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안편사놀이

장안편사놀이는 조선시대 서울에서 행한 활쏘기를 행하는 무술경기이다. 2000년 4월 20일 서울특별시의 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되었다.

장안편사놀이
(長安便射놀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
종목무형문화재 제7호
(2000년 4월 20일 지정)
시대조선시대
전승자김경원(金慶原)
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 산1-1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개요 편집

장안편사놀이란 조선시대 서울에서 행한 활쏘기를 행하는 무술경기이다. 도성문안이 한 편이 되고, 모화관홍제원창의문 밖ㆍ남문 밖ㆍ애오개 등이 한 편이 되며, 양화도서강삼개한강뚝섬왕십리동소문밖 손가장(孫家庄) 등이 한 편이 되어, 이 세 편이 쏘던 놀이이다.

조선시대에는 이 장안편사 이외에도 터편사〔射亭便射, 사정끼리 기예비교〕, 골편사〔洞便射, 일종의 지역대항전〕, 사랑편사(舍廊便射, 사랑끼리 교유하는 무사들이 사원을 편성하여 경기하는 것), 한량편사(閑良便射, 한량끼리 편성하여 경기하는 것) 등이며 이 밖에도 한출편사(閑出便射)·삼동편사(三同便射)·남북촌편사(南北村便射)·아동편사(兒童便射)등이 있었으며, 각각 갑·을·병 3등급으로 나누어 경기하였다.

갑오경장(1894)에 따라 옛 사풍(射風)이 일소되었다가 1899년에 황학정(黃鶴亭)이 설립되면서 다시 왕성해졌다. 그러나 일제강점으로 위축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1922년 황학정이 중추 되어 조선궁도연구회(朝鮮弓道硏究會)가 발족됨에 따라 활기를 찾게 되었다. 1945년까지 서울에는 40여 개의 활터가 있었는데, 그 중 백호정(白虎亭)·석호정(石虎亭)·풍벽정(楓碧亭)·노지사정(盧知事亭) 등이 유명하였으며 활터에는 활을 쏘았을 때 화살이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과녁 뒤에 토성(土城)을 설치하였다. 편사(便射)는 양편이 각기 일정한 수의 선수를 선정하고 매 선수가 세 순에서 다섯 순씩 쏘아 맞힌 화살의 총수를 합해서 승부를 짓는다. 활쏘는 사람들에게는 지켜야 할 9훈이 있는데 그것은 인애덕행·성실겸손·자중절조·예의엄수·염직과감·습사무언·정심정기·불원승자·망만타궁 등이다. 이 편사놀이는 으레 풍악과 기생이 있어 응사하는 한량 뒤에 두세 사람씩 나란히 서서 병창을 하여 응사원들의 흥취를 돋군다. 쏜 화살이 적중하면 획창(獲唱)이 큰 목소리로 외치고, 또 획관(獲官)이 나직이 "변(邊)"이라고 하면 이 때에 기생들은 그 응사원의 이름을 부르지 아니하고 그 성과 직함을 부르게 된다. 그리고 획창ㆍ획관을 변이라 하여도 기생들은 변이라 하지 않고 "관중(貫中)"이라고 한다. 가령 첫 번째 살이면 "아무 서방님 일시에 관중이요" 한다. 이와 같이 변에 맞아도 관중이라 함은 옛날 궁중에서 왕이나 정승이 쏠 때에 이를 존대하던 데서 비롯된 것이라 한다.

과녁에 화살이 '중', '부중'이라 하는데 대하여 몇 가지 규칙이 있다. 예를 들면, 쏜 화살이 과녁의 위턱을 스치고 지나가 떨어지는 것은 맞지 않은 것으로 한다. 화살이 과녁 변을 맞고 과녁 나무조각은 떼었어도 살이 과녁에 꽂히지 아니하면 안 맞은 것으로 한다. 화살이 과녁에 못 미쳐 땅에 떨어졌다 튀어서 맞는 것은 맞은 것으로 하나, 맞는 소리만 내고 활촉이 과녁에 박히지 않은 것이면 안 맞은 것으로 한다. 쏜 화살이 과녁 아래 끝에 맞고 우죽만 땅에 떨어지고 활촉이 과녁에 박힌 것은 맞은 것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판정이 있어 경기를 슬기롭게 진행하였다.


참고 자료 편집

  본 문서에는 서울특별시에서 지식공유 프로젝트를 통해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한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