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ronomy Portal
여기는 위키백과 천문학 포털입니다 · 천문학 · 위키프로젝트 천문학 · 분류:천문학

천문학이란

천문학(天文學)은 항성, 행성, 혜성, 은하계 같은 천체와, 지구 대기 바깥쪽으로부터 비롯된 현상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다. 우주의 진화, 물리학, 화학, 운석, 천체의 운동, 형성과 발전(진화) 등을 그 대상으로 한다.

천문학자 케플러.
천문학자 케플러.

천문학은 자연과학 가운데 비교적 일찍 시작된 학문으로, 천체를 관측하여 방위를 알고 항해의 원리에 이용하는 등의 목적으로 크게 발전되어 왔다.

은하의 충돌.
은하의 충돌.

17세기를 전후하여 발명된 망원경으로 천문학은 '더 멀리' 볼 수 있게 되었고, 20세기에 이르는 시기에 발전된 역학, 전자기학상대성이론과 같은 현대 물리학의 업적은 천문학과 서로 도움을 주고 받으면서 새로운 장을 열었으며, 인간은 지구를 벗어나 우주 공간에서 우주를 관찰·탐험하는 경지에 이르렀다. 20세기에 접어들어 천문학은 천체물리학이라는 특수 연구 분야의 발전에 힘입어 천체에 관한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알찬 글

수성(水星, Mercury)은 태양계의 행성 중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이다. 또한, 반지름 약 2,400 km로 가장 작은 내행성이기도 하다. 공전 주기는 88 일, 자전 주기는 58 일이며, 밀도는 5.427 g/cm3이다. 을 주성분으로 하며 수성 전체 반지름의 70 % 이상을 차지하며, 규산염으로 구성된 맨틀이 그 바깥을 차지한다.

표면은 과 같이 충돌구로 가득 덮여 있으며, 행성이 식으면서 수축할 때 형성된 거대한 절벽이 존재한다. 나트륨, 칼륨 등으로 구성된 대기가 있지만, 세기는 지구의 1조 분의 1로 매우 희박하다. 또한, 약한 자기장도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태양에 가깝기 때문에 강력한 중력의 영향을 받아 매년 조금씩 궤도가 움직인다.

이주의 천체

센타우루스 A 은하(NGC 5128)는 우리 은하로부터 14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센타우루스자리에 있는 특이은하이다. 이것은 지구에 가장 가까운 라디오 전파원 중 하나이며, 그래서 이 활동은하핵은 전문적인 천문학자들에게 광범위하게 연구되어왔다. 은하 자체도 전천에서 다섯째 밝으며, 은하의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블랙홀로부터 에너지를 얻어내는 상대론적 제트는 X선과 라디오 파장을 방출한다.

이주의 천문학자

천문학 관련 새 소식

오늘의 그림

피스톨별. 가장 밝은 별들 중 하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