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령멍게(학명Ciona intestinalis)[1]척삭동물문 해초강 편새해초목에 속하는 해양동물로, 학명의 뜻은 동물의 내장이 곧추선 형태를 닮았다는 뜻이다.[2] 전 세계의 바다에 두루 서식하며, 해저 돌바닥 틈새에 붙어 자란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같은 속에 비슷한 생태학적 특징을 가지는 종이 적어도 2-4가지는 존재한다.[3][4][5] 한편, 한국에서는 해양생태계교란생물로 지정이 되어있는 유일한 종이기도 하다.[6]

유령멍게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아문: 피낭동물아문
강: 해초강
목: 편새해초목
과: 유령멍게과
속: 유령멍게속
종: 유령멍게
학명
Ciona intestinalis
Linnaeus, 1767

특징 편집

최대 20cm까지 자라며, 입수공과 출수공의 주위에는 각각 8개, 6개의 붉은 색 안점이 있다.[6] 자웅동체이나, 자가 수정은 하지 않는다.[7]

각주 편집

  1. Satoh, Nori (2003). “The ascidian tadpole larva: comparative molecular development and genomics.”. 《Nature Reviews Genetics》 4 (4): 285–295. doi:10.1038/nrg1042. PMID 12671659. 
  2. Lane, Nick (2010년 6월 14일). 《Life Ascending: The Ten Great Inventions of Evolution》. W. W. Norton & Company. 192쪽. ISBN 978-0393338669. 
  3. Suzuki, Miho M; Nishikawa T; Bird A (2005). “Genomic approaches reveal unexpected genetic divergence within Ciona intestinalis”. 《J Mol Evol》 61 (5): 627–635. doi:10.1007/s00239-005-0009-3. PMID 16205978. 
  4. Caputi, Luisi; Andreakis N; Mastrototaro F; Cirino P; Vassillo M; Sordino P (2007). “Cryptic speciation in a model invertebrate chordat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USA》 104 (22): 9364–9369. doi:10.1073/pnas.0610158104. PMC 1890500. PMID 17517633. 
  5. Zhan, A; Macisaac HJ; Cristescu ME (2010). “Invasion genetics of the Ciona intestinalis species complex: from regional endemism to global homogeneity”. 《Molecular Ecology》 19 (21): 4678–4694. doi:10.1111/j.1365-294x.2010.04837.x. PMID 20875067. 
  6. “Ciona robusta (유령멍게)”. 《해양환경정보포털》. 
  7. Harada, Y.; Takagaki, Y.; Sunagawa, M.; Saito, T.; Yamada, L.; Taniguchi, H.; Shoguchi, E.; Sawada, H. (2008년 4월 25일). “Mechanism of Self-Sterility in a Hermaphroditic Chordate”. 《Science》 (영어) 320 (5875): 548–550. doi:10.1126/science.1152488. ISSN 0036-8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