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 (조위)

중국 조위(曹魏) 관료(249명 사망)

이승(李勝, ? ~ 249년)은 중국 조위의 관료이자 조상의 심복이다. 공소(公昭)이며 형주 남양군 사람이다.

사적 편집

젊어서 서울에서 유학하며 교류를 쌓았다. 풍아하며, 재지가 있어 조상과 친했다. 이승은 하안 · 등양 · 정밀 · 필궤와 함께 부화한 당을 맺었으나, 명제는 이러한 풍조를 싫어하였기 때문에 이들은 모두 쫓겨났다. 당시 이승의 집에 네 창이 있고 여덟 길로 통한다고 고발한 사람이 있어,[1] 체포되었다가 풀려나 금고당했다.[2][3]

명제 사후, 조상이 정권을 잡으면서 이승은 다시 기용되어 낙양령이 되었다. 또 정서장군 하후현 휘하 장사를 지냈다. 등양 등과 함께 조상에게 촉한을 칠 것을 권했으나, 조상은 참패했다(낙곡 전투). 이후 조상이 사마의를 정권에서 소외시키려는 일환으로 이승을 하남윤으로 삼았다. 이승은 직무를 맡을 때마다 그에 적합하지 않다는 말을 듣지 않았다.[2][3] 그러나 하남윤 시절에 대해서는 “잠깐의 명성을 얻기 위해 상법을 훼손했다.”라는 말이 《부자》에 남아 있다.[4]

정시 9년(248년) 겨울, 이승은 형주자사가 되면서[5] 사마의를 찾았는데, 사마의의 병자 연기에 속아 사마의가 곧 죽을 것이라고 여기고[2] 조상에게 알렸다.[6] 정시 10년(249년) 정월, 고평릉의 변으로 조상이 실권하고 사마의가 득세하면서, 조상의 일당으로서 잡혀 3족이 모두 주살되었다.[2][7]

삼국지연의의 묘사 편집

239년 조상이 정권을 잡자 하남윤이 되어 정치에 참가해 형주 자사가 될 때 사마의의 상태를 옅보기 위해 그의 저택을 방문해 중병을 위장한 사마의의 연기에 속아 조상에게 그대로 보고했다.

이후 249년 방심한 조상이 조방과 함께 사냥을 나가자 그 틈을 타 일어나 사마의의 쿠데타로 정권을 빼앗기고 붙잡혀 처형당했다.

각주 편집

  1. 곧 '사창팔달'(四窗八達)인데, 당시 하후현 · 제갈탄 · 등양 등 부화하는 사람들이 서로 일컫는 '사총팔달'(四聰八達)과 통한다.
  2. 진수: 《삼국지》 권9 제하후조전 위키소스 링크
  3. 어환: 《위략》 (위의 책에 배송지가 주석으로 인용한 부분)
  4. 부현: 《부자》 (진수의 《삼국지》 권30 왕위이유부전에 배송지가 주석으로 인용한 부분) 위키소스 링크
  5. 후한 이래로 본적지의 지방 관료로 임용하지 않는 '삼호법'에 비추어 보면 이례적인 일이다.
  6. 작자 미상: 《위말전》 (진수의 《삼국지》 권9 제하후조전에 배송지가 주석으로 인용)
  7. 진수: 《삼국지》 권4 삼소제기 위키소스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