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토론:동남아시아

99LJH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12월 13일 (목) 02:13 판 (→‎베트남의 왕조 명칭: 새 문단)

마지막 의견: 5년 전 (99LJH님) - 주제: 베트남의 왕조 명칭

타이의 역대 국왕 이름

현재 '라마 ~세'로 모두 되어있습니다만, 일반적으로 '라마 ~세'보다 이름이 더 잘 쓰이므로, 모두 이름으로 변경하였으면 합니다만, 어떻게 생각하시는 지요? (이 사안을 위키프로젝트 왕족과 귀족에서 해야 할 지 여기서 해야 할 지 생각해봤습니다만, 여기가 더 관련성이 짙다고 판단하여 올려봅니다.) --가람 (논의) 『Carpediem』 2010년 12월 29일 (수) 20:08 (KST)답변

일단은 저도 찬성합니다. 라마 ~세가 참조하기는 쉽지만 문헌에서 쓰이는 건 거의 이름이죠. 다만 현재 문서에서 영어판을 옮겨서 이름이 이상하게 된 경우가 있습니다. 라마 7세 '쁘라차티뽁'을 '쁘라자디뽁'으로 쓴 것(prajadhipok에서 j와 dh를 ㅈ와 ㄷ로 읽은 듯)이나, 라마 8세 '아난타 마히돈'을 '아난다 마히돌'로 쓴 것(타이어에서 종성의 l은 /n/이 됩니다) 등이 대표적이군요. -Aydın (토론) 2010년 12월 30일 (목) 15:40 (KST)답변
제가 알고 있던 이름이랑 좀 다르다고 했었더니, 영어판 이름을 번역해서 그랬었군요.. 며칠을 두고 보고, 반대가 없으면 이름의 범위부터 결정 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1월 5일 (수) 20:11 (KST)
아, 실수했군요. 위에서 라마 7세의 이름은 정식 외래어표기법에 따르면 '프라차티뽁'입니다. -Aydın (토론) 2011년 1월 7일 (금) 23:51 (KST)
다른 분들의 의견도 들어봐야겠습니다만.. 프로젝트가 활성화 단계가 아니니.. 사랑방에라도 올려야 할 거 같네요.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1월 13일 (목) 04:28 (KST)

일단 제가 짜끄리 왕조 문서에 있는 역대 국왕들의 이름은 수정해 뒀습니다. 개별 국왕 문서는 수정한 것도 있고 안 한 것도 있는데.. 나중에 생각나면 마저 수정해 둘게요. -Aydın (토론) 2011년 1월 21일 (금) 13:25 (KST)

동남아시아 관련 문서

대략, 동남아시아 들머리를 만들어보려고 준비를 했었습니다만.. 들머리에 내비출만한 글이 없는 것 같아 아쉽네요. 대략적으로 동남아시아 문서나, 그 외 관련 문서를 살찌우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봤으면 합니다.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4월 10일 (일) 12:30 (KST)

쩝.. 당장 제가 만든 문서 중에서는 요즘 보강한 조호르 술탄국 정도를 베이스로 해서 좀 더 다양한 내용으로 확장한다면 괜찮을 것 같기도 합니다. 현재 조호르 술탄국 문서의 경우 역사 방면만 지나치게 강조되어 있는데, 정치, 교육, 예술 등의 부문과 사진 자료를 확충하면.. 이 외에 요즘 염두에 두고 있는 대규모 편집은 큭릿 쁘라못 대폭 보강과 나레수안 대왕을 좀 길게 작성하는 것인데, 후자는 자료는 어느 정도 모였으니 언제 한번 시간만 내면 되고요, 전자는 아직 자료가 정리되질 않아서.. --Aydın (토론) 2011년 4월 10일 (일) 18:47 (KST)
덧붙여 디파느가라 문서에도 혹시 인도네시아어..를 할 줄 아시는 분이 계시다면..(..) 여러 매체(소설, 다큐 등)에서의 디파느가라 취급을 보강해 주시면 좋을 텐데.. 당장은 무리..겠죠?ㅠㅠ --Aydın (토론) 2011년 4월 10일 (일) 19:28 (KST)
와우..! 굉장한 문서네요..! 일단, 이러한 과거 국가나 인물 문서들의 생성과 동시에, 기본 관련 국가 문서들도 살찌워나가는 방식을 선택해야 겠네요. 그리고 인도네시아어는.. '현재' 인도네시아어를 알면서, 한국어판에서 활동하시는 분은 없죠, 아마? 과거에는 계셨던 것 같았는데 말이에요.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4월 17일 (일) 00:05 (KST)
저라도 조금씩 인도네시아어를 배워 봐야겠네요. 언제 위키 편집에 기여할 정도로 실력이 쌓일지는 알 수 없지만.. 태국어를 접었으니 남는 시간을 이쪽에 주로 투입해야겠네요. 원래 아랍어를 하려고 했었는데, 아랍어는 단기간에 어느 정도 실력이 쌓이기는 무리니까 상대적으로 초중급의 진입 장벽이 낮은 인도네시아어에 투자하는 게 효율적일 것 같습니다. --Aydın (토론) 2011년 4월 19일 (화) 22:17 (KST) 시간이 남으면 그냥 태국어 쪽에 투자하는 게 낫겠군요. 오래 전에 바뀐 방침인데, 혹시 이 글 보고 오해하는 분이 계실까봐;; --Aydın (토론) 2011년 9월 3일 (토) 04:43 (KST)답변

Question

Umm... Excuse me. th:ไฟล์:เจ้าพระยาปราบไตรจักร.jpg, th:ไฟล์:เจ้าพระยาปราบไตรจักร-พระที่นั่งสุทไธสวรรยปราสาท.jpg and th:ไฟล์:ช้างพลายมงคล 2437.jpg are public domain (Take photo more than 100 years) so can I upload to use in ko wikipedia ? Or should I do show file like in 더 킥#출연 ? Can you teach me ? Thank you. --B20180 (토론) 2011년 7월 8일 (금) 01:28 (KST)답변

If you follow the American law, of course you can do it. Eh.. according to the old Korean copyright law(1957), there are two cases. If a copyright holder was a person, the copyright would expire 30 years after his/her death; if a holder was an organization, the copyright would expire 30 years after having been made public. Either way, you can upload them - even if you should follow the Korean law. --Aydın (토론) 2011년 7월 8일 (금) 04:07 (KST)답변
Thank you. --B20180 (토론) 2011년 7월 11일 (월) 19:55 (KST)답변

틀 만들기

미얀마 문자가 (IE9, 오페라에선 보이지만) 대부분의 컴퓨터에서 지원하질 않아서 영어판을 참고해 틀:my틀:미얀마 문자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많이 사용해 주시고, 폰트 받아가세요! (그러고 보니 미얀마 문자 문서도 아직 없네요) --밥풀떼기 (토론기여총편집횟수로그이메일) 2011년 8월 16일 (화) 13:02 (KST)답변

감사합니다 :) --Aydın (토론) 2011년 9월 3일 (토) 04:36 (KST)답변

타이 틀

영어판을 번역해서 틀:라따나꼬신 시대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라따나꼬신 150년은 짜끄리 왕조 수립부터 입헌혁명까지 이어진 격동기지요. 영어판을 보니 1932년-1973년 역사 틀과 1973년 이래 역사 틀이 있는데.. 일단 역사 틀은 이 정도로 하고 대학 틀을 추가하는 게 좋겠네요. --Aydın (토론) 2011년 9월 3일 (토) 04:36 (KST)답변

틀:타이의 대학교를 완성했습니다. 어휴 손가락 아파;; --Aydın (토론) 2011년 9월 3일 (토) 07:13 (KST)답변

고생하셨습니다..! --가람 (논의) 2011년 9월 6일 (화) 11:22 (KST)답변

정당 명칭

일단, 타이의 정당 이름 표기만 봐도, 그대로 읽은 것이거나, 일본어판의 번역을 그대로 들고 오는 게 대부분이던데, 이에 대해, 총의를 거쳐 일괄적 명칭 표기로 바꿀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가람 (논의) 2011년 10월 11일 (화) 22:00 (KST)답변

덧붙여, '총리'냐, '수상'이냐에 대해서도 총의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가람 (논의) 2011년 10월 12일 (수) 21:54 (KST)답변

총리/수상 문제에 대해서는 총리 쪽의 일반적인 사용 빈도가 높은 것 같습니다. 다만 학술 문헌 일부에서 수상으로 쓰기는 하는데..(ex- 김영애, 《태국사》) 이쪽에 관한 문헌이 그렇게 많은 것도 아니라서 일단 전 총리 쪽을 지지합니다. --Aydın (토론) 2011년 10월 28일 (금) 12:08 (KST)답변
일단, 그런 것을 반영해서 관련 명칭들을 일괄적으로 타이의 부총리, 총리실 (타이)와 같은 식으로 만들었습니다만.. 일본에서 쓰이는 명칭의 영향인지, '수상'으로 쓰이기도 하더군요. --가람 (논의) 2011년 10월 28일 (금) 12:12 (KST)답변

지리명

태국어의 '타논'(ถนน) 같은 경우와 같은 경우는, '길'이라고 번역해서 쓰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그대로 '타논'이라고 읽는 편이 좋을까요? 타 대륙의 경우엔 이것을 혼용해 쓰기도 하더군요. --가람 (논의) 2011년 11월 19일 (토) 19:43 (KST)답변

타논의 경우는 '-로'나 '-길' 등으로 1:1 번역이 가능하니 가급적 번역하는 쪽을 지지합니다. 하지만 암프무반 등의 경우는 조금 생각해 봐야 할 문제군요. 전 일단 저 경우는 원어 그대로 쓰고 있는데, 번역어가 통일되면(군, 구 등) 일괄적으로 변경할게요. --Aydın (토론) 2011년 11월 20일 (일) 22:26 (KST)답변

정당

위에서 약간 언급되었습니다만, 각 동남아시아 나라별 정당 문서를 만들기 앞서서, 각 나라별 정당 틀을 만들려고 합니다. 그 일환으로 먼저 타이의 정당(พรรคการเมืองในประเทศไทย) 틀을 만들려고 하는데요.(→ 사용자:Idh0854/틀연습) 정말 기본적인 정당 명칭을 제외하고는 번역 명칭을 무엇으로 할 지 고민이네요. 동남아시아의 정당들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정해진 한국어 명칭이 없기에, 이후 한국어판 위키백과에서 정한 것이 통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매우 조심스러운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타 언어판들을 참고해보면, 크게는 발음 그대로 읽는 경우, 번역한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가람 (논의) 2011년 12월 24일 (토) 22:39 (KST)답변

음, 저는 웬만하면 번역된 것을 쓰는 걸 선호하는 쪽인데, 타이 정당 같은 경우는 짧아서 그런지 원음을 그대로 쓰는 경우가 많더군요. 다만 '민주당' 같은 건 여러 국가가 공통으로 쓰는 명칭이니 번역해서 쓰는 거 같고요. 우선은 타이 관련 서적에 적힌 것처럼 '타이락타이 당', '프어(프아)타이 당', '민주당', '공산당' 등등으로 정리해 나가는 게 좋지 않을까 합니다. --Aydın (토론) 2012년 2월 1일 (수) 20:30 (KST)
보통 대한민국의 언론들의 경우는 'พรรคเพื่อไทย'(PTP)을 '프어타이당'이라 표기하지만, 일부에서는 이렇게 표기하지 않고, 현재의 일본어판 표기처럼 '타이공헌당'이라고 표기하기도 하더군요. 그런데, '공헌'(貢献)이라 표기하기에는 뭔가 표기가 애매한 것 같고, 발음대로 적자니 뭔가 걸려서요. 그래서 적절한 표기가 없나 싶어서 적어봤습니다. --가람 (논의) 2012년 2월 1일 (수) 22:31 (KST)
민주당 같은 경우는 통합해서 사용하자는 의견에 동의합니다. 그외 정당은 현지어를 우선으로 하여 붙이는 것이 좋겠군요. 프어타이당도 현지어를 기분으로 한데다 언론에서도 많이 언급되었다니 그렇게 쓰는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타이공헌당보다는 낫지 않나 싶네요. --"밥풀떼기" 2012년 4월 25일 (수) 00:58 (KST)

미얀마의 행정 구역 이름에 대한 도움 요청

미얀마에 2008년 개헌으로 자치지역이 6개가 생기고 수도 네피도가 연방구로 되었습니다. 그런데 자치지역 6개중 나가 다누 파오 팔라웅 코캉 5개는 Self-Administered Zone이고 와는 Self-Administered Division으로 등급이 다른 것 같습니다. 전자를 자치구로, 후자를 자치지방으로 번역했는데 오역인지 아닌지 미얀마어를 잘 아시는 분의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황제펭귄 (토론) 2013년 10월 7일 (월) 12:21 (KST)답변

앞은 자치구역, 뒤가 자치구라는 생각도 들고, 자치주라는 생각도 듭니다. 일단 zone은 일반적인 구역이고 division은 특정 행정구역이란 생각이 더 드니까요. Jytim (토론) 2013년 10월 11일 (금) 07:17 (KST)답변

너무 오래되어 의견 요청을 뗍니다. -- Jytim (토론)_기여 5000회! 2013년 10월 30일 (수) 17:16 (KST)답변

베트남의 왕조 명칭

@威光, 력사, 5a1amm60: 베트남의 역대 조(朝)의 명칭은 한국 한자음(완조)을 취해 읽어야 하는지, 현대 베트남어 발음(응우옌 왕조)을 취해 읽어야 하는지 의견이 모여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참고로 2009개정 교육과정 편수 자료 용어는 현대 베트남어 발음을 취합니다. --99LJH 2018년 12월 13일 (목) 02:13 (KST)답변

"동남아시아"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