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철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새 문서: {{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現代哲學, {{llang|en|contemporary philosophy}})은 20세기 반 이후에 나타난 서양 철학·사상. 크게 영미권...
 
102번째 줄:
후식민지주의는 [[에드워드 사이드]]가 저술한 '[[오리엔탈리즘 (사이드)|오리엔탈리즘]]' (1978년)을 효시로 한다. 사이드는 [[미셸 후코]]에 영향을 받으면서, 제2차 세계대전 후[[식민지]]였던 지역은 잇달아 독립을 이루어 살아 또, 전후 인문 학연구의 중심지가 된 아메리카 합중국에서 많은 소수파의 2세·3세가 대학에서 학위를 받게 되었던 시대를 배경으로, 서양 중심 주의적인 언설에 의해 어떻게 동양 (본저로 문제로 되어 있는 것은 동양이 아니라 중동 아랍)이 구축되어 그것이 얼마나 권력 = 지식과 결합되고 있는지를 분석했던 것이다. 후구조주의, 후근대주의의 영향 아래, 문화인류학, 사회학, 역사학, 문학과 결합되면서 전개해, [[마하트마 간디]]나 [[노신]] 등의 비서양의 사상에 빛을 쬐려고 했던 것이다.
==현대 자유주의==
아메리카미국 합중국이건국 설립된 당시는당시에는 사회나 정치에의 관심이 미국의 철학을 지배하고 있었지만, 분석 철학자들은 인식론적인 문제, 언어나 과학에 관한 문제나 개념을 주로 취급하고 있었기 때문에, 미국의 철학에서 1970년대까지 너무 사회나 정치라는 '실천'의 문제에는 충분히충분한 관심을 지불해지지받지 않았지만못하였으나, 냉전의 끝과 거의 시기를 같이 해 정치와 사회에 대한 관심에관심으로 회귀하는 조류가 태어난다생겨났다.
 
1971년, [[존 로르즈롤스]]는 그 저서 '[[정의론 (로르즈)|정의론]]'을 출판했다출판하였다. 이 책에서는 [[사회 계약|사회계약론]]의 한 형태에 근거하는 로르즈의롤스의 '공정함으로서의 정의'관을 피력했다피력하였다. 로르즈는롤스는 그의 개념의 원점을 설명하기 위해서 '무지의 베일'라고 부르는 개념 기구의 이용을 제안했다제안하였다<ref>[http://jeffersonswall.blog-city.com/john_rawls_vs_robert_nozick.htm "Philosophy: John Rawls vs. Robert Nozick"] Retrieved September 7, 2009</ref>. 로르즈의롤스의 철학에서는 원초 상태가 [[토마스토머스 홉브즈홉스]]의 [[자연 상태]]에 대한 상호 관계이다. 이 원초 상태에서는,상태에서 사람은 무지의 베일의 그림자에 있다고 말해져하며, 그것은 사람 각자의 성격을 깨닫지 않고, 인종, 종교, 부 등의 사회에서의 위치를 모른다. 공정의 원칙은 이 원초 상태에 있는 동안에 판단력이 있는 사람에 의해서 선택된다. 공정의 2개의 원칙은 평등한 자유의 원칙과 사회 및 경제적 불평등의 분포를 지배하는 원칙이다. 여기로부터여기에서 로르즈는롤스는 격차 원리에 따르는 배분의 공정의 구조를 논해 사회 및 경제적 불평등 모두는 최소의 이점이 있는 최대의 혜택어야혜택이어야 한다고 한다주장한다<ref>[http://plato.stanford.edu/entries/justice-distributive/ "Distributive Justice" at SEP] Retrieved December 18, 2009</ref>.
 
[[자유의지주의|자유의지론자]] [[로버트 노직크노직]] 로르즈의롤스의 생각을 정부에 의한 과도의 통치와 권리침해를 촉진하고 있다고 봐,보아 1974년에 '[[무정부, 상태·국가·, 유토피아]]'를 출판했다출판하였다. 이 책에서는 최소의 국가를 논해 개인의 자유를 방위하고 있다. 정부의 역할은 경찰의 보호, 국가 방위 및 재판소의 관리로 한정해, 현대 정부에 의해서 통상에 행해지고 있는 다른 임무, 즉 교육, 사회 보장, 복지 등등은 종교 단체나 자선단체 등 자유시장에서 운영되는 민간 조직에 교체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ref>[http://www.iep.utm.edu/nozick/ "Robert Nozick (1938-2002)" at the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Retrieved September 7, 2009</ref>. 노직크는노직은 그 견해를 공정함의 수권 이론이라고 주장해, 만약 사회의사회 구성원 누구나가모두가 획득, 이행 및 조정의 원칙에 따라서 그 소유물을 획득한다면, 그 배분이 여하에얼마나 불공평해도도불공정하든지 할당의 패턴은 공정하다고 하고 있다. 공정함의 수권 이론은 '분배의 공정함이 실제로 있는 역사적 상황에 의해서 결정되지만 (종국 상태 이론의 반대), 가장 열심히 일한 사람 혹은 가장 몫에 적합한 사람이 제일의 몫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보증하는 어떤 패턴과도 관계를 가지지 않는다'라고 주장하고 있다<ref>[http://www.iep.utm.edu/nozick/ "Robert Nozick" at IEP] Retrieved January 5, 2010</ref>.
 
[[아라스데아알래스데어 막킨타이아매킨타이어]]는 영국에서 출생 교육을 받았지만, 아메리카 합중국에미국에 40년 간 정도 생활해 일했다일하였다. 막킨타이아는매킨타이어는 [[고대 그리스]]에서 제창된 도덕론인 [[덕윤리학]]에 관한 관심을 재생시킨환기한 공적이 있다<ref>[http://www.firstthings.com/article/2007/09/004-the-virtues-of-alasdair-macintyre-6 "The Virtues of Alasdair MacIntyre"]Retrieved on September 7, 2009</ref><ref>[http://plato.stanford.edu/entries/ethics-virtue/ "Virtue Ethics" at SEP] Retrieved on September 7, 2009</ref>, 탁월한 [[토마스 아퀴나스]]주의 정치 철학자라고 생각되고 있다. '현대의 철학과 현대의 생활은 이로 정연으로 한 도덕법의 결여에 의해서 특징지울 수 있어 이 세계에 사는 대부분의 개인은 그 인생에 의미 있는 목적감이 없고, 순수한 사회도 빠져 있다'라고 주장하고 있다<ref>[http://www.iep.utm.edu/p-macint/ "Political Philosophy of Alasdair MacIntyre" at IEP.com] Retrieved December 22, 2009</ref>. 막킨타이아는매킨타이어는 이러한 상태를 바로잡기 위한 적절한 방법은 개인이 적절히 미덕을 획득할 수 있는 순수하게 정치적인 사회로 돌아오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학술적 철학과는 별도로, 정치와 사회의 관심은 [[공민권아프리카계 미국인 민권 운동|민권 운동]]과 [[마턴마틴 르서루터주니어2세]]의 저작이 중심적 화제가 되었다.
 
학술적 철학과는 별도로, 정치와 사회의 관심은 [[공민권 운동]]과 [[마턴 르서 킹 주니어]]의 저작이 중심적 화제가 되었다.
==각주==
{{Ref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