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레이트

두 자리 이상의 리간드가 금속이온과 배위한 화합물
(킬레이트화에서 넘어옴)

킬레이트(영어: chelate)는 한 개의 리간드금속 이온과 두 자리 이상에서 배위결합을 하여 생긴 착이온이다.[1] 해당 리간드는 킬레이트제(chelator, chelating agent, chelant)라고 한다. 주로 킬레이트는 유기화합물이지만, 아연윌슨병 환자에서 구리 흡수를 막는 데에 사용할 때처럼 항상 유기화합물인 것은 아니다.[2]

금속-EDTA 킬레이트

예를 들어 구리가 포함된 용액에 에틸렌다이아민의 수용액을 가할 때 구리는 에틸렌다이아민의 두개의 아민기의 질소 원자와 결합하여 고리모양의 착이온을 만드는데, 이렇게 해서 생성된 화합물을 킬레이트라 한다.

킬레이트를 형성하는 대표적인 리간드로는 에틸렌다이아민,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가 있다.

어원 편집

새우나 게의 집게를 뜻하는 그리스어의 Chela라는 단어에서 유래했으며 중심 금속리간드가 집게처럼 물고 있는 모양을 뜻한다.

각주 편집

  1. IUPAC definition of chelation.
  2. “Zinc”. 《NCBI Bookshelf》 (Bethesda (MD):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2015년 1월 10일. PMID 31643536. 2020년 3월 2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