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선생문집 목판

퇴계선생문집 목판(退溪先生文集木板)은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한국국학진흥원에 있는 목판이다. 2015년 12월 31일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 예고를 거쳐[1], 2016년 2월 22일 보물로 지정되었다[2].

퇴계선생문집목판
(退溪先生文集木板)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제1895호
(2016년 2월 22일 지정)
수량752매 (본집 709매, 외집 15매, 별집 28매)
시대조선시대 1600년(선조 33) 판각 추정
소유도산서원
위치
한국국학진흥원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국학진흥원(대한민국)
주소경상북도 안동시 퇴계로 1997
(도산면, 한국국학진흥원)
좌표북위 36° 42′ 6.2″ 동경 128° 48′ 39.7″ / 북위 36.701722° 동경 128.811028°  / 36.701722; 128.811028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보물 지정 사유 편집

조사본 <퇴계선생문집 목판>은 퇴계선생문집 경자년(1600) 초간본을 인출해낸 목판이다. 퇴계선생 문집은 원래 본집 목록 2권 2책, 본집 49권 25책, 별집 1권 1책, 외집 1권 1책, 연보 4권 2책 등 모두 57권 3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조사본 <퇴계선생문집 목판>의 본래 수량은 경자년 초간본 퇴계선생문집의 전질이 전래되지 않아 정확히 알 수 없는 실정이다.[1]

경자년 초간본의 퇴계선생문집은 조선시대 중기에 성리학을 독자적인 학문체계로 수립하여 후일 영남학파의 종주가 된 퇴계의 전집으로 퇴계의 학문관과 문학관의 연구에는 물론 성리학 등의 사상사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1]

따라서 경자년 초각의 <퇴계선생문집 목판>은 경자년 초간본 퇴계선생문집에 못지않게 판본학적으로 매우 귀중한 문화재일 뿐 아니라, 서지학연구와 조선시대 중기의 목판인쇄 문화연구 등에도 크게 활용될 수 있을 자료이다. 이에 경자년 초각 <퇴계선생문집 목판> 752매는 경자년 초간본 퇴계선생문집과 함께 국가문화재로 지정하여 연구하고 보존·관리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1]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문화재청공고제2015-411호,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예고》, 대한민국 관보 제18670호(그2), 391면, 2015-12-31
  2. 문화재청공고제2016-9호,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대한민국 관보 제18703호, 58면, 2016-2-22

참고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