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 교산동 마애약사여래좌상

경기도 하남시 교산동의 고려시대 마애불

하남 교산동 마애약사여래좌상(河南 校山洞 磨崖藥師如來坐像, 영어: Rock-carved Seated Bhaisajyaguru Buddha in Gyosan-dong, Hanam)은 경기도 하남시 교산동에 있는 고려시대마애불상이다.

하남 교산동 마애약사여래좌상
(河南 校山洞 磨崖藥師如來坐像)
(Rock-carved Seated Bhaisajyaguru Buddha in Gyosan-dong, Hanam)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제981호
(1989년 4월 10일[1] 지정)
수량1구
시대2년(977)
소유선법사
관리선법사
위치
주소경기도 하남시 교산동 산10-3번지 선법사
좌표북위 37° 31′ 6″ 동경 127° 12′ 31″ / 북위 37.51833° 동경 127.20861°  / 37.51833; 127.20861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약사여래좌상
(藥師如來坐像)
대한민국 경기도유형문화재(해지)
종목유형문화재 제59호
(1974년 9월 26일 지정)
(1989년 4월 15일 해지)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태평(太平, 태평흥국(太平興國)) 2년 정축 7월 29일'이라는 글이 새겨져 있어 만든 시기가 고려 경종 2년(977년)임을 알 수 있다. 제작 연대가 분명하여 고려 초기 불상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바위 남쪽에 새겨져 있으며 불상의 전체 높이는 93센티미터이다. 법의는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있다. 손바닥을 위로 한 왼손에는 약그릇이 놓여져 있으며, 오른손은 손바닥이 정면을 향하고 손가락을 위로 하고 있다. 몸 뒤편에 있는 광배는 두광신광을 함께 표현하였으며, 주위에는 불꽃무늬가 둘러져 있다.

1989년 4월 15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981호 태평2년명마애약사불좌상(太平2年銘磨崖藥師佛坐像)으로 지정[1]되었다가, 2010년 8월 25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2]

현지 안내문

편집

질병에서 모든 중생을 구제해 준다는 약사불을 형상화한 것으로 바위 남쪽면에 전체 높이 93cm로 새겨져 있다. ‘태평 2년 정축 7월 29일’이라는 글을 통해 만든 시기가 고려 경종 2년(977)임을 알 수 있다.[3]

부드러운 얼굴을 하고 있고 옷은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고 있으며 옷주름 표현에서는 가지런함이 엿보인다. 손바닥을 위로 한 왼손에는 약그릇이 놓여져 있으며, 오른손은 손바닥이 정면을 향하고 손가락을 위로 하고 있다.[3]

몸 뒤편에 있는 광배(光背)는 머리광배와 몸광배를 계단식으로 새기고 있으며, 주위에는 불꽃무늬가 둘러져 있다. 대좌(臺座)는 연꽃잎이 아래로 향한 모양의 하대석 위에 4개의 짧은 기둥으로 이루어진 중대석이 있으며, 그 위에 5잎의 활짝 핀 연꽃이 불신을 떠받치고 있다.[3]

비교적 보존 상태가 좋은 이 불상은 만들어진 연대에 대한 확실한 기록이 남아 있어 고려 초기 불상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3]

지정 사유

편집

이 마애불상은 손에 약합을 들고 있는 약사불로 오른쪽 벽면에 ‘太平二年丁丑七月九日 古石佛在如賜乙 重脩爲今上 皇帝萬歲願(태평2년정축7월29일고석 불재여석을중수위금상 황제만세원 : 태평이년 정축 칠월이십구일에 옛 석불을 중수하며 금상 황제의 만세를 원한다)’이라는 명문이 음각되어 있어 977년(고려 경종 2년)에 중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체높이는 93㎝이다.

약사불상은 무릎 위에 놓은 왼손으로 약합을 들었으며 오른손은 가슴 높이로 올려 시무외인을 결하고 있다. 체구는 장대하고 소발의 머리에 갸름한 얼굴의 눈꼬리가 위로 치켜올라간 두 눈과 오뚝한 코, 작은 입 등의 이목구비는 광주철불을 비롯한 고려 초기 불상의 얼굴모습과 유사한 특징을 보여준다. 특히 대의를 우견편단식으로 입은 대의의 단이 왼쪽 어깨에서 제쳐지는 표현은 전 적조사지출토 철불좌상이나 포천출토 철불좌상에서 보이는 점이어서 흥미롭다. 광배는 삼중원의 두광과 신광에 화염문이 새겨져 있고, 대좌는 삼단의 연화대좌로 상대의 연잎이 화려하다. 전체적으로 회화를 연상하게 하는 얕은 저부조로 조각되었으며 그 기법이 섬세하고 정교하다. 또한 양식적인 면에서 광주철불을 비롯한 고려 초기 불상들과 유사하다.

명문에서는 이 불상을 보수하였다고 하나 이 불상 자체에 새로 손질을 가한 흔적이 없으므로 대좌나 광배부분은 추각하였거나 이 불상과 관련된 가구 등을 보수했던 것이 아닐까 생각되며, 불상의 최초 조성시기는 977년보다 30~40년 이른 10세기 전반 무렵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 마애불상이 있는 곳은 지금은 하남시 교동으로 행정구역 명칭이 바뀌었으나 원래는 경기도 광주군 동부면 교리에 해당한다. 이 곳에서 멀지 않은 하사창동의 절터에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광주 하사창리 철불이 출토되었고 춘궁동에는 두 기의 석탑이 전해오고 있어 고려 초기에 이 일대에서 불교가 융성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 일대는 고려 초기 광주의 호족이었던 왕규의 근거지였다. 왕규는 원래 함규였는데 왕건으로부터 왕씨 성을 사성받아 왕규가 되었으며 딸 둘을 태조 왕건에게 출가시키고, 하나를 혜종에게 출가시키는 등 2대에 걸친 국구로서 막강한 세력을 가진 인물이었다. 그는 고려의 사절로 중국을 다녀오기고 하였고 태조의 임종을 지켜본 신하 가운데 한 사람이기도 하였다.

그의 세력적 근거지였던 광주에서 출토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철불상은 고려왕실과 외척세력의 배경으로 창건되었을 거대한 규모의 사찰을 상상하게 한다. 이 약사불상 역시 이와 같은 정치사회적 배경에서 조성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약사불상이 있떤 사찰은 광주철불이 봉안되었던 본 사찰의 부속 암자 혹은 원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즉, 이 마애불상은 고려의 중심지역이었던 개경과 경기지역의 고려 초기 불상의 한 예라고 판단된다.[4]

사진

편집

각주

편집
  1. 문화공보부고시제758호, 《국보및보물지정》, 문화공보부장관, 대한민국 관보 제11206호, 10-11쪽, 1989-04-15
  2. 문화재청고시제2010-89호(국가지정문화재 보물지정), 제17328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10. 8. 25. / 63 페이지 / 1.2MB
  3. 현지 안내문 인용
  4. 하남 교산동 마애약사여래좌상(河南 校山洞 磨崖藥師如來坐像) -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 자료출처 : 『문화재대관(보물편·석조2, 개정판)』

참고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