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사랑방
2018년 제35주
2018년 8월
31 30 31 1 2 3 4 5
32 6 7 8 9 10 11 12
33 13 14 15 16 17 18 19
34 20 21 22 23 24 25 26
35 27 28 29 30 31 1 2
2018년 9월
35 27 28 29 30 31 1 2
36 3 4 5 6 7 8 9
37 10 11 12 13 14 15 16
38 17 18 19 20 21 22 23
39 24 25 26 27 28 29 30


적폐 청산으로 도덕성의 우위를 확립해 이용자를 불러모으자 편집

최근 나무위키에서 비판 문서를 관리자가 편집해 논란이 되었다고 합니다. [1]

리그베다 위키가 망한게 도덕성의 실추로 망한거니 한국어 위키백과가 정당하지 않게 차단된 사용자ㄷㄹ차단을 풀고 네임드도 공평하게 제재하고 적폐를 청산하면 수많은 사용자를 회복시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223.53.41.91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Editing of sitewide CSS/JS is only possible for interface administrators from now 편집

Hi all,

as announced previously, permission handling for CSS/JS pages has changed: only members of the interface-admin (인터페이스 관리자) group, and a few highly privileged global groups such as stewards, can edit CSS/JS pages that they do not own (that is, any page ending with .css or .js that is either in the MediaWiki: namespace or is another user's user subpage). This is done to improve the security of readers and editors of Wikimedia projects. More information is available at Creation of separate user group for editing sitewide CSS/JS. If you encounter any unexpected problems, please contact me or file a bug.

Thanks!
Tgr (talk) 2018년 8월 27일 (월) 21:40 (KST) (via global message delivery)답변


위키 전체에 적용되는 CSS/JS는 인터페이스 관리자만이 편집할 수 있도록 개편되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이미 밝힌 대로, 위키 전체에 적용되는 CSS/JS에 대한 편집 권한이 개편되었습니다. 따라서, interface-admin(인터페이스 관리자) 권한을 가진 이용자 및 상위 권한(예: stewards)을 부여받은 이용자만이 자신들에게만 해당하는 CSS/JS 문서 말고도 다른 CSS/JS(예시: 다른 이용자의 CSS/JS, 글로벌 CSS/JS 등) 문서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개편의 목적은 순수히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의 기여자 및 독자의 보안을 위해서입니다. 자세한 정보는 "Creation of separate user group for editing sitewide CSS/JS" 문서를 확인하시기 바라며, 문제가 발생할 경우 연락을 주시거나 버그를 보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Tgr (talk) 2018년 8월 27일 (월) 21:40 (KST) (via global message delivery)답변

번역자: 판장온천 (토론) 2018년 8월 28일 (화) 21:43 (KST)답변


  한국어 위키백과의 관련 정책은 위키백과:인터페이스 관리자 문서에서 확인·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 메이 (토론) 2018년 9월 1일 (토) 18:53 (KST)답변

틀:생물 분류가 이상하군요 편집

사하라은개미대리석무늬암치가 다르게 나오네요. 대리석무늬암치는 틀이 깨지는데 원인이 뭔지 모르겠습니다 --Gaepakchinae (토론) 2018년 8월 27일 (월) 22:00 (KST)답변

특수:차이/22127117 '색'을 설정하지 않아 그런 것 같습니다. 정보상자에 변수와 인수를 추가하였습니다. -- 메이 (토론) 2018년 8월 27일 (월) 22:05 (KST)답변
+ 아울러 위키백과 편집과 관련한 질문은 위키백과:질문방 쪽이 더 적절합니다. -- 메이 (토론) 2018년 8월 27일 (월) 22:07 (KST)답변
감사합니다 ^^ --Gaepakchinae (토론) 2018년 8월 28일 (화) 17:03 (KST)답변

삭제이유 설명해주세요 편집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Commons:Deletion_requests/Files_in_Category:Instant_noodles_of_Korea

제가 찍은 사진인데. 삭제되네요--포모사FORMOSA·User Talk·Contribution 2018년 8월 27일 (월) 23:15 (KST)답변

포장지는 저작권이 인정되기 때문입니다. 사진을 찍는다고 해서 내 저작권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공용의 일은 공용 내에서 최대한 해결하시기를 추천합니다. --trainholic (T, C) 2018년 8월 28일 (화) 00:49 (KST)답변
제품 포장지에 인쇄된 제품 고유의 패키지 디자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자신이 그 라면을 소유해도 라면 포장지의 디자인까지 포함된 사진을 공용 자료실에 올릴 수 없습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76.79.186.210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분류 추가 협조 구함 편집

안녕하세요, 현재 저의 서명 시간을 기준으로 분류가 없는 문서가 100개를 초과한 상황입니다. 저 혼자서 이 많은 문서들에 분류를 추가하기는 어려우므로 여러분들의 협조를 구합니다.

  • 분류 필요 틀이 붙은 문서들의 목록은 여기에 있습니다.
  • 분류 필요 틀이 붙은 분류들의 목록은 여기에 있습니다.
  • 분류 추가와는 논외로 빈 분류에 문서 항목을 분류시키거나 삭제 신청을 협조해주실 분들은 위키백과:데이터베이스_보고서/빈_분류를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ted (토론) 2018년 8월 28일 (화) 14:34 (KST)답변

@Ykhwong: 데이터베이스 보고서 중 "빈 분류"는 특수:안쓰는분류, 크기별 문서는 특수:긴문서와 같지 않나요? (한 눈에 보는 것 말고는요.) 빈 분류 데이터베이스 보고서에서 위키데이터 연결 유무 등 다른 유용한 정보도 함께 정리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ChongDae (토론) 2018년 8월 28일 (화) 17:19 (KST)답변

크기별 문서는 제가 만들지 않았는데, 만드신 분께 문의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특수:안쓰는분류는 5,000개까지밖에 볼 수 없지만, 이번에 만든 항목은 전체 목록이라는 점이 일부 차이가 있습니다. 영어 위키백과에 있는 항목을 가져왔는데 조금 더 체계화할 수 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ted (토론) 2018년 8월 28일 (화) 17:22 (KST)답변

8가지 아이디어에 대한 의견을 듣고 있습니다! (2) 편집

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8년 제34주#8가지 아이디어에 대한 의견을 듣고 있습니다!에서 언급한 대로, 백:새 사용자 경험/성장 팀 아이디어#편집 첫 날과 이메일을 올렸습니다. 해당 아이디어들과 지난 주에 게시한 안내문을 읽어 보시고 의견을 남겨 주세요. 감사합니다! — revi (WMF) (토론) 2018년 8월 28일 (화) 19:40 (KST)답변

@Gcd822: 지난 주에 남겨주신 아이디어와 관련하여 새 사용자에게 자신의 편집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알려 주는 것에 대한 아이디어가 있습니다. — revi (WMF) (토론) 2018년 8월 28일 (화) 19:55 (KST)답변
제시된 아이디어들 전부 다 좋은 것 같습니다.--Gcd822 (토론) 2018년 8월 30일 (목) 18:16 (KST)답변

한참 적어 놓고 보니 지난 주 토론. 위에 쓴 글 봐주세요. -- Jjw (토론) 2018년 8월 31일 (금) 23:57 (KST)답변

@Jjw:둘 다 괜찮습니다 :) — revi (WMF) (토론) 2018년 9월 1일 (토) 01:41 (KST)답변

나무위키가 한위백 표절한 문서 발견했습니다 편집

한위백의 "마이크로소프트 프론트페이지" 문서, 나무위키의 동명 문서 개요보고 위백 형식 난다 했더니 역시나 표절이군요. 참고로 문서 생성 시기는 한국어 위백이 10년 빠릅니다. --판장온천 (토론) 2018년 8월 28일 (화) 21:36 (KST)답변

일제 강점기 문서에서 삼지연군 일대가 중국땅으로 잘못 표시된 지도가 사용됐던 것을 발견했습니다. 편집

하필 오늘이 한일병합조약이 강제로 맺어진 날인데 하필 이런 글을 올리게 되네요.

일제 강점기 문서에서 사용되는 지도라면, 현재 북중 경계와 다르더라도 당연히 일제 강점기에 실질적으로 유효했던 국경선을 사용한 지도로 당시 일제강점조선의 영역을 표시해야 할 것입니다.

File:National Geographic map of Korea and Japan, 1945.jpg 그런데 이 지도는 1945년 12월에 출간된 지도이고 당시 중화민국의 영유권 주장을 반영할 뿐 실제 일제강점기에 유효했던 국경선이나, 1945년 12월 당시 소군정이 실효 지배한 영역을 반영하지 않습니다.

File:Japanese Empire (orthographic projection).svg 이 일본제국의 지도도 백두산 부분이 많이 튀어나오지 않은 걸 보면 저 지도와 같이 홍단수선을 따라 일본제국의 영역이 그려진 것으로 의심이 됩니다.(착각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실제 일제강점기 당시 일제의 일부로 통치되던 지역의 범위와 맞지 않습니다.

간도 분쟁 당시 청나라는 정계비를 압록강과 두만강의 분수령에 세우려고 했다며 홍단수를 국경으로 주장했고, 조선은 홍단수 국경론에 대한 반박으로 홍단수보다 북쪽에 마을이 오랫동안 있었음과 정계비에서 멀다는 점을 근거로 반론했습니다. 그리고 정해감계에서 청나라는 석을수로 수정 제의를 했으나 거부되었고 1909년에 일제가 간도 협약을 맺을 때 석을수로 국경을 맺은 상태여서, 일제 강점기 당시 실질 국경을 기준으로는 백두산 천지 산마루는 중국에 속하지만 오늘날의 삼지연군 일대 대부분은 조선에 속하였습니다.

한편 간도 협약은 해방 이후 무효화 된 것처럼 간주되었고, 중화민국은 이전 주장대로 홍단수 국경선을 주장하기 시작했으나 중화민국의 행정력이 만주에 미치는 일은 없었습니다. 남한에서도 '백두산 영봉에 태극기 꽂자'는 말이 나오고 북한에서도 간도협약 국경선을 넘어 백두산 산마루 까지 실효 지배를 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백두산 정계비 축조 당시 역관 김지남이 쓴 북정록의 기록에 따르면 5월 5일 목극등이 조선의 경계에 대해 묻자 역관인 김지남이 '천지 이남은 조선의 경내'라고 답했고 5월 8일에는 목극등이 "대국의 산천은 그림으로 그려줄 수 없지만, 백두산은 이미 그대들 나라 땅이니 그림 한 폭 그려주는 것이 어찌 어렵겠는가"라고 답했다는 걸 보면 한국/조선측에서 그렇게 주장할 수 있겠습니다.)

일제강점기에 간도 협약의 석을수 선 까지 일제의 지배력이 미치던 것이 조약상으로나 실제로나 분명한데 관련 이미지

잘못된 지도가 일제 강점기, 일본 제국 관련 문서에 사용되어 위키백과의 정책등을 위배하고 있네요.

1.File:National Geographic map of Korea and Japan, 1945.jpg 내셔널 그래픽 지도의 설명에 한중 국경은 실제 국경이 아니라 당시 중국의 영토 주장에 따르는 선으로 그려진 지도라는 점을 파일설명에 명기하고

2. 문제의 내셔널그래픽 지도를 일제 강점기일본 제국 관련 문서에 사용하는 것을 다른 언어판에서도 제거하며 (일제가 통치한 영역과 맞지 않음)

3. File:Japanese Empire (orthographic projection).svg 일본제국 영역을 표시한 원형지도가 실제와 다른 국경선을 반영한 것이 맞다면, 국경선을 수정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원칙적으로는 지도에서는 일제 강점 당시 석을수 선을 따르는게 맞으나, 차선으로 현재 북중국경선과 같도록 고치는 것도 큰 차이가 없으므로 큰 문제는 없을 것입니다.

누군가 다른 언어 위키에서도 문제의 내셔널 그래픽 지도를 떼주시고 위키미디어 커먼즈에 이 사실을 알려주세요.


   azb.wikipedia.org에서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는 문서 목록
       ژاپون ایمپیراتورلوغو
   cs.wikipedia.org에서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는 문서 목록
       Japonská okupace Koreje
   en.wikipedia.org에서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는 문서 목록
       History of East Asia
       Empire of Japan
       User:Sunriseshore/sandbox
       Portal:Empire of Japan

6개 문서에서 사용되고 있네요.--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223.38.27.251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1. 문제가 된다면 그 문제가 되는 지도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정확한 지도를 직접 위키미디어 공용에 올려주시면 됩니다.
  2. 저 조그만 모식도에서 삼지연군의 권역을 도드라지게 표현하려면 울릉도와 백령도 같은 도서까지 빡빡하게 표현해야 할 겁니다.
  3. 그리고 주장은 적합한 레퍼런스를 가져와주세요. 블로그 말고 논문이나 학회지, 최소한 박물관 사이트나 언론기사 등을 가져오시면 됩니다. --trainholic (T, C) 2018년 8월 30일 (목) 00:35 (KST)답변
 의견 심각한 문제로군요. 제가 제거하겠습니다. --PeaceTongil (토론) 2018년 8월 30일 (목) 15:54 (KST)답변
더 나은 지도가 업로드되어 대체되지 않는 이상 무작정 그러한 지도를 문서에서 제거하는 것은 문서 훼손으로 보일 여지가 있습니다. 삼가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trainholic (T, C) 2018년 8월 30일 (목) 16:17 (KST)답변
일본제국이 강점하던 영역을 제대로 반영한 지도가 아니라는 발제자의 지적이 올바른 이상 제거하고 이 지도는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게 바릅니다. --PeaceTongil (토론) 2018년 8월 30일 (목) 16:22 (KST)답변
그렇다고 글로벌 언어판에서까지 일괄적으로, 그것도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만 형성된 총의(현재 상태도 총의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를 근거로 삭제할 필요는 없습니다. 대체 지도를 직접 올려주신 이후 원래의 지도와 교체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trainholic (T, C) 2018년 8월 30일 (목) 16:25 (KST)답변
원래 지도는 잘못된 지도이지만 어떤책에 실린 지도니 그대로 놔둬야 하고, 문서에선 사용하지 말아야지요. 간도 협약에 석을수가 경계라고 나오고일제시대 당시 기사에 따르면 무산군 농사동이라는 곳이 조선땅이었는데 해당 마을은 소홍단수 이북으로 확인되는 만큼 저 내셔널 지오그래픽 지도가 일제가 통치하던 곳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사살됩니다. --PeaceTongil (토론) 2018년 8월 30일 (목) 16:30 (KST)답변

비교적 최근에 차단된 무기한 차단자의 차단을 해제하는 건에 대하여 편집

@이강철, 메이: 소호산나 님같은 경우에는 위키백과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 때문에 차단되었고, Wundermacht의 경우에는 다중계정 건으로 차단되었는데 이에 대하여 늦은 지금이라도 차단을 해제하여 나쁜 선례를 없애는 게 좋아 보입니다. 이에 대해 제가 독단적으로 차단을 해제하는 것은 좋지 않아보여 최근 활발히 활동하는 관리자 분들의 의견을 묻고자 사랑방에 의견을 남깁니다. --호로조 (토론) 2018년 9월 1일 (토) 15:41 (KST)답변

해당 사용자의 요청이 없다면, 차단 재검토 필요성은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 메이 (토론) 2018년 9월 1일 (토) 18:39 (KST)답변
한번 그 사용자들에게 직접 메시지를 남겨서 차단 재검토를 받아보라고 하는 건 어떤가요?--Gcd822 (토론) 2018년 9월 3일 (월) 04:34 (KST)답변
메이님과 같은 의견입니다. 재검토 요청 등이 있었을 때, 과거의 건을 검토해보고 바로잡는 것은 실제 사용자가 되돌아오므로 의미가 있습니다. 스스로의 행동에 떳떳하고, 자신의 계정을 다시 사용하고 싶으며, 그에 대해 다른 사용자들이 납득할만한 이유를 제시한다면 해제를 할 수 있겠죠. 그러나 이번 선거에서 제시된 경우들은 제3자라는 이름 아래에 숨어서 타인인 양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보지 않습니다. --이강철 (토론) 2018년 9월 4일 (화) 15:23 (KST)답변
다중 계정을 악용한 계정들에 대해 차단을 해제하는 것에 대하여 당위성이 부족하다고 판단됩니다. --관인생략 (토론) 2018년 9월 11일 (화) 10:10 (KST)답변

사:Sohosanna 님의 경우, 유니폴리가 아닌데, 유니폴리로 오인되어서 무기한 차단된 경우입니다. 심지어 위키 전역 차단까지 되어버렸습니다. 하지만 Sohosanna 님은 유니폴리가 아님이 밝혀졌습니다. 따라서 이 차단은 즉시 해제되었어야 합니다. 다만, 문제는 Sohosanna 님이 유니폴리로 몰려서 차단된 상태에서, 유니폴리는 아니지만 사:Chuyang과 동일 인물이므로 차단한다고 하면서, 차단 사유가 변경되었습니다. 잘못된 차단을 해제하지 않고 차단 사유를 변경한 것입니다. 하지만 Sohosanna 님은 본인은 Chuyang이 아니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차단된 상태로 본인의 사용자 토론 페이지에 와서, "chuyang 이라는 계정은 제가 사용하는 계정 아닙니다. 위백다중검사 어떻게 했는지 몰라도 저는 츄양이라는 계정 단 한번도 쓴 적 없습니다. 참 어이가 없어서 ...."라는 글을 남겼습니다. Sohosanna 님의 기여 내역을 보면, 그동안 성실히 위키백과 문서를 편집해 왔고, 전역 차단될 만큼 잘못한 일이 없습니다. 억울하게 유니폴리로 몰려서 전역 차단되었는데, 지금이라도 과거사(?) 조사를 통해 억울한 일이 없도록 진실을 밝혀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18년 9월 15일 (토) 00:20 (KST)답변

위에서 호로조 님이 쓰시기를 Sohosanna 님은 "위키백과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 때문에 차단되었"다고 했는데, 정확히 말하면 위키백과에 대해 비판적 견해를 가지고 있었던 게 아니라, 관리자 선거에 출마한 모 사용자에 대해서 반대표를 날리면서 비판한 것입니다. 반대 의견을 남기면서 엉뚱한 다른 사용자까지 싸잡아서 비난한 것은 좀 과도한 면이 있기는 했습니다. 하지만 그걸로 인해 차단까지 당할 일은 아니었습니다. 선거 후 약 2달 정도 지나서, Sohosanna 님이 유니폴리로 몰려서 차단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이 차단 사건이 선거와 관련이 있는 건지 아닌지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관리자 선거에 출마한 후보자에 대해 반대 투표를 하고 강한 반대 의견을 남긴 것에 대해서, 위키백과 전체에 대한 비판으로 확대 해석할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사용자라면 누구나 관리자 후보자에 대해 찬성 또는 반대 의견을 자유롭게 밝힐 권리가 있습니다. 또한 반대 의견을 남긴 것에 대해 어떠한 불이익도 받지 않을 권리가 있습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18년 9월 15일 (토) 00:31 (KST)답변
한 가지 덧붙이자면, 사:Sohosanna 님이 사:Chuyang과 활동한 시기가 전혀 겹치지 않습니다. 특:기여/Chuyang을 보시면 알겠지만, 츄양이라는 사용자는 2011년이 마지막 기여입니다. 그 이후 어떠한 기여도 없습니다. 반면 위에서 소호산나 님은 특:기여/Sohosanna를 보면 알 수 있듯이, 2013년에 활동을 시작하여 2016년에 차단되었습니다. 활동 시기가 무려 수년간이나 차이가 나는 계정에 대해서, 다중 계정 사용자라는 이유를 붙여서 차단한 것은 뭔가 좀 설득력이 떨어져 보입니다. 소호산나 님을 계속 차단 상태로 두려면, 유니폴리도 아니고, 츄양도 아니므로, 지금이라도 또 다른 차단 사유를 만들어 내야 할 텐데요. 솔직히 이렇게까지 무리수를 써서라도 굳이 이 사용자를 차단해야 할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그런 점에서 저도 Sohosanna 님에 대해 차단을 해제하자는 호로조 님의 제안에 대해 찬성합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18년 9월 15일 (토) 00:57 (KST)답변
위키백과:다중 계정 검사 요청/보존11#유니폴리 의심 계정들에서 Sohosanna님과 Chuyang이 같은 그룹의 다중 계정으로 검사된 결과가 있습니다. 검사 결과에 따라 Sohosanna님 및 다중계정이 차단된 것으로 보이며, 전역 잠금의 사유에 Unypoly라는 이유가 추가되어 잠긴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Sohosanna님의 다중 계정이 (여론을 형성하는 등의) 악의적인 목적이 강하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전역 잠금 재검토 및 한국어 위키백과에서의 해명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해 보입니다. --관인생략 (토론) 2018년 9월 15일 (토) 12:13 (KST)답변
다중 계정 검사 결과에 추가하여 백:사용자 관리 요청/2016년 제34주#위키백과의 이미지 하락을 꾸준히 공작해왔던 다중 계정도 확인 바랍니다. 다중 계정자였으면서도 다중 계정자가 아니라고 하는 것은 명백한 악의입니다. 거짓말은 선의가 아님이 백:선의에 적혀있습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8년 9월 19일 (수) 12:40 (KST)답변
오랜만에 와서 이런 글을 보네요. 느낀 점 몇 가지 적습니다.
1. 보아하니 억울하게 차단된 사람을 풀어주잡니다. (특히 소호산나) 제 생각은 이겁니다. 이제 와서? 그냥 뜬금없습니다. 소호산나 건은 다른 커뮤니티에도 알려질 정도로 유니폴리 매카시즘의 표본이었는데, 그 당시 관리자 권한 남용을 막지 않고, 그 이후 즉각적인 어떠한 보상 및 사과, 가해자에 대한 제대로 된 처벌도 없고, 이제 와서 아무 관심 없을 피해자 차단을 풀어줘 봤자 뭐 어쩌자는 겁니다. 협회 차원에서 대대적으로 복귀 유저 광고를 해도 유저들이 올까말까한 상황에서. 심지어 '차단 재검토' 과정을 제안하는 글도 보이는데, 2년 전에 갔던 맘에 안 들었던 음식점에서 뜬금없이 설문조사 요구하면 들어줄까 싶습니다. 풀어 줄 것이면 당장 처리하든지, 아니면 말이나 꺼내지 않는 게 좋겠지요.
2. 여기서도 위키백과의 고질적인 문제점이 보입니다. 대응도, 일처리도 너무 느립니다. 차단 해제 안건은 한참 늦게, 심지어 이 토론조차 2주간 별다른 진전이 없네요. 이러면 또 '관리자/위키 봉사는 자원입니다' 이런 소리 나올텐데, 제발 일반 유저도 자원봉사라는 인식은 언제쯤에나 생길런지 의문입니다.
3. 요즘이야 그럭저럭 나아졌다만, 관리자에 대한 인성 체크 및 권한 남용에 대한 제재가 제대로 이루어졌으면 합니다. 소호산나건도 누구인가 했더니 저더러 '유니폴리 막을 대책 100% 생길 때까지 문서 만들지 말라'던 그 분이시네요. 이전에는 유니폴리 잡기 스포츠 어쩌고 하다가 잠수했던 분이고.(그 때 인성 검사하자니까 '그럼 일반 유저 인성은 안 봐도 되냐?'고 온갖 실드치던 분이 있었는데, 4년 뒤 똑같은 일로 물러난 지금 보면 뭐라 말하시려나) 항상 이대롭니다. 문제는 일부 관리자가 일으키고, 욕은 다 같이 먹고. 그러고선 아무 책임 없이 '자숙'한답시고 회피하고. 뭡니까, 이게? 요즘 회장들도 법원 출두할 때 휠체어 타는 꼬라지는 안 보여주는데. 저런 사람 물러날 때 '수고하셨습니다'만 넘쳐나는 분위기에, 요즘도 관리자의 경솔한 발언이 별 탈없이 넘어가는 것 보면, 과연 저 사람들 돌아온다고 뭔가 바뀌려나 싶네요.
추신: 그나마 지금이라도 과거 청산하고 나아가자는 태도 하나는 칭찬하고 싶습니다. 그러나 이런 노력이 단지 꺼림칙함과 나쁜 이미지를 없애기 위한 일종의 일시적인 '액막이'라면 타이밍도, 방법도 틀렸습니다. 과거 사랑방 보니 소호산나 구제 의견이 한 번 있었던데, 그 뒤 2년 지나가도 아무 변화 없는 것 보면 이번에도 별 일 없으려니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틀렸기를 바라며.--Reiro (토론) 2018년 9월 16일 (일) 08:21 (KST)답변
Reiro님 의견에는 동의하나 나쁜 이미지를 없애겠다고 지금에야 와서 차단을 풀어주겠다는 건 아닙니다. 단지 지금의 나쁜 선례를 없애고자 함입니다. 이미 관리자 선거에서 언급되었던 적이 있는데 그걸 그냥 무시한다면 제가 관리자 선거에서 피력했던 의견들은 무엇이 될까요...? --호로조 (토론) 2018년 9월 16일 (일) 11:36 (KST)답변
@호로조: 할 생각이라면 (이미 한참 늦었겠지만) 사람 적은 위키백과 특징을 고려하여 지금 총의가 모였다고 가정하고 최대한 빨리 처리하십시오. 그런 다음에 어떻게든 소호산나님께 용서를 구하는 신호를 보내면 그나마 낫겠지요. 또 시간 끈다고 '언젠가' 한 번 처리하고 '나쁜 선례 해결!' 이러면 공감이 잘 안 갈테니 말입니다.
그나저나 저 차단한 관리자분, 요즘 유행하는 말로 '적폐' 그 자체였네요. 멀쩡한 사람 유니로 몰다 츄앙으로 몰다...--Reiro (토론) 2018년 9월 16일 (일) 18:11 (KST)답변
오랜만에 와 보니 여전히 그대로네요. 드라이하게 선택지 제안합니다.
1 없었던 일로 하고, 그냥 묻고 갈 것
2. 아무 조건 없이 과도한 제한은 해지할 것
말했다시피 굳이 떠난 사람이 이런 저런 의지 표명해가며 돌아올까요? '안 받아주겠다' 돌려 말하는 것도 아니고. 자존심 굽히기 싫으면 그냥 안 받으시면 됩니다. 무기한 차단은 잘못되었다면서 복귀에 대해 '해명'을 하라는 건 참으로 행정 편의적인 발상이겠지요. 해명 내지 차단 재검토 절차 언급하신 분들은 그렇다면 저 차단 절차와 강도가 정당한가 관리자로서 '해명'할 의지는 있으신가요? 설마 의견 밝히고서, 예전 관리자 일이니 자신과는 관련 없다고 '일부'의 탓으로 돌릴 생각은 아니시겠지요? --Reiro (토론) 2018년 9월 19일 (수) 03:05 (KST)답변
차단 해제가 아니라 차단 사유의 변경을 바랍니다. 이 사용자에 대해서는 백:사용자 관리 요청/2016년 제34주#위키백과의 이미지 하락을 꾸준히 공작해왔던 다중 계정을 참고바랍니다. 호로조님은 관리자시니 관련 사용자 계정의 삭제된 기여들도 확인이 가능할 것입니다. 그 편집 내용의 확인을 바랍니다. 다중 계정 사용자였으면서도 다중 계정을 부정하는 것은 그 악용에 해당됩니다. 진짜 억울한 사람은 풀어주고, 진짜 규정을 위반하고 있으면서도 아직도 위백에서 멀쩡히 활동하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집중해야지 이건 좀 아닌 것 같습니다. 참고로 이 사용자는 현재 나무위키에서도 차단을 회피해가며 여전히 왕성하게 활동 중이니 그 패턴 확인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8년 9월 19일 (수) 12:25 (KST)답변
링크하신 내용대로 Sohosanna님이 외부에서 다중 계정을 운용해 위키백과를 비방한 것이 맞는지에 대한 정확한 확인도 필요하지만, 외부의 일 때문에 위키백과 내에서의 차단 사유가 변경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관인생략 (토론) 2018년 9월 19일 (수) 14:02 (KST)답변
외부의 일 때문에 차단 사유를 변경하자는 게 아닙니다;; 좀 링크를 걸었으면 꼼꼼히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유니폴리와 동일인물이란 사유가 아닌 그냥 다중 계정의 악용으로 변경하면 될 일이라고요.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8년 9월 19일 (수) 15:14 (KST)답변
문단이 길어서 요약이 좀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 은행의추억 등 3개 계정도 편집 분야와 공격성 등으로 연관성이 있다고 보시는 것이 맞나요? 그리고 다시 부탁드리지만, "좀"이라던가 "~라고요"와 같이 상대방을 존중하지 않는 토론 어투의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관인생략 (토론) 2018년 9월 19일 (수) 16:32 (KST)답변
'좀', '라고요'와 같은 단어에 무슨 문제가 있습니까... 이게 비속어입니까...? 좀의 사전적 뜻입니다... 오히려 더 큰 문제는 상대방의 의견을 '외부의 일 때문에 위키백과 내에서의 차단 사유가 변경되어'야 한다는 식으로 오독하는 겁니다. 토론을 이상하게 흐리는 행위와 근거 없는 저에 대한 비난은 중단해주시기를 정식으로 요청합니다. 토론 주제와 관련없는 사적 불만은 제 사토론이나 메일을 좀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토론 주제로 돌아오자면 해당 6개 계정의 연관성은 링크된 사관 요청에 밝혀져있으니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그에 관련한 의문점이나 궁금한 점은 질문해주시기 바랍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8년 9월 19일 (수) 17:34 (KST)답변
오독이 아니라 제 이해력이 부족하였으며, 토론을 의도적으로 흐리려는 것은 아닙니다. 의심되는 바가 있다면 다시 백:다검을 시행해보면 되지 않을까요? (덧붙여서, 제가 답답하다는 의미로 사용하신 "좀"의 의미는 링크의 예시를 보아 4번이나 5번 뜻, 즉 어지간히/얼마나의 뜻입니다. "조그마한" 링크나 "동의"를 구하는 표현과는 거리가 멉니다) --관인생략 (토론) 2018년 9월 19일 (수) 20:01 (KST)답변
술먹고합시다 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만, 비속어가 아니어도 상대방을 존중하지 않는 듯한 표현이 있기 마련입니다. --호로조 (토론) 2018년 9월 19일 (수) 20:14 (KST)답변
'해명'이라는 표현이 조금 부적절했던 것 같습니다. 제가 의도한 것은 기존에 대체 계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체 계정을 밝히지 않으신 특별한 이유가 있었는지 등의 '질문'이라고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관인생략 (토론) 2018년 9월 19일 (수) 13:55 (KST)답변
일단술먹고님의 주장에 대해서는 사유의 명백성. 차단의 필요성이 없습니다. 잠금의 사유는 Unypoly의 다중계정이니 해제요청을 해야 할듯 합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175.124.214.207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역시 소호산나가 잘못한 것이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이번 건은 엄연한 관리자 권한 오남용으로 인한 것이니 전역 잠금은 푸는 것이 맞겠지요. 메타에 요청들어왔으니 권한 있는 사람이 풀어주면 되겠습니다.
이게 뭔 고생이랍니까. '그 관리자' 덕에 --Reiro (토론) 2018년 9월 27일 (목) 22:49 (KST)답변

공동체에서 합의되지 않은 사항에 대하여 무단으로 사용자 차단을 해제한 것에 대해 호로조 사용자를 관리자 권한 남용으로 권한 회수 신청을 검토하도록 하겠습니다. 단 관리자 권한을 부여받은 시점이 비교적 최근으로 실수가 있었다는 것으로 판단, 임의로 차단을 해제한 행위를 되돌린다면 권한 회수 요청은 하지 않겠습니다. 두 계정은 모두 다중 계정 사용이 검사 결과에서 확인되었으며, 현재는 다중 계정 사용에 대하여 일부 관용으로 본계정에 한하여 무기한 차단을 하지 않고 특정 기한 차단을 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으나 과거에는 다중 계정 사용은 모두 무기한 차단을 해왔습니다. 이에 대하여 과거의 사례를 명확히 인지하지 못한 채 관리자 권한을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에 대한 차단을 개인적 판단 하나로 해제한 것에 대해 심각한 유감을 표합니다. 심지어 위의 Reiro 사용자가 남긴 의견을 보면 메타에 전역 잠금 해제 요청과 함께 현 토론에서 언급도 되지 않은 "생북" 사용자에 대하여까지 차단 해제 요청을 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행위는 명백한 관리자 권한 남용입니다.--Wikitori (토론) 2018년 10월 9일 (화) 19:03 (KST)답변

특히 Sohosanna 계열 다중 계정과 생북 계정의 경우 과거 차단된 사용자의 행동과 완전히 일치하는 행위를 보여 다중 계정 검사가 아니더라도 무기한 차단이 가능한 부분이었으며, Sohosanna 계열 다중 계정은 차단 회피가 아니더라도 다중 계정을 악용하여 관리자 선거에 개입하여 총의를 흐리는 명백한 다중 계정 악용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점을 전혀 무시하고 개인적인 판단하에 차단을 해제한 것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하며, 이는 다른 관리자들이 판단한 내역을 무시하는 행위이기도 합니다. 해당 사용자의 차단이 잘못되었다고 판단된다면 당시 다른 관리자들이 차단을 해제하였을 것이며, 다중 계정 검사를 진행한 검사관도 추가적인 의견을 표하였을 것입니다.--Wikitori (토론) 2018년 10월 9일 (화) 19:08 (KST)답변

이와 같이 정확한 정보를 알지 못한 상황에서 관리자 권한으로 오래 전에 차단된 사용자를 임의로 차단 해제하는 행위는 절대 시도하지 마시기 바랍니다.--Wikitori (토론) 2018년 10월 9일 (화) 19:10 (KST)답변

소호산나님의 글로벌 차단이 해제되었으므로 토론을 닫습니다.--Reiro (토론) 2018년 11월 5일 (월) 01:31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