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 경은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제천 경은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堤川 慶恩寺 木造文殊菩薩坐像 및 腹藏遺物)은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평동리, 경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 및 복장유물이다. 2008년 7월 25일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제294호로 지정되었다.

제천 경은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堤川 慶恩寺 木造文殊菩薩坐像
및 腹藏遺物)
대한민국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종목유형문화재 제294호
(2008년 7월 25일 지정)
수량불상 1구, 복장유물 2점
시대조선시대
위치
제천 경은사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제천 경은사
제천 경은사
제천 경은사(대한민국)
주소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평동리 107-1
좌표북위 37° 9′ 3″ 동경 128° 2′ 44″ / 북위 37.15083° 동경 128.04556°  / 37.15083; 128.04556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개요 편집

경은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은 오래전부터 비불(秘佛)로 경은사에 보존하고 있던 불상으로 복장기를 살펴볼 때 숭정 구년(1636년, 인조 14년)에 조성되었다. 아울러 주기(朱記에) 대한광무(大韓光武) 11년(年)(1907년)에 개금(改金)을 추측할 수 있는 기록이 있다.

좌고가 30cm인 소형 불상으로 머리에 두건을 쓰고 상호는 원만하며 양미간(兩眉間), 비량(鼻粱), 구순(口脣) 등 각부도 정제되어 있다. 양미간에는 백호가 있으며 목에는 삼도가 남아 있다. 양쪽 귀는 긴 편이 아니나 목에는 삼도가 있어 원만하고 자비로운 상호이다.

법의는 양쪽 어깨에 걸친 통견의(通肩衣)로 유려하게 흘러내려 양쪽 무릎을 덮고 있다. 가슴에는 素文의 군의대(裙衣帶)가 표현되었고, 흑발(黑髮)이 어깨위로 흘러내려 넓은 매듭을 지어 두 가닥으로 갈라져 양쪽 팔에 흐르고 있다.

수인(手印)은 제전(臍前)에서 양쪽 손을 합쳐 반내장(半內掌)하여 선정인(禪定印)을 취하고 있는데 손가락들과 엄지손가락의 표현이 사실적이다.

이 불상은 최근에 개금불사를 하였다 하는데 복장 내에서 한지에 묵기한 조성녹기 1매가 발견되었다 한다. 「근신조성(謹新造成)」이라 제(題)하고 첫머리에 대지문수보사리보살(大智文殊師利菩薩)이라 하여 이 보살상(菩薩像)의 존명(尊名)이 문수보살(文殊菩薩)임을 알리고 있다. 한편 말미(末尾)에 숭정구년병자십이월이십구일화주김춘생복원(崇禎九年丙子十二月二十九日化主金春生伏願)이라 하여 조성시기(造成時期)를 알리고 있어 조선(朝鮮) 제16대(第16代) 인조14년(仁祖14年)(1636)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근신조성(謹新造成)의 묵기(黙記) 크기는 71.5cm×24.5cm이며 자경(字徑)은 1.5cm×2.5cm이다.

주기(朱記)의 1매(枚) 기록(記錄)이 함께 발견되었는데 37cm×33cm 크기로 자경(字徑)은 1cm×1.5cm~2.05cm이다. 말미(末尾)에 '대한광무10년미4월8일(大韓光武十年丁未四月初八日」이라는 기록이 있어 1907년에 해당되는데 이때의 개금(改金) 기록(記錄)으로 추측된다. 실측치는 전고(全高) 30cm, 두고(頭高) 10cm, 견폭(肩幅) 12cm, 흉폭(胸幅) 5cm, 슬고(膝高) 7cm, 슬폭(膝幅) 19.5cm, 하면(下面) 20×15cm이다.

이 목조문수보살좌상(木造文殊菩薩坐像)은 원만(圓滿)한 상호(相好)와 균정(均整)한 동체(胴體), 유려(流麗)한 의문(衣紋)들이 주목된다. 특히 훼손된 부분이 전혀 없고 단정한 자세에 희귀(稀貴)한 피모형(被帽形)인 동시에 복장기(腹臟記)에 의하여 조성년대(造成年代)가 확실한 17시기(世紀) 전기작(前期作)으로 조선시대 후기의 불상양식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