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입법(自治立法)이란 조례규칙교육규칙지방의회가 법령이 정하는 절차에 따라 정하는 조례를 말한다[1].

이처럼 자치법규에는 지방 자치 단체가 자치 입법권에 기초하여 법령의 범위 안에서 제정한 자치에 관한 규정으로 조례, 규칙등이 있게된다.

조례

편집

조례(條例)는 지방 자치 단체가 법령의 범위 안에서 지방 의회의 의결을 거쳐 그 지방의 사무에 관하여 제정하는 법을 말한다. 성문법인 자치법규의 하위개념이다.

규칙

편집

규칙(規則)은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법령 또는 조례가 위임한 범위 안에서 그 권한에 관해서 제정하는 법을 말하며, 규칙제정권의 범위는 자치단체장의 권한에 속하는 모든 사무를 말한다.

교육규칙

편집

교육감이 법령이나 조례의 위임 또는 직권으로 정하는 규칙을 말한다.

자치입법의 근거

편집

자치입법에 관련된 근거 법령으로는 대한민국 헌법, 대한민국 지방자치법,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행정규제법, 행정절차법, 법제업무운영규정, 지방재정법, 의회규칙, 의회위원회조례 등이 있으며 입법과정을 거쳐서 자치법규가 만들어지며 공포절차를 통해서 효력을 가진다.[2]

각주

편집
  1. p 12, 홍정선, 행정법 입문, 2008
  2. 조례의 공포일은 그 조례를 게재한 공보나 신문이 발행된 날이나 게시판에 게시된 날로 한다 (지방자치법 시행령 제31조) 한편 판례는 공포일을 그 법령이 수록된 관보의 발행일자가 아니라 그 관보가 정부간행물판매센터에 배치되거나 관보취급소에 발송된 날이다'라고 판시한 바 있다 ( 대법원 1990. 7. 21. 70누76)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