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징거미새우

인터위키 삭제

편집

해당 인터위키들은 모두 징거미가 아니라 징거미속을 가리키므로 삭제했습니다. Ø᚛ᚄᚙᚂᚖᚋᚙᚅᚇᚖ᚜ (토론 / 기여) 2013년 6월 12일 (수) 20:39 (KST)답변

제가 인터위키를 추가할 때 일본판 인터위키만 참조하여 달았더니, Macrobrachium nipponense가 아니라 Macrobrachium으로 연결되더군요...일본판 문서만 징거미를 설명하는 것 같습니다.Els-Enora (토론)
일본판 역시 taxbox를 보면 속을 설명하는 거 같습니다. 지금은 피곤해서 무리고, 나중에 천천히 읽어보고 일본어판만 연결하던가 또는 그냥 냅두던가 결정하도록 하겠습니다. Ø᚛ᚄᚙᚂᚖᚋᚙᚅᚇᚖ᚜ (토론 / 기여) 2013년 6월 12일 (수) 20:45 (KST)답변

징거미새우와 시클리드가 대적할 수 있을까요?

편집

징거미새우는 아시아의 민물새우입니다. 본문에 '애완동물로도 사육되며, 사육시에는 가재의 방법을 따른다.'라는 내용이 있는 걸로 보아, 수족관에서 길러지기도 하나 봅니다. '자기 몸집만한 시클리드와 대적할 수 있다.'라는 문장은 저도 몹시 궁금해서 찾아봤습니다. :)

구글 '징거미 시클리드' 검색 결과

1.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fish&no=655744 제목은 '시클리드 항에 징거미 새우 투입 가능하냐??'라는, 디시인사이드 커뮤니티의 글입니다. 댓글에는 '징거미가 시클리드를 밤에 공격할 수 있다' 등 징거미가 시클리드를 공격할 수 있다는 내용이 써 있습니다.

2. http://tip.daum.net/question/38928691 제목은 '열대어가 생이새우 잡아먹나요?'라는, 다음 팁의 질문입니다. 답변에는 '징거미 같은 새우는 붕어가 달라붙으면 대적할정도로 사나운 새우랍니다.' 등 징거미가 사나운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내용이 써 있습니다.

이외의 글들은 모두 위키백과의 징거미새우 문서를 출처로 참고한 것들입니다.

그런데, 오히려 시클리드가 징거미새우를 잡아먹기도 한다는 글들도 있습니다.

3.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8&dirId=80508&docId=216793463&qb=7KeV6rGw66+4IOyLnO2BtOumrOuTnA==&enc=utf8&sect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TMRLXdpySo8ssb3BF64ssssssOh-240388&sid=D04Dw7DruQSZqvu/KStXIg%3D%3D 제목은 '열대어 징거미새우 합사 질문입니다' 네이버 지식IN의 질문입니다. 두 답변자 모두 '시클리드가 징거미새우를 손쉽게 잡아먹는다.'라는 공통된 답변을 썼습니다.

4. http://cafe.naver.com/daichung/17708 제목은 '시클리드 어항에 합사 할수있는것들은?[답변]' 네이버 관상어 카페입니다. 이 게시물의 댓글도 마찬가지로, '시클리드는 새우를 잡아먹는다.'라는 내용입니다.

결론적으로, 징거미새우가 시클리드와 대적하거나, 공격할 수 있다는 경험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시클리드 역시 징거미를 잡아먹는다는 경험담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위의 출처들은 모두 개인적인 웹사이트, 블로그, 카페 등이 출처로, '신뢰할 수 있는 출처'로 받아들이지 않습니다.(위키백과:확인 가능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따라서 전문적인 출처가 나올 때까지 기다리거나, 위의 출처들 중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네요. :)--Titanoptera (토론) 2017년 4월 6일 (목) 00:41 (KST)

  1. 블로그, 카페가 아니라 쇼 파워 비디오 tv프로가 출처입니다. 동영상의 니그로와 징거미는 크기가 비슷하고요,물론 크기차이가 벌어지면 어느 한 쪽이 잡아먹겠지요. 쇼 파워 비디오도 안보셨는지요?
  2. "문서를 편집할 때에는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제시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그 내용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라고 하셨는데 삭제될 수 있습니다.라는 말은 삭제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라는 말과 같습니다.

야생의 저리더프 (토론)

사용자토론:IRTC1015#남기신 편집 요약에 대하여 한 말씀 드립니다.에서 비슷한 얘기가 나왔었던 것 같은데, 위키백과에 등재되는 모든 내용은 확인 가능해야 하며, 이것은 단지 “이런 일이 있었다”라는 사실을 보이는 것만으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닙니다. --IRTC1015 2017년 4월 6일 (목) 12:59 (KST)
니그로와 징거미새우가 싸우는 내용이 방영된 출처는 알 수 있을까요? 그리고, '쇼 파워 비디오도 안보셨는지요?'라는 말씀에 의구심이 생깁니다. 그런 프로그램을 모르고 있을 수도 있는데... ㅠㅠ. 그 프로그램을 찾아보았는데, 비록 신뢰할 수 있는 지상파인 KBS이지만, 예능 프로그램이네요. 위키백과:신뢰할 수 있는 출처가 아닙니다.
아, 그랬네요. 복구하면서도 계속 뭔가가 께름칙한 게 걸렸는데...덕분에 전부 생각났습니다,고맙습니다. 하지만 관리자님, Titanoptera님의 다른 문서 편집성향도 한 번 비교하여 봐 주시기 바랍니다.야생의 저리더프 (토론)

만약 편집을 하게 된다면, '자기 몸집만한 시클리드와 대적할 수 있다.' 보다는, 'KBS의 예능 프로그램 '쇼 파워 비디오'에서는, 징거미새우와 시클리드가 서로 대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도로 서술하는 것이 옳아 보입니다. :) 또한, '삭제될 수 있다.'고 하여, '삭제되지 않을 수 있다.'는 논리는 편집자에 따라 의견이 다를 수 있습니다. 편집자들의 의견을 문서의 토론에서 나누고 그 합의점을 도출하세요.--Titanoptera (토론) 2017년 4월 6일 (목) 15:26 (KST)

잘 몰라서 그럽니다만, 왜 적어야 하는 문장인지 모르겠습니다. 두 종간의 개연성을 잘 모르겠네요. 수족관에서 키울수 있다는 공통점밖에 없어보입니다. 또한 그 프로그램에 나왔다는 사실 하나만으로 문장을 쓰는 것처럼 보이기에 의문이 더 남습니다. 가령, 시중에 판매되는 과자를 수십 봉지 모아 한강을 횡단했다고, 과자항목에 '과자 봉지를 모으면 사람을 띄울 수도 있다'라는 문장을 적을 근거가 생기진 않겠습니다. 징거미새우와 시클리드 사이의 관계를 먼저 설명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Tablemaker (토론) 2017년 8월 10일 (목) 09:56 (KST)답변
"자기 몸집만한 시클리드와 대적할 수 있다"는 문장은 "곰과 사자가 싸우면 누가 이기나요?" 이런 느낌이 나서 꼭 필요한 문장인지 모르겠네요. Bluemersen (+) 2017년 8월 10일 (목) 10:04 (KST)답변
제대로된 출처도 찾을 수 없는 내용이라면 "당연히" 문서 내에서 빼야된다 생각합니다.--고려 (토론) 2017년 8월 10일 (목) 19:42 (KST)답변
Tablemaker님의 의견과 같습니다. StarryKnightWikitalk 2017년 8월 12일 (토) 01:12 (KST)답변
저도 Tablemaker님의 의견과 같습니다.--잔글러 (토론) 2017년 8월 15일 (화) 14:34 (KST)답변
"징거미새우"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