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자료형 체계

마지막 댓글: Ykhwong님 (12년 전)

영어 문서에서 Statically typed language라는 말이 발견되는데 이 말을 '정적 자료형 언어'라고 하면 이게 명사가 되버립니다. 하지만 이것을 구글 번역기에 돌려본 결과 '정적으로 입력된 언어'라고 나옵니다. 제가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정적으로 선언된 언어'라고 했는데 뭐라고 번역해야 옳은 표현일까요? 그리고 또 type는 형 혹은 자료형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영어 문서에서는 typing 혹은 typed라고 합니다. 또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선언' 혹은 '선언된'이라고 했는데 영어 낱말로는 declared와 헷갈리게 만듭니다. 이 문제도 어떻게 해야 될까요? --Creation FrOH (토론) 2011년 8월 16일 (화) 16:58 (KST)답변

구글 번역기는 컴퓨터 환경의 용어로서만 번역되는 것이 아니며 경험상 영한 번역은 그리 신뢰할만하지 못합니다. "정적으로 (자료)형이 결정되는 언어"로 옮겨야 하지 않을까요? 형 검사가 컴파일 시간 동안에 이루어지면 자료형이 고정되므로 static typing(정적 자료형 결정)이고, 그 반대(실시간)라면 컴파일 후에 동적으로 결정이 가능하므로 dynamic typing(동적 자료형 결정)이니까요. 마치 statically linked library가 떠오르는군요. 한국의 컴퓨터 전문 용어사전에 해당 용어가 없다면 해당 용어를 읽는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용어를 선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ted (토론) 2011년 10월 22일 (토) 14:19 (KST)답변
그런데 생각해 본 결과로 typing과 typed는 정형(定形)이라고 해야 될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자료형 결정이라고 하면 문서가 너무 길어지기 때문에 자료'형' 결'정'에서 따와서 정형이라고 해야 될 것 같습니다. 정형외과도 마찬가지로 '형태를 정해주는 외과'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에서의 정형은 '자료형을 정해준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면 정형이라고 하고 처음으로 정형이라고 쓰인 옆에 (자료형을 정한다는 뜻)이라고 붙일까요? --Creation FrOH (토론) 2011년 10월 23일 (일) 19:43 (KST)답변
그렇게 하시려면, 서문에 한자와 더불어 정형에 대한 정보를 간단히 기술해 주신 다음, "자료형 결정"이라는 용어를 그것으로 변경하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형"이라는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를 위해서입니다. 일단 기여해 주세요. 나중에 관심을 갖고 확인하겠습니다. --ted (토론) 2011년 10월 23일 (일) 19:46 (KST)답변
"자료형 체계"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