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의 민속문화재

전북특별자치도의 민속문화재는 지방민속문화재 중에서 전북특별자치도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한다.

지정목록 편집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
(단체)
지정일 참조
1호   의견비
(義犬碑)
전북 임실군 오수면 오수리 322 임실군 1972년 12월 2일 지정 [1]
2호. 익산기세배
(益山旗歲拜)
전북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631 고도리 1972년 12월 2일 지정,
2000년 11월 24일 해제,
전북 무형문화재 제25호로 재지정
[2]
3호   무등리입석
(無登里立石)
전북 완주군 봉동읍 제내리 360-3 입석마을 1973년 6월 23일 지정 [3]
4호   태인신잠선생영상
(泰仁申潛先生影像)
전북 정읍시 태인면 태창리 425 정읍시 1973년 6월 23일 지정 [4]
5호   선국사대북
(善國寺대북)
전북 남원시 산곡동 419 선국사 1974년 9월 27일 지정 [5]
6호   보안입석
(保安立石)
전북 부안군 보안면 상립석리 산35 부안군 1974년 9월 27일 지정 [6]
7호   월촌입석
(月村立石)
전북 김제시 입석동 417-1 김제시 1974년 9월 27일 지정 [7]
8호 학인당
(學忍堂)
전북 전주시 완산구 교동 105-4번지 백광제 1976년 4월 2일 지정 [8]
9호 대원사목각사자상 전북 완주군 구이면 원기리 대원사 1976년 4월 2일 지정,
1990년 6월 30일 해제,
도난으로 인해 지정 해제[1]
[9]
10호 벽골제쌍룡놀이
(碧骨堤雙龍놀이)
전북 김제시 일원 김제시 1976년 4월 2일 지정 [10]
11호 장화리쌀뒤주
(長華里쌀뒤주)
전북 김제시 장화동 210-1 정종수 1976년 4월 2일 지정 [11]
12호 이웅재고가
(李雄宰古家)
전북 임실군 오수면 둔덕리 456-1 이웅재 1977년 12월 31일 지정 [12]
13호 남근석
(男根石)
전북 정읍시 칠보면 백암리 1095 정읍시 1977년 12월 31일 지정 [13]
14호 산동리남근석
(山東里男根石)
전북 순창군 팔덕면 산동리 452 윤홍섭 1979년 12월 27일 지정 [14]
15호 창덕리남근석
(昌德里男根石)
전북 순창군 팔덕면 창덕리 161 조병태 1979년 12월 27일 지정 [15]
16호 주천석장승
(朱川石長栍)
전북 남원시 주천면 호기리 산63 유동섭 1979년 12월 27일 지정 [16]
17호 쌍조석간
(雙鳥石竿)
전북 부안군 계화면 대벌리 413 대벌리부락 1983년 8월 24일 지정 [17]
18호 남문안당산
(男門안堂山)
전북 부안군 부안읍 동중리 84-4 부안군 1985년 8월 16일 지정 [18]
19호 돌모산당산
(乭母山堂山)
전북 부안군 부안읍 내료리 석제마을 723-1 부안군 1985년 8월 16일 지정 [19]
20호 죽림리석장승
(竹林里石長栍)
전북 부안군 백산면 죽림리 공최마을573 부안군 1985년 8월 16일 지정 [20]
21호 장재영가옥
(張在英家屋)
전북 장수군 번암면 노단리 1095-1 장재영 1986년 9월 8일 지정 [21]
22호 권희문가옥
(權熙文家屋)
전북 장수군 산서면 오산리 177-1 권희문 1986년 9월 8일 지정 [22]
23호 김안균 가옥
(金晏均 家屋)
전북 익산시 함라면 함열리 457 김안균 1986년 9월 8일 지정,
2019년 3월 11일 해제,
국가민속문화재 297호로 승격
[23]
24호 채원병가옥
(蔡元秉家屋)
전북 군산시 성산면 고봉리 134 채원병 1986년 9월 8일 지정 [24]
25호 황윤석생가
(黃胤錫生家)
전북 고창군 성내면 조동리 353 황병관 1986년 9월 9일 지정 [25]
26호 예종대왕태실및비
(睿宗大王胎室및碑)
전북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3가 102 전주시 1986년 9월 8일 지정 [26]
27호 교룡산성승장동인
(蛟龍山城僧將銅印)
전북 남원시 용정동 419 선국사 1986년 9월 8일 지정 [27]
28호 남원석돈
(南原石墩)
전북 남원시 하정동 189 남원우체국 1992년 6월 20일 지정 [28]
29호 김정회고가
(金正會古家)
전북 고창군 고창읍 도산리 151 김경식 1993년 8월 31일 지정 [29]
30호 월천리석장승
(月川里石長栍)
전북 부안군 보안면 월천리 86 정태인 1995년 6월 20일 지정 [30]
31호 사곡리남근석
(沙谷里 男根石)
전북 임실군 덕치면 사곡리 자경마을 1998년 1월 9일 지정 [31]
32호 사내리 당산
(沙乃里 堂山)
전북 고창군 성송면 사내리 12 사내마을(이병삼) 1999년 7월 9일 지정 [32]
33호 오영순가옥
(吳永順家屋)
전북 김제시 복죽동 360 . 1999년 11월 19일 지정 [33]
34호 창원정씨종가
(昌原丁氏宗家)
전북 장수군 산서면 사계리 580-1 . 1999년 11월 19일 지정 [34]
35호 덕치리초가
(德峙里草家)
전북 남원시 주천면 덕치리 387 . 2000년 6월 23일 지정 [35]
36호 백운면의물레방아
(白雲面의물레방아)
전북 진안군 백운면 운교리 976-2 전송훈 2002년 4월 6일 지정 [36]
37호 이배원 가옥
(李培源 家屋)
전북 익산시 익산시(익산시장) 2012년 11월 2일 지정 [37]

외부 링크 편집

  1. “대원사 문화재 안내판에는 어떤 사연이?”. 《오마이뉴스》. 2010년 4월 19일. 2022년 1월 2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