 (KST)답변

일단 국명을 바꾸는 게 우선 아닐까요?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3년 1월 25일 (수) 20:43 (KST)답변
말씀에 따라 이동 요청하였습니다. ginaan기나ㅏㄴ(˵⚈ε⚈˵) 2023년 1월 25일 (수) 20:52 (KST)답변
확인했으나 별달리 의견 없습니다. 더 잘 아시는 분들께서 의논해서 좋은 결론을 내 주세요. LR 토론 / 기여 2023년 1월 25일 (수) 20:53 (KST)답변
외교부 표기를 따르는게 맞다 봅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1월 25일 (수) 20:56 (KST)답변
이 문제는 중국이나 베트남 등 같은 한자 문화권의 표기에도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 💬📝📈 2023년 1월 27일 (금) 12:27 (KST)답변

대구광역시로 편입되는 군위군으로 관련문서 편집

학교뿐만 아니라 역, 도로, 군위댐 등등 여러가지 수정해야될것이 많은것 같습니다 2023년 7월 1일부터 경상북도 군위군 -> 대구광역시 군위군 Striker9498 (토론) 2023년 1월 28일 (토) 12:44 (KST)답변

삭제 신청 및 삭제 토론 확인 요망 편집

분류:삭제 신청의 하위 분류에 올라온 삭제 신청이 처리되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위키백과:삭제 토론에서도 별다른 의견 진술이 없는 토론이 허다합니다. 관리자들의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1월 28일 (토) 15:43 (KST)답변

저 역시 지금의 상황에 안타까움을 느끼고 있기는 하지만 관리자들 역시 올바르지 않은 삭제 신청, 부족한 이유 등으로 문서들을 삭제하는데에 어려움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분명 불필요해 보이는 문서가 아직도 삭제되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은 아쉽습니다. 이야기꾼 (토론) 2023년 1월 29일 (일) 19:11 (KST)답변

기계번역 시대의 번역, 글쓰기, 언어교육에 대한 수다 모임 편집

기계번역이 고도화되고 일상과 교육, 다양한 업무영역에 파고들면서 삶은 편리해지고 언어 간 장벽은 조금씩 낮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가운데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은 없을까요? 인간과 기술, 그 중에서도 기계번역은 어떤 가능성과 희망, 갈등과 의심을 만들어내고 있을까요?

국제회의통역, 도서, 기술문서 및 이미지 텍스트 번역, 영어교재 개발, 위키피디아 프로젝트 참여, 중등 영어교육, IT 언어교육 소프트웨어 개발 등에서 일하고 있는 발표자들이 자신의 경험을 진솔하게 나누고, 슬기로운 기계번역 생활을 제시하며, 더 나은 인간과 기술의 관계를 함께 궁리합니다.

  • 일시 및 장소: 2023년 2월 4일 토요일 오후 2:00-4:00 (온라인: 줌미팅)
  • 발표자 및 발표 주제
    • 세션 I. 통번역과 기계번역
이소희 (국제회의통역사) | 기계번역과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번역기 사용자의 입장에서
김수진 (프리랜서 번역사 / 영어교재 개발자) | 기계번역과 제2의 창작, 그리고 윤리
박재연 (미술사 연구자) | 가시적인 것에서 비가시적인 것을 읽어내는 번역
    • 세션 II. 교육, 사회 그리고 기계번역
진주완 (한국위키미디어협회 이사장) | 위키백과와 자동번역
제연강 (월곡중학교 영어 수석교사) | 교실로 들어온 번역기
박주현 (뉴로언어연구소 대표) | 글쓰기 교육과 영어 학습 도구
    • III. 질의응답 및 수다
사회: 김성우 (캣츠랩 연구위원)

참가비: 1만원 (예금주: 김성우 농협 079-12-182815) 참가비 전액은 저항하고 싸우는 이들을 기록하는 진보적 장애인언론 비마이너에 기부합니다.

제가 얼떨결에 발표자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의 참여 부탁드려요. -- Jjw (토론) 2023년 1월 29일 (일) 20:43 (KST)답변

유익한 모임인 것 같은데, 시간이 없어서 아쉽네요 ㅠ ― 사도바울 (💬ℹ️) 2023년 1월 30일 (월) 10:15 (KST)답변
정보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시간이 없는지라.. 참여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성공적인 개최를 희망합니다! 이야기꾼 (토론) 2023년 1월 30일 (월) 20:32 (KST)답변

신지훈 문서 저작권 침해 편집

최근의 나무위키 저작권 침해를 처리하던 도중 [1]에 거의 5년 이상 복붙한 내용이 유지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특정판 삭제는 간단하고 오래되지 않은 내용을 숨기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미 편집했거나 수많은 판에 걸쳐 존재하는 내용의 경우 삭제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에 따라 공동체에 문의합니다. Takipoint123 (💬) 2023년 1월 29일 (일) 22:34 (KST)답변

이런 경우는 어떻게 해야 의견을 묻는건가요? 찾아보니까 5년 이상이 아니라 거의 9~10년된 이 판([2]부터 그 문제의 도입부분이 나오네요. 이런 경우는 이게 될 지 모르겠는데 글을 삭제한 뒤 문제없는부분만 다시 새 문서로 만드는게 더 빠르지 않을까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1월 30일 (월) 00:55 (KST)답변
이런 방법을 쓰려면 해당 부분을 기여한 기여자 정보를 남길 수 있어야 합니다. LR 토론 / 기여 2023년 1월 30일 (월) 16:26 (KST)답변
저야 기능적으로 어떻게 삭제를 비롯한 관리 시스템이 이뤄지는지를 모르니 더 좋은 의견이 있으시거나 이런점에 대해서 LR님께서 더 아시면 직접 더 좋은 방법을 제시하시는게 나을것 같습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1월 30일 (월) 16:31 (KST)답변
특정판 삭제 정책에 따라 타 사용자들의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은 사용자의 저작자 표시를 불가능하게 한다면 특정판 삭제가 금지됩니다. 따라서 저는 이 특정판 삭제에 대하여  반대합니다. 이야기꾼 (토론) 2023년 1월 30일 (월) 20:31 (KST)답변

여기서 묻는 것이 불명확한데, 무엇이 어떤 것을 복사 및 붙여넣기했다는건가요? 예컨대 제시된 기사는 2016년이지만 기사의 내용에 실린 해당 부분은 기사가 발행되기 이전(2013년에도)부터 한국어 위키백과에 이미 있던 내용이었습니다. --Sotiale (토론) 2023년 2월 4일 (토) 21:19 (KST)답변

@Sotiale[3] 이 기사가 2013.05.10 17:38 로 나오는데 저 도입부분의 어려서부터 선행 학습을 하는~ 이부분이랑 똑같지 않나요 기사가 먼저 나왔구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4일 (토) 21:25 (KST)답변
그건 사용자께서 별도로 찾은 내용으로 당초에 의견을 묻는 글에서는 2016년 링크를 기준으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사용자께서 제시해주신 내용은 별도로 저작권 침해인지 생각할 여지가 있지만, 실은 이 스레드에서 묻는 내용이 무엇인지 제 입장에서는 복사 및 붙여넣기에 대한 대상 링크를 포함하여 조금 불명확했습니다. 예컨대 저작권 침해는 그 내용이 명확하게 존재하는 이상 판 모두를 특정판 삭제하면 되고, 이를 통해 적어도 편집한 사용자가 남습니다. 당초 제기한 내용이 저작권 침해임을 가정하고 해당 내용이 명백히 살아있었던 이상, 해당 판을 모두 특정판 삭제하면 됩니다. 내용이 녹아들었다거나, 해당 부분을 공동편집한 상태가 아니므로 공동체에 의견을 물을 이유가 마땅히 없다는 의미입니다. --Sotiale (토론) 2023년 2월 4일 (토) 21:40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