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립(李裕岦, 1907년 12월 18일 (1907년 음력 11월 14일)[1] ~ 1986년 4월 18일[2])은 한국의 종교인으로 태백교라고 하는 소수종교의 교주이자, 민족운동가로 알려져 있다.[3] 하지만 일각에서는 친일 의혹이 제기되기도 한다.[4]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채영(采英)·중정(中正), 호는 한암당(寒闇堂)·정산초인(靜山樵人)·단하산인(檀下山人)·호상포객(湖上逋客)·단학동인(檀鶴洞人)이다.

생애 편집

고려말 문신인 이암(李嵒)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이관집(李觀楫)[3], 어머니는 태인 백씨이다.[5] 어려서부터 한문을 익히고, 1915년 9살에 오동진(吳東振)이 비밀로 가르치는 구한국군(舊韓國軍)의 노래와 행진연습을 하였다. 1919년에는 신안동(新安洞)에서 태극기를 들고 조선독립만세운동에 가담하는 등 애국사상이 강하였다고 한다.[3] 하지만 이유립 및 아버지 이관집의 독립운동 관련 행적은 모두 이유립 본인이 쓴 책을 출처로 하고 있으며, 다른 곳에서 교차 검증되지 않는다.[6][4]

약력 편집

  • 1907년 평안북도 삭주군 구곡면 안풍동 구령포 청계령산 아래 청계곡에서 단해(檀海) 이관집의 4남으로 출생.
  • 1921년 조선독립소년단(朝鮮獨立少年團) 조직활동에 참가해 단장이 됨.[3]
  • 1924년 ~ 1927년 삭주고등보통학교 3학년 입학, 졸업
  • 1931년 7월 조선총독부 발행 월간지 《조선》에 시 '사회(寫懷)' 게재됨.
  • 1933년 8월 조선총독부 발행 월간지 《조선》에 시 '삭주(朔州) 을산촌(乙山村)' 게재됨
  • 1933년 안순환(安淳煥)이 설립한 명교학원(明敎學院: 조선유학회 또는 조선유교회) 입회
  • 1935년 삭주유교청년회지교부장(朔州儒敎靑年會支敎部長)[7], 《일월시보》(조선유학회 기관지) 주필
  • 1938년 동아일보 삭주지국장[8]
  • 1939년 신풍학원(新豊學院) 설립, 학감 겸 교사로 근무
  • 1945년 4월 건국동맹(建國同盟)의 평안북도 삭주책을 맡음. 전봉천(全鳳天)의 「대동아전쟁거부론」 삐라살포사건에 관련되어 구령포 일본헌병대의 문초를 받음. 9월 9일 압록강국민학교 교장과 풍민조합장(豊民組合長), 대한근로국민회 문화부장 직에 피임. 10월 3일 천마산제전대회에서 독립운동가 이용담(李龍潭)의 주재로 결성된 단학회(檀學會)의 기관지 『태극(太極)』의 주간으로 피임[3]
  • 왕정복고를 주장했다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를 받음
  • 1963년 단학회를 계승한 단단학회(檀檀學會)의 3대회장이 되어 기관지 《커발한》 발행
  • 1976년 박창암, 안호상, 유봉영, 문정창, 박시인, 임승국 등과 함께 국사찾기 협의회 조직
  • 1979년 환단고기 간행(100부 한정출판)

친일 의혹 편집

일반적으로 독립운동가 또는 민족운동가라고 알려져 있으나, 아래와 같은 행적으로 볼 때 친일파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4]

  • 조선총독부 발행 월간지 《조선》에 시를 투고하였는데, 시의 내용이 일제 하의 태평성대를 노래하는 내용이다.[9]
  • 친일 유교 단체인 조선유교회에서 활동하였으며 당 단체에서 발행한 친일 성향의 기관지 《일월시보》의 주필을 역임하였고 산하 단체인 신풍학원을 설립하였다.[10]
  • 중일 전쟁 이후에 친일신문이 된 동아일보의 지국장을 역임하였다.[11]

한편 이유립은 《환단고기》의 전수자를 자칭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자신이 직접 쓴 것으로 확실시되고 있다.[12][4] 《환단고기》 역시 민족주의적인 내용이 담겼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 내용상 친일적 요소가 강하다는 비판이 있다. 또한, 이유립은 이러한 《환단고기》를 박창암 장군에게 전했는데, 박창암 장군은 환단고기 원문을 일본의 역사저술가 가지마 노보루(鹿島昇)에게 전달하기도 하였다.[13] 가지마 노보루는 일선동조론과 같은 황국사학을 주장하는 극우 역사저술가로 그가 번역한 《환단고기》에는 “일선동조론의 증거가 되는 책을 전달해 주어서 이유립에게 감사한다.”는 언급을 하고 있다.[14] 이 대해 이유립은 자신이 전달하도록 허락한 것이 아니며 허락 없이 책을 유출한 것이라 주장하였다.

종교 활동 편집

이유립은 일제강점기 당시부터 단학회나 태백교와 같은 민족단체 또는 민족종교에서 활동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그가 단학회를 계승했다고 주장하고 있는 단단학회(檀檀學會)나 태백교, 커발한 등은 일종의 소수종교로 분류되고 있으며 이유립은 그 교주로 알려져 있다. 《환단고기》에도 이유립이 교주로 있는 태백교의 교리가 서술된 부분이 많다[15]

저서 편집

  • 《광개토 성릉 비문 역주》, 대동문화사, 1973년
  • 《커발한 문화사상사》1-2, 단단학회, 1976년
  • 환단고기》, 광오이해사, 1979년[16]
  • 《한암당 이유립 사학총서 (천)》, 단단학회 편, 모음출판사 , 1983년[17]
  • 《대배달민족사》1-5, 고려가, 1987년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링크
  2. 한국일보 1986년 4월 20일 10면 (한국언론재단 웹사이트에서 검색 가능)
  3. 「이유립」,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4. 이문영, 《만들어진 한국사》, 파란미디어, 2010
  5.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의 이유립 항목에 출처로 제시된 서적은 모두 이유립 본인의 저서이다.
  7. 「靑年諸賢에게 檄함」, 《일월시보》창간호, 1935
  8.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朔州支局設置 ; 李裕岦 任支局長 (昭和12年)”. 2007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8월 28일에 확인함. 
  9. “白鶴山, 높은 峰
    새날이 또 뜨고
    千石坪 넓은들
    벼 모 잘크네.
    九曲川 내림물
    ?巖을 싸돌고
    求誠齋 옛바람
    笙簧이 동하네.

    아마도 이 村落이
    우리의 家鄕일레라.”
    《조선》 1933년 8월호, 75쪽
  10. “이상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총독부는 여러 부유腐儒들을 끌어들여 친일 유림단체를 조직하고 전래의 유교정신과 유교교화정책을 현 총독부 식민지통치에 그대로 접합하여 사회운동화 시킴으로써 유교를 이용한 민족분열이라는 효과와 함께 식민지 통치책의 당위성을 유교사상과 조직에서 얻고자 하였다.”한국독립운동의 역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중 조선유교회 관련 페이지, 독립기념관 제공
  11. 1937년 이후의 동아일보는 친일신문이 되었다.역사문제연구소 장신 연구원 인터뷰
  12. 박광용, 〈대종교 관련 문헌에 위작 많다〉, 《역사비평》 10호, 1990년.
    이도학, 〈재야사서 해제 《환단고기》〉, 《민족지성》, 1986년 11월호.
    이상시, 《단군실사에 관한 문헌고증》, 고려원, 1990년.
    조인성, 〈《규원사화》와 《환단고기》〉, 《한국사시민강좌》 2집, 1988년.
    조인성, 〈한말단군관계사서의 재검토 - 신단실기·단기고사·환단고기를 중심으로 -〉, 《국사관논집》 3, 1989년.
    문혁, 〈《환단고기》에 대한 사료학적 검토〉, 사회과학원-한국학술진흥재단, 2006년
  13. “한국사 연구에 큰 사건이 된 환단고기는 한국보다 일본에서 먼저 번역되었다. 박창암 장군이 이유립으로부터 환단고기 원문을 전해 받고 일본인 변호사 가시마(鹿島 昇) 에게 보여주어 일본에서 번역되어 나오기에 이르렀다.” 김유경, '박창암과 장도빈 - 국사찾기운동', 프레시안뉴스, 2003.12.13.
  14. 가지마 노보루 역, 《환단고기》, 新國民社, 1984
  15. 이강오, 〈단군신앙 실태분석〉, 《정신문화연구》 3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16. 순한문본 100부 한정판으로 영인하였다. 이는, 계연수로부터 13세 때 《환단고기》를 건네받을 때에 60갑자 후에 공개하라는 당부가 있었기 때문이라 한다. 그 원본은 관련 자료와 함께 1975년 이전에 모두 유실되었으나, 남아 있는 기억으로 내용 전부를 복원하였다고 한다.
  17. 이 책의 발행 연도는 신시개천 5880년으로 적혀 있다. 신시개천5880년은 1983년이고 판권에는 간지가 계해년으로 적혀있으며, 1983년이 계해년이었다. 이유립 총서 중의 첫째권은 (천)이라는 명칭이 붙어있다. 후일 (지)와 (인)이 계속 발행될 예정이었다.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