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니딘

고혈압, ADHD, 금단증상 등에 사용되는 알파2 작용제

클로니딘(clonidine)은 카타프레스(Catapres), 켑베이(Kabvay)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α2 작용제의 일종이다.[8] 고혈압,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금단 증상 (알코올, 오피오이드, 니코틴 등), 폐경기안면홍조, 설사, 근육의 경직, 특정 통증성 질환들을 치료하는 데에 사용된다.[9] 경구, 주사, 경피 패치 등으로 투여한다.[9] 투여한 지 1시간 안에 보통 효과가 나타나며, 혈압 하락 효과는 8시간까지 지속된다.[9]

클로니딘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N-(2,6-Dichlorophenyl)-4,5--1H-imidazol-2-amine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4205-90-7
ATC 코드 C02AC01
PubChem 2803
드러그뱅크 DB00575
ChemSpider 2701
화학적 성질
화학식 C9H9Cl2N3 
분자량 ?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70~80% (경구),[1][2] 60~70% (경피)[3]
단백질 결합 20–40%[4]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에서 비활성 대사산물로 변환.[4] 2/3는 CYP2D6이 촉매함.[5]
생물학적 반감기 IR: 12~16시간, 신부전에서는 41시간,[6][7] 반복 투약 시 48시간[3]
배출 소변 (72%)[4]
처방 주의사항
허가 정보

US Daily Med:바로가기

임부투여안전성 B3(오스트레일리아)
법적 상태
투여 방법 경구 투여, 경막외 투여, 정맥 주사, 경피 패치, 국소 투여

흔한 부작용에는 구강건조증, 어지럼증, 두통, 저혈압, 졸림 등이 있다.[9] 심한 부작용에는 환각, 부정맥, 혼란 등이 있다.[10] 약물 복용을 빠르게 중단하는 경우 금단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9] 임신이나 수유 중 사용은 권고되지 않는다.[10] 클로니딘은 뇌에 존재하는 α2 수용체를 자극하여 동맥을 이완시키고 혈압을 낮춘다.[9]

클로니딘은 1961년 특허를 받았고 1966년부터 의학적으로 사용되었다.[11][12][13] 현재는 복제약으로도 이용 가능하다.[9] 2020년 한 해 동안 미국에서는 900만 건 이상 처방되어 75번째로 많이 처방된 약물로 기록되었다.[14][15] 대한민국에서 경구용 클로니딘 염산염인 켑베이서방정 0.1mg의 사용 허가는 2013년 1월 30일에 났다.[16] 급여는 2016년 2월 1일부터 틱이나 뚜렛 증후군을 동반하는 6~17세의 소아와 청소년의 ADHD에 대하여 인정되기 시작하였다.[17] 이후 2019년에 급여 기준이 변경되며 틱이나 뚜렛 증후군을 동반하지 않는 6~17세의 ADHD에 대해서도 급여가 인정되었다.[18]

의학적 사용 편집

 
클로니딘 알약과 경피 패치

클로니딘은 고혈압,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금단 증상 (알코올, 오피오이드, 니코틴 등), 폐경기안면홍조, 설사, 특정 통증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된다. 또한 오프라벨로는 우발적인 불면증, 하지 불안 증후군, 불안 등의 치료에 쓰일 수 있다.[9]

고혈압 편집

클로니딘은 저항성 고혈압 환자에서 혈압을 낮추는 데에 효과적일 수 있다.[19]

클로니딘은 맥박수를 낮추고 레닌, 알도스테론, 카테콜아민의 혈청 내 농도를 감소시켜 작용한다.[20]

ADHD 편집

클로니딘은 일부 환자에서 ADHD의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으나 여러 부작용을 일으키고 유익한 효과는 보통 정도이다.[21]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의약품관리청(TGA)에 의해 클로니딘의 사용이 승인되어 있으나 ADHD에는 허가가 나 있지 않다.[22] 클로니딘은 메틸페니데이트와 함께 ADHD의 치료에 관한 여러 연구가 이루어진 약물이다.[23][24][25] 메틸페니데이트만큼 ADHD 치료에 있어 클로니딘이 효과적이지는 못했지만, 약간의 치료 효과를 낼 수 있으며[26] 각성제와 병용하면 유용할 수 있다.[27] 몇몇 연구에서는 구안파신보다 진정 효과가 잘 나타난다고 밝혔다.[28][29] 또한 클로니딘은 ADHD 환자에서 각성제와 관련된 불면증 등의 수면 장애를 줄이기 위해 쓰일 수 있다.[30][31][32][33]

금단증상 편집

오피오이드, , 벤조디아제핀, 니코틴 등의 약물을 장기간 사용하다가 갑자기 중단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금단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클로니딘을 사용할 수 있다.[34] 클로니딘은 빈맥, 고혈압, 다한증, 홍조, 좌불안석증 등의 교감신경계 반응을 억제하여 오피오이드 금단의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35] 또한 흡연자의 금연을 돕는 데에도 유용할 수 있다.[36] 진정 효과도 임상적으로 유용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약물, 특히 오피오이드를 사용하던 산모에게서 태어난 아기에게서 발생할 수 있는 신생아 금단 증후군의 중증도를 감소시키고,[37] 신생아 금단 증후군에 걸린 신생아의 신경행동 상태를 개선시킬 수도 있다.[38]

드물게 발생하는 덱스메데토미딘 금단의 치료에도 클로니딘을 사용할 수 있다고 제안되기도 하였다.[39]

경직 편집

클로니딘은 경직의 치료에도 약간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손상된 부분 아래로 과도한 감각 전달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주로 작용한다. 그러나 저혈압, 서맥, 졸림 등 여러 부작용으로 인해 이차나 삼차 치료제로 주로 사용된다.[40]

그 외의 사용 편집

여러 오프라벨로도 사용되는데, 스트레스, 수면장애,[30]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로 인한 과각성 상태, 경계선 인격 장애, 기타 불안장애 등의 정신 질환에 쓰이기도 한다.[41][42][43][44][45][46][47][48] 클로니딘은 약간의 진정 작용도 하여 수술이나 시술 이전에 예비투약할 수 있다.[49] 급성 조증 삽화를 진정시키는 방법으로 연구되기도 하였다.[50] 심장 발작 중의 통증, 수술 후에 발생한 통증, 조절이 잘 되지 않는 통증의 완화를 위해 클로니딘의 경막외 투여에 관해서도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졌다.[51] 하지 불안 증후군에도 사용할 수 있다.[52] 장미증과 관련된 발적과 안면홍조 치료에 사용될 수도 있다.[53] 또한 당뇨병성 신경병증 치료에 관한 임상시험에서 국소 투여 시 성공적인 결과를 내기도 하였다.[54] 편두통이나 폐경기의 안면홍조에 쓰일 수도 있다.[55][56] 과민성 장 증후군이나 변실금, 당뇨병과 관련된 불응성 설사, 오피오이드 금단이나 단장 증후군, 신경내분비종양, 콜레라와 관련된 설사 치료에도 사용되었다.[57] 투렛 증후군, 특히 틱 증상의 치료에 쓰일 수 있다.[58] 한편 클로니딘에 관련하여 환각제 지속성 지각장애(HPPD)의 증상을 없애거나 완화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임상시험에서의 성공적인 결과가 나오기도 하였다.[59]

무릎관절 공간에 클로니딘을 포함한 알파-2 작용제를 주사할 시, 관절경을 이용한 무릎 수술 뒤 생기는 통증의 정도를 줄일 수도 있다.[60]

클로니딘 억제 검사 편집

클로니딘으로 인한 순환 노르에피네프린의 감소는 과거 크롬친화세포종의 검사에 이용되었다. 크롬친화세포종은 부신속질에서 주로 발견되는 카테콜아민 합성 종양이다.[61] 이러한 클로니딘 억제 검사에서는 검사용 클로니딘 0.3mg을 경구로 투여하며, 클로니딘 투여 이전과 투여 3시간 이후의 혈장 카테콜아민 농도를 측정한다. 만일 혈장 내 카테콜아민 농도가 떨어지지 않는다면 검사 양성으로 판정한다.[61]

임신과 수유 시 편집

FDA에서는 클로니딘을 임산부 약물 등급 C군으로 분류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의 TGA에서는 임산부 약물 등급 B3급으로 판정하였는데, 이는 동물 연구에서 태아 발달에 약간의 유해한 효과가 있었으나 사람에서도 그러한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62] 클로니딘은 모유에서 높은 농도로 나타나며, 수유를 받는 신생아는 산모의 혈청 내 클로니딘 농도의 3분의 2 가량을 가지게 된다.[63] 임신 중이거나, 임신을 계획 중이거나, 수유 중인 여성에게는 클로니딘 투여 시 주의해야 한다.[64]

부작용 편집

클로니딘의 주된 부작용에는 진정, 구강건조증, 저혈압이 있다.[4]

빈도 순 배열[62][65]

아주 흔함 (발생 빈도 > 10%):

흔함 (발생 빈도 1-10%):

흔하지 않음 (발생 빈도 0.1-1%):

드묾 (발생 빈도 < 0.1%):

복용 중단 시 편집

클로니딘은 교감신경계의 출력을 억제하므로 저혈압을 유발하는데, 갑자기 클로니딘 복용을 중단하면 교감신경계 출력이 다시 반등하면서 급성 고혈압이 발생하기도 한다. 극단적인 경우 응급 상황인 고혈압 위기가 일어날 수 있다.[66]

이러한 반동 효과를 피하기 위해서는 클로니딘 복용을 중단할 때 용량을 천천히 줄이면서 약물을 끊어야 한다. 클로니딘의 중단으로 인해 발생한 고혈압의 치료는 그 중증도에 따라 달라진다. 가벼운 경우에는 클로니딘을 다시 투여하고, 보다 긴급한 상황에서는 알파 차단제베타 차단제를 투여한다. 클로니딘 중단 고혈압에 베타 차단제만 투여하면 알파 수용체로 인한 혈관수축은 계속될 수 있으므로 베타 차단제만 단독으로 투여해서는 안된다.[67][68]

약리학 편집

클로니딘[69]
위치 Ki (nM) 생물 종 각주
NET >1,000 사람 [70]
5-HT1B >10,000 [71]
5-HT2A >10,000 사람 [69]
α1A 316.23 사람 [70]
α1B 316.23 사람 [70]
α1D 125.89 사람 [70]
α2A 35.48 - 61.65 사람 [70][72]
α2B 69.18 - 309.0 사람 [72][70]
α2C 134.89 - 501.2 사람 [72][70]
D1 > 10,000 [73]
I1 31.62 [70]
I2 (피질) >1,000 [70]
MAO-A >1,000 [70]
MAO-B >1,000 [70]
σ >10,000 기니피그 [74]
Ki는 수용체에 대한 약물의 친화력이다. Ki가 작을수록 수용체에 대한 친화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75] 보고된 이미다졸린-2 결합은 피질에서 측정된 것으로, 위의 막에서 측정된 I2 수용체 결합은 훨씬 낮았다.[76]

작용 기전 편집

클로니딘은 뇌혈관장벽을 가로질러 이동할 수 있다.[6]

고혈압 편집

클로니딘은 뇌줄기α2 수용체에 작용하여 말초혈관저항을 낮추고 혈압을 감소시킨다. 이때 클로니딘은 뇌줄기의 혈관운동중추에 존재하는 신경절이전 α2 수용체에 특이성을 가진다. 클로니딘이 알파2 수용체에 결합하면 교감신경계의 억제 효과를 불러와, 노르에피네프린, ATP, 레닌, 신경펩타이드 Y의 분비를 억제한다. 이 물질들은 분비됐을 때 혈관의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는 물질들이다.[8]:201–203

또한 클로니딘은 뇌의 이미다졸린-1 수용체 (I1 수용체)에도 작용제로서 작용하는데, 이 효과 역시 교감신경계의 신호를 줄여 혈압을 감소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설이 있다. 이 효과는 혈관운동중추에서 α2 작용제로서의 효과보다 상위에서 작용한다.[8]:201–203[77]

클로니딘은 서맥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론적으로는 미주신경을 통한 신호를 증가시키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정맥 주사로 투여했을 때 클로니딘은 혈관 평활근의 α1 수용체를 자극하여 일시적으로 혈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78] 이러한 혈압이 올라가는 효과는 경구나 경피 패치로 투여했을 때는 일반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8]:201–203

클로니딘의 항고혈압 효과는 정상적인 배설 기능을 가진 환자에서 혈장 농도가 0.2~2.0ng/mL일 때 나타나며, 이 범위를 넘어가면 더 이상 혈압 감소 효과가 강해지지 않는다.[79]

ADHD 편집

 
신경전달물질인 노르에피네프린과 클로니딘의 구조를 비교한 그림. 두 물질은 모두 알파2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다.[80] 두 물질 간의 유사한 부분은 빨간색으로 강조되어 있다.

ADHD가 있는 환자에서 클로니딘의 분자적인 작용 기전은 아드레날린성 수용체의 아형 중 하나인 알파2A 수용체에 클로니딘이 작용제로 작용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알파2A 수용체는 뇌에서 가장 잘 발견되는데, 특히 전전두피질에 주로 존재한다. 신경세포시냅스틈새 쪽 막에 존재하는 알파2A 수용체가 작용제에 의해 활성화되면, 시냅스로 연결된 신경세포가 억제된다. 따라서 전전두피질에 존재하는 알파2A 수용체에 클로니딘이 작용하면 그 뒤쪽의 신경세포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가 억제된다.[80]

이러한 클로니딘의 작용 기전은 뇌에서 생리적으로 청반(LC)에 의해 전전두피질 신경세포가 억제되는 과정과 유사하다. 청반은 전전두피질로 노르에피네프린을 분비하는 교뇌신경핵이다. 노르에피네프린이 하위 신경세포의 표적 아드레날린성 수용체에 결합하여 자극성 효과를 유도할 수도 있지만, 알파2A 수용체에 결합하여 상술한 클로니딘의 작용 기전과 유사하게 추가적인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를 억제하며 억제성 효과를 낼 수 있다. 전전두피질은 기억과 주의 집중에 필수적인 부분인데, 클로니딘의 전전두피질 신경세포 억제 기능은 불필요한 주의 집중과 그에 따른 과잉 행동을 없애고, 올바른 곳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생각된다.[80]

성장호르몬 검사 편집

클로니딘은 시상하부에서 성장호르몬 방출 호르몬(GHRH)의 분비를 자극하며, GHRH로 인해 뇌하수체에서는 성장호르몬 분비가 자극된다.[81]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소아에서 성장호르몬 결핍증의 진단을 보조하기 위한 성장호르몬 검사의 일부에 이용되어 왔다.[82]

약동학 편집

복용한 후 클로니딘은 혈류로 빠르게 흡수되며 생체이용률은 70~80%로 나타난다.[1] 사람의 혈장에서 최대 농도 Cmax는 즉방형(immediate release, IR) 제제의 경우 60~90분 만에 도달한다. 이는 서방형(ER/XR) 제제보다 짧은 시간이다.[83] 클로니딘의 분배계수에 로그를 취한 값(log P)은 1.6으로, 지질에 잘 녹는다.[84][83] 뇌혈관장벽을 뚫고 사람의 중추신경계에서 활성을 가지기 위한 최적의 log P 값은 2.0으로 알려져 있다.[85] 경구 투여한 용량 중에서 흡수된 용량의 절반 이하가 에서 비활성 대사산물대사되고, 나머지 절반은 대사되지 않은 채 콩팥으로 배설된다.[83] 경구 투여된 용량의 5분의 1 정도는 흡수되지 않고 대변으로 배출된다.[83] 간의 마이크로솜을 이용한 연구에서는 간에서 클로니딘이 CYP2D6 (66%), CYP1A2 (10-20%), CYP3A (0-20%)에 의해 주로 대사되며, 적은 양은 CYP3A5, CYP1A1, CYP3A4에 의해 대사된다고 밝혔다.[5] 클로니딘의 주된 대사산물인 4-하이드록시클로니딘도 알파-2 작용제이지만 지용성이 아니므로 뇌혈관장벽을 가로지를 수 없고, 클로니딘이 효과를 내는 데에는 영향이 없다고 여겨진다..[86][87]

클로니딘의 생물학적 반감기 측정값은 6시간에서 23시간까지 아주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콩팥의 기능에 반감기가 크게 영향을 받으며 콩팥 질환이 있다면 반감기가 길어진다.[83] 또한 반감기의 차이는 CYP2D6의 유전자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5] 몇몇 연구에서는 클로니딘의 반감기가 용량 의존적이며, 만성적인 투여 중에는 반감기가 대략 배로 늘어날 수 있다고 주장하였으나[88] 다른 연구들에서는 이를 부정하기도 했다.[3] 0.3mg을 경구 투여했을 때, 환자 5명을 대상으로 한 소규모 연구에서는 반감기를 6.3~23.4시간, 평균은 12.7시간으로 측정하였다.[89] 비슷하게 5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반감기의 범위가 보다 좁게 측정되어 6.7~13시간, 평균은 8.6시간이라는 결과를 냈다.[1] 한편 보다 젊은 환자가 포함된 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평균 반감기가 7.5시간으로 다소 짧게 측정되었다.[90]

참고 문헌 편집

  1. Davies DS, Wing AM, Reid JL, Neill DM, Tippett P, Dollery CT (May 1977). “Pharmacokinetics and concentration-effect relationships of intervenous and oral clonidine”.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21 (5): 593–601. doi:10.1002/cpt1977215593. PMID 870272. S2CID 5566079. 
  2. “Catapres- clonidine hydrochloride tablet”. 《DailyMed》. 2016년 9월 6일. 2019년 12월 21일에 확인함. The pharmacokinetics of clonidine is dose-proportional in the range of 100 to 600 µg.The absolute bioavailability of clonidine on oral administration is 70% to 80%. Peak plasma clonidine levels are attained in approximately 1 to 3 hours. 
  3. Lowenthal DT, Matzek KM, MacGregor TR (May 1988). “Clinical pharmacokinetics of clonidine”. 《Clinical Pharmacokinetics》 14 (5): 287–310. doi:10.2165/00003088-198814050-00002. PMID 3293868. S2CID 24783447. 
  4. “clonidine (Rx) - Catapres, Catapres-TTS, more..”. 《Medscape Reference》. WebMD. 2013년 11월 10일에 확인함. 
  5. Claessens AJ, Risler LJ, Eyal S, Shen DD, Easterling TR, Hebert MF (September 2010). “CYP2D6 mediates 4-hydroxylation of clonidine in vitro: implication for pregnancy-induced changes in clonidine clearance”. 《Drug Metabolism and Disposition》 38 (9): 1393–1396. doi:10.1124/dmd.110.033878. PMC 2939473. PMID 20570945. 
  6. “Catapres- clonidine hydrochloride tablet”. 《DailyMed》. 2016년 9월 6일. 2019년 12월 21일에 확인함. Following intravenous administration, clonidine displays biphasic disposition with a distribution half-life of about 20 minutes and an elimination half-life ranging from 12 to 16 hours. The half-life increases up to 41 hours in patients with severe impairment of renal function. Clonidine crosses the placental barrier. It has been shown to cross the blood–brain barrier in rats. 
  7. “Kapvay”. 《RxList》. 
  8. Westfall TC, Macarthur H, Westfall DP (2017). 〈Chapter 12:Adrenergic Agonists and Antagonists〉. Brunton L, Knollmann B, Hilal-Dandan R.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영어) 13판. McGraw-Hill Education / Medical. ISBN 9781259584732. 
  9. “Clonidine Monograph for Professionals”. 《Drugs.com》 (영어).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9년 2월 2일에 확인함. 
  10. 《British national formulary : BNF 76》 76판. Pharmaceutical Press. 2018. 144쪽. ISBN 9780857113382. 
  11. Neil MJ (November 2011). “Clonidine: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 use in pain management”. 《Current Clinical Pharmacology》 6 (4): 280–287. doi:10.2174/157488411798375886. PMID 21827389. S2CID 40756251. 
  12. Stähle H (June 2000). “A historical perspective: development of clonidine”.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Anaesthesiology》 14 (2): 237–246. doi:10.1053/bean.2000.0079. 
  13. Fischer J, Ganellin CR (2006).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영어). John Wiley & Sons. 550쪽. ISBN 9783527607495. 
  14. “The Top 300 of 2020”. 《ClinCalc》. 2022년 10월 7일에 확인함. 
  15. “Clonidine - Drug Usage Statistics”. 《ClinCalc》. 2022년 10월 7일에 확인함. 
  16. “켑베이서방정”. 《약학정보원》. 2023년 4월 10일에 확인함. 
  17. 최은택. “[데일리팜] 켑베이 등 신약 3개 급여기준 신설…오저덱스, 확대”. 《데일리팜》. 2023년 4월 10일에 확인함. 
  18. 김정주. “[데일리팜] 성인용 천식치료제 제피러스흡입용캡슐 내달 등재”. 《데일리팜》. 2023년 4월 10일에 확인함. 
  19. Viera AJ (June 2018). “Hypertension Update: Resistant Hypertension”. 《FP Essent》 469: 20–25. PMID 29863319. 
  20. “CATAPRES- clonidine hydrochloride tablet”. 《DailyMed》. 2016년 9월 6일. 2019년 12월 21일에 확인함. Slowing of the pulse rate has been observed in most patients given clonidine, but the drug does not alter normal hemodynamic response to exercise. Other studies in patients have provided evidence of a reduction in plasma renin activity and in the excretion of aldosterone and catecholamines. 
  21. Connor DF, Fletcher KE, Swanson JM (December 1999). “A meta-analysis of clonidine for symptoms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8 (12): 1551–1559. doi:10.1097/00004583-199912000-00017. PMID 10596256. 
  22. Rossi, S, 편집. (2013). 《Australian Medicines Handbook》 2013판. Adelaide: The Australian Medicines Handbook Unit Trust. ISBN 978-0-9805790-9-3. 
  23. Palumbo DR, Sallee FR, Pelham WE, Bukstein OG, Daviss WB, McDERMOTT MP (February 2008). “Clonidine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 Efficacy and tolerability outcome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7 (2): 180–188. doi:10.1097/chi.0b013e31815d9af7. PMID 18182963. 
  24. Daviss WB, Patel NC, Robb AS, McDERMOTT MP, Bukstein OG, Pelham WE, 외. (February 2008). “Clonidine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I. ECG changes and adverse events 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7 (2): 189–198. doi:10.1097/chi.0b013e31815d9ae4. PMID 18182964. 
  25. Kornfield R, Watson S, Higashi AS, Conti RM, Dusetzina SB, Garfield CF, 외. (April 2013). “Effects of FDA advisories on the pharmacologic treatment of ADHD, 2004-2008”. 《Psychiatric Services》 64 (4): 339–346. doi:10.1176/appi.ps.201200147. PMC 4023684. PMID 23318985. 
  26. Palumbo DR, Sallee FR, Pelham WE, Bukstein OG, Daviss WB, McDERMOTT MP (February 2008). “Clonidine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 Efficacy and tolerability outcome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7 (2): 180–188. doi:10.1097/chi.0b013e31815d9af7. PMID 18182963. 
  27. Kollins SH, Jain R, Brams M, Segal S, Findling RL, Wigal SB, Khayrallah M (June 2011). “Clonidine extended-release tablets as add-on therapy to psychostimulant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Pediatrics》 127 (6): e1406–e1413. doi:10.1542/peds.2010-1260. PMC 3387872. PMID 21555501. 
  28. Jäkälä P, Riekkinen M, Sirviö J, Koivisto E, Kejonen K, Vanhanen M, Riekkinen P (May 1999). “Guanfacine, but not clonidine, improves planning and working memory performance in humans”. 《Neuropsychopharmacology》 20 (5): 460–470. doi:10.1016/S0893-133X(98)00127-4. PMID 10192826. 
  29. Freeland K, Turner A, Gormley L (2014). “Clonidine and Guanfacine IR vs ER: Old Drugs With "New" Formulations”. 《Mental Health Clinician》 4: 22–26. doi:10.9740/mhc.n186955. 2014년 8월 1일에 확인함. 
  30. Nguyen M, Tharani S, Rahmani M, Shapiro M (March 2014). “A review of the use of clonidine as a sleep aid in the child and adolescent population”. 《Clinical Pediatrics》 53 (3): 211–216. doi:10.1177/0009922813502123. PMID 24027233. S2CID 742140. 
  31. Hoban TF (March 2004). “Assessment and treatment of disturbed sleep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Expert Review of Neurotherapeutics》 4 (2): 307–316. doi:10.1586/14737175.4.2.307. PMID 15853572. S2CID 35000868. 
  32. Schachar R, Ickowicz A (1999).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Disorder〉. 《Handbook of Disruptive Behavior Disorders》. Springer US. 221–254쪽. doi:10.1007/978-1-4615-4881-2_10. ISBN 978-1-4613-7214-1. 
  33. Wilens TE, Biederman J, Spencer T (1994). “Clonidine for sleep disturbances associated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3 (3): 424–426. doi:10.1097/00004583-199403000-00018. PMID 8169189. 
  34. Fitzgerald PJ (October 2013). “Elevated Norepinephrine may be a Unifying Etiological Factor in the Abuse of a Broad Range of Substances: Alcohol, Nicotine, Marijuana, Heroin, Cocaine, and Caffeine”. 《Substance Abuse》 7: 171–183. doi:10.4137/SART.S13019. PMC 3798293. PMID 24151426. 
  35. Giannini AJ (1997). 《Drugs of Abuse》 2판. Los Angeles: Practice Management Information. 
  36. Gourlay SG, Stead LF, Benowitz NL (2004). “Clonidine for smoking cessation”.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08 (3): CD000058. doi:10.1002/14651858.CD000058.pub2. PMC 7038651. PMID 15266422. 
  37. Streetz VN, Gildon BL, Thompson DF (April 2016). “Role of Clonidine in Neonatal Abstinence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The Annals of Pharmacotherapy》 50 (4): 301–310. doi:10.1177/1060028015626438. PMID 26783353. S2CID 40652097. 
  38. Disher T, Gullickson C, Singh B, Cameron C, Boulos L, Beaubien L, Campbell-Yeo M (March 2019). “Pharmacological Treatments for Neonatal Abstinence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JAMA Pediatrics》 173 (3): 234–243. doi:10.1001/jamapediatrics.2018.5044. PMC 6439896. PMID 30667476. 
  39. Kukoyi A, Coker S, Lewis L, Nierenberg D (January 2013). “Two cases of acute dexmedetomidine withdrawal syndrome following prolonged infus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Report of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Human & Experimental Toxicology》 32 (1): 107–110. doi:10.1177/0960327112454896. PMID 23111887. S2CID 31570614. 
  40. Chang E, Ghosh N, Yanni D, Lee S, Alexandru D, Mozaffar T (2013). “A Review of Spasticity Treatments: Pharmacological and Interventional Approaches”. 《Critical Reviews in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25 (1–2): 11–22. doi:10.1615/CritRevPhysRehabilMed.2013007945. PMC 4349402. PMID 25750484. 
  41. van der Kolk BA (September–October 1987). “The drug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3 (2): 203–213. doi:10.1016/0165-0327(87)90024-3. PMID 2960712. 
  42. Sutherland SM, Davidson JR (June 1994). “Pharmacotherapy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17 (2): 409–423. doi:10.1016/S0193-953X(18)30122-9. PMID 7937367. 
  43. Southwick SM, Bremner JD, Rasmusson A, Morgan CA, Arnsten A, Charney DS (November 1999). “Role of norepinephrine in the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iological Psychiatry》 46 (9): 1192–1204. doi:10.1016/S0006-3223(99)00219-X. PMID 10560025. S2CID 32148292. 
  44. Strawn JR, Geracioti TD (2008). “Noradrenergic dysfunction and the psychopharmacolog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epression and Anxiety》 25 (3): 260–271. doi:10.1002/da.20292. PMID 17354267. S2CID 33940152. 
  45. Boehnlein JK, Kinzie JD (March 2007). “Pharmacologic reduction of CNS noradrenergic activity in PTSD: the case for clonidine and prazosin”. 《Journal of Psychiatric Practice》 13 (2): 72–78. doi:10.1097/01.pra.0000265763.79753.c1. PMID 17414682. S2CID 1607064. 
  46. Huffman JC, Stern TA (2007). “Neuropsychiatric consequences of cardiovascular medications”. 《Dialogues in Clinical Neuroscience》 9 (1): 29–45. doi:10.31887/DCNS.2007.9.1/jchuffman. PMC 3181843. PMID 17506224. 
  47. Najjar F, Weller RA, Weisbrot J, Weller EB (April 2008).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its treatm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Current Psychiatry Reports》 10 (2): 104–108. doi:10.1007/s11920-008-0019-0. PMID 18474199. S2CID 23494905. 
  48. Ziegenhorn AA, Roepke S, Schommer NC, Merkl A, Danker-Hopfe H, Perschel FH, 외. (April 2009). “Clonidine improves hyperarousal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with or without comorbi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Journal of Clinical Psychopharmacology》 29 (2): 170–173. doi:10.1097/JCP.0b013e31819a4bae. PMID 19512980. S2CID 31292297. 
  49. Fazi L, Jantzen EC, Rose JB, Kurth CD, Watcha MF (January 2001). “A comparison of oral clonidine and oral midazolam as preanesthetic medications in the pediatric tonsillectomy patient”. 《Anesthesia and Analgesia》 92 (1): 56–61. doi:10.1097/00000539-200101000-00011. PMID 11133600. S2CID 18885497. 
  50. Giannini AJ, Extein I, Gold MS, Pottash AL, Castellani S (1983). “Clonidine in mania”. 《Drug Development Research》 3 (1): 101–105. doi:10.1002/ddr.430030112. S2CID 85093127. 
  51. Patel SS, Dunn CJ, Bryson HM (1996). “Epidural clonidine: a review of its pharmacology and efficacy in the management of pain during labour and postoperative and intractable pain”. 《CNS Drugs》 6 (6): 474–497. doi:10.2165/00023210-199606060-00007. S2CID 72544106. 
  52. “Treatment and Management of RLS”. 《www.medscape.org》. WebMD LLC. 2018년 10월 3일에 확인함. 
  53. Blount BW, Pelletier AL (August 2002). “Rosacea: a common, yet commonly overlooked, condition”. 《American Family Physician》 66 (3): 435–440. PMID 12182520. 
  54. Campbell CM, Kipnes MS, Stouch BC, Brady KL, Kelly M, Schmidt WK, 외. (September 2012). “Randomized control trial of topical clonidine for treatment of painful diabetic neuropathy”. 《Pain》 153 (9): 1815–1823. doi:10.1016/j.pain.2012.04.014. PMC 3413770. PMID 22683276. 
  55. “Clonidine Oral Uses”. WebMD. 
  56. “Clonidine”. Drugs.com. 
  57. Fragkos KC, Zárate-Lopez N, Frangos CC (May 2016). “What about clonidine for diarrho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its effect in humans”. 《Therapeutic Advances in Gastroenterology》 9 (3): 282–301. doi:10.1177/1756283X15625586. PMC 4830099. PMID 27134659. 
  58. Egolf A, Coffey BJ (February 2014). “Current pharmacotherapeutic approaches for the treatment of Tourette syndrome”. 《Drugs of Today》 50 (2): 159–179. doi:10.1358/dot.2014.50.2.2097801. PMID 24619591. 
  59. Martinotti G, Santacroce R, Pettorruso M, Montemitro C, Spano MC, Lorusso M, 외. (March 2018). “Hallucinogen Persisting Perception Disorder: Etiology, Clinical Features, and Therapeutic Perspectives”. 《Brain Sciences》 8 (3): 47. doi:10.3390/brainsci8030047. PMC 5870365. PMID 29547576. 
  60. Ryan TJ, Holyoak R, Vlok R, Melhuish T, Hodge A, Binks M, Hurtado G, White L (February 2019). “Intra-articular Alpha-2 Agonists as an Adjunct to Local Anesthetic in Knee Arthroscop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Knee Surg》 32 (2): 138–145. doi:10.1055/s-0038-1636909. PMID 29534270. S2CID 3861878. 
  61. Eisenhofer G, Goldstein DS, Walther MM, Friberg P, Lenders JW, Keiser HR, Pacak K (June 2003). “Biochemical diagnosis of pheochromocytoma: how to distinguish true- from false-positive test results”.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88 (6): 2656–2666. doi:10.1210/jc.2002-030005. PMID 12788870. 
  62. “CATAPRES® 150 TABLETS CATAPRES® AMPOULES” (PDF). 《TGA eBusiness Services》. Boehringer Ingelheim Pty Limited. 2013년 2월 28일. 2013년 11월 27일에 확인함. 
  63. 〈Clonidine〉. 《Drugs and Lactation Database (LactMed)》.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US). 2006. PMID 30000689. 2019년 1월 5일에 확인함. 
  64. “Clonidine”. 《Prescription Marketed Drugs》. www.drugsdb.eu. 2012년 3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2일에 확인함. 
  65. “Clonidine 25 mcg Tablets BP -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SPC)”. 《electronic Medicines Compendium》. Sandoz Limited. 2012년 8월 2일. 2013년 11월 27일에 확인함. 
  66. Brayfield, A, 편집. (2014년 1월 13일). “Clonidine”. 《Martindale: The Complete Drug Reference》. London, UK: Pharmaceutical Press. 2014년 6월 28일에 확인함. 
  67. Parker K, Brunton L, Goodman LS, Lazo JS, Gilman A (2006). 《Goodman & Gilman's -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New York: McGraw-Hill. 854–855쪽. ISBN 978-0-07-142280-2. 
  68. Vitiello B (2008). “Understanding the Risk of Using Medications for ADHD with Respect to Physical Growth and Cardiovascular Function”. 《Child Adolesc Psychiatr Clin N Am》 17 (2): 459–474, xi. doi:10.1016/j.chc.2007.11.010. PMC 2408826. PMID 18295156. 
  69. Roth BL, Driscol J. “PDSP Ki Database”. 《Psychoactive Drug Screening Program (PDSP)》.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and the United States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17년 8월 14일에 확인함. 
  70. Millan MJ, Dekeyne A, Newman-Tancredi A, Cussac D, Audinot V, Milligan G, 외. (December 2000). “S18616, a highly potent, spiroimidazoline agonist at alpha(2)-adrenoceptors: I. Receptor profile, antinociceptive and hypothermic actions in comparison with dexmedetomidine and clonidine”. 《The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295 (3): 1192–1205. PMID 11082457. 
  71. Matsumoto I, Combs MR, Jones DJ (February 1992). “Characterization of 5-hydroxytryptamine1B receptors in rat spinal cord via [125I]iodocyanopindolol binding and inhibition of [3H]-5-hydroxytryptamine release”. 《The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260 (2): 614–626. PMID 1738111. 
  72. Jasper JR, Lesnick JD, Chang LK, Yamanishi SS, Chang TK, Hsu SA, 외. (April 1998). “Ligand efficacy and potency at recombinant alpha2 adrenergic receptors: agonist-mediated [35S]GTPgammaS binding”. 《Biochemical Pharmacology》 55 (7): 1035–1043. doi:10.1016/s0006-2952(97)00631-x. PMID 9605427. 
  73. Neve KA, Henningsen RA, Kinzie JM, De Paulis T, Schmidt DE, Kessler RM, Janowsky A (March 1990). “Sodium-dependent isomerization of dopamine D-2 receptors characterized using [125I]epidepride, a high-affinity substituted benzamide ligand”. 《The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252 (3): 1108–1116. PMID 2138666. 
  74. Weber E, Sonders M, Quarum M, McLean S, Pou S, Keana JF (November 1986). “1,3-Di(2-[5-3H]tolyl)guanidine: a selective ligand that labels sigma-type receptors for psychotomimetic opiates and antipsychotic drug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83 (22): 8784–8788. Bibcode:1986PNAS...83.8784W. doi:10.1073/pnas.83.22.8784. PMC 387016. PMID 2877462. 
  75. Kenakin T (2009). 〈Ligand-Receptor Binding and Tissue Response〉. Hacker M, Messer W, Bachmann K. 《Pharmacology》 (영어). Elsevier. 65쪽. ISBN 9780123695215. 
  76. Molderings GJ, Donecker K, Burian M, Simon WA, Schröder DW, Göthert M (April 1998). “Characterization of I2 imidazoline and sigma binding sites in the rat and human stomach”. 《The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285 (1): 170–177. PMID 9536007. 
  77. Reis DJ, Piletz JE (1997). “The imidazoline receptor in control of blood pressure by clonidine and drugs”.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273 (5): R1569–R1571. doi:10.1152/ajpregu.1997.273.5.R1569. PMID 9374795. 
  78. Giovannitti JA, Thoms SM, Crawford JJ (2015). “Alpha-2 adrenergic receptor agonists: a review of current clinical applications”. 《Anesthesia Progress》 (미국 영어) 62 (1): 31–39. doi:10.2344/0003-3006-62.1.31. PMC 4389556. PMID 25849473. 
  79. “CATAPRES- clonidine hydrochloride tablet”. 《DailyMed》. 2016년 9월 6일. 2019년 12월 21일에 확인함. The antihypertensive effect is reached at plasma concentrations between about 0.2 and 2.0 ng/mL in patients with normal excretory function. A further rise in the plasma levels will not enhance the antihypertensive effect. 
  80. Cinnamon Bidwell L, Dew RE, Kollins SH (October 2010). “Alpha-2 adrenergic receptors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urrent Psychiatry Reports》 12 (5): 366–373. doi:10.1007/s11920-010-0136-4. PMC 3676929. PMID 20652773. 
  81. Low LC (1991). “Growth hormone-releasing hormone: clinical studies and therapeutic aspects”. 《Neuroendocrinology》 53 (Suppl 1): 37–40. doi:10.1159/000125793. PMID 1901390. 
  82. “Growth Hormone Test”. 《www.cincinnatichildrens.org》 (영어). 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2018년 10월 13일에 확인함. 
  83. Khan ZP, Ferguson CN, Jones RM (February 1999). “alpha-2 and imidazoline receptor agonists. Their pharmacology and therapeutic role”. 《Anaesthesia》 54 (2): 146–165. doi:10.1046/j.1365-2044.1999.00659.x. PMID 10215710. S2CID 28405271. 
  84. 《Foye's principles of medicinal chemistry》 6판.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8. 403쪽. ISBN 9780781768795. 
  85. Pajouhesh H, Lenz GR (October 2005). “Medicinal chemical properties of successful central nervous system drugs”. 《NeuroRx》 2 (4): 541–553. doi:10.1602/neurorx.2.4.541. PMC 1201314. PMID 16489364. 
  86. Skingle M, Hayes AG, Tyers MB (September 1982). “Antinociceptive activity of clonidine in the mouse, rat and dog”. 《Life Sciences》 31 (11): 1123–1132. doi:10.1016/0024-3205(82)90086-8. PMID 6128647. 
  87. Curtis AL, Marwah J (July 1987). “Alpha adrenoceptor modulation of the jaw-opening reflex”. 《Neuropharmacology》 26 (7A): 649–655. doi:10.1016/0028-3908(87)90224-3. PMID 2819761. S2CID 41743285. 
  88. Frisk-Holmberg M, Paalzow L, Edlund PO (November 1981). “Clonidine kinetics in man--evidence for dose dependency and changed pharmacokinetics during chronic therapy”.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12 (5): 653–658. doi:10.1111/j.1365-2125.1981.tb01284.x. PMC 1401969. PMID 7332729. 
  89. Dollery CT, Davies DS, Draffan GH, Dargie HJ, Dean CR, Reid JL, 외. (January 1976). “Clinical pharmacology and pharmacokinetics of clonidine”.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19 (1): 11–17. doi:10.1002/cpt197619111. PMID 1245090. S2CID 39473828. 
  90. Keränen A, Nykänen S, Taskinen J (May 1978). “Pharmacokinetics and side-effects of clonidine”.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13 (2): 97–101. doi:10.1007/BF00609752. PMID 658114. S2CID 24702183.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클로니딘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Clonidine”. 《Drug Information Portal》.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Alpha-2 agonists in ADH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