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철도/철도역/내용 구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 현재 철도 역 문서들의 현실에 맞도록 가이드라인 수정
1번째 줄:
 
{{프로젝트 문서 상태|낡음|프로젝트=철도}}
== 역 문서 예시 ==
{{철도역 정보
|역명 = 서울역앞(동자)
|역명2 = (남대문)
|배경색 = red{{한국 철도 노선색|SM}}
|그림 = Seoul station line 1.jpg
|그림설명 = 승강장
|역번호 = 5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서울 중구 (서울특별시)|중구]]<br />봉래동2가[[청파로|청파로20길]] 122지하2
|좌표 = {{Coor dms|37|33|20.79|N|126|58|20.90|E}}
|개업일 = [[1974년]] [[8월 15일]]
|관할 = [[서울특별시서울메트로]]
|승강장 = 1면 2선 ([[승강장#섬식 승장장|섬식]])
|노선1 = [[서울 지하철 1호선]]
|영업거리1 = 서울역앞 기점 0.0 km
|전역1 = [[남영역|남영]]
|전거리1 = 1.7
|후역1 = [[시청역 (서울)|시청앞]]
|후거리1 = 1.1
23번째 줄:
}}
 
'''서울역앞역서울역(동자)역'''( - 서울驛(東子)驛)은 [[서울특별시]] [[서울 중구|중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전철역]]이다. [[인천광역시|인천]], [[수원시|수원]] 방면의 열차가 운행한다.
 
=== 역 구조 ===
68번째 줄:
{{인접정차역/열기}}
{{인접정차역
|노선 = [[경부선|경부본선]]{{·}}[[시흥연결선]]{{·}}[[경부고속선]]
|노선 = [[서울 지하철 1호선]]
|종별 = [[KTX]]<br />[[경부고속선]]
|종별 = <span style="color:red;">●</span> [[서울 지하철 1호선]]<br /><span style="color:gray;">●</span> [[대한민국 철도청|국철]] 직결 열차
|전역 = [[남영역|남영]]
|전방면 = [[인천역|인천]]·[[수원역|수원]] 방면
|전색 = gray{{한국 철도 노선색|KR|K}}
|후역 = 51 [[시청역 (서울)광명역|시청앞광명]]
|후방면 = [[성북역부산역|성북부산]] 방면
|후색 = red{{한국 철도 노선색|KR|K}}
}}
{{인접정차역
|노선 = [[경부선|경부본선]]{{·}}[[서울 지하철 1호선]]
|종별 = {{한국 도시철도|SM1}}<br />경의선 급행
|전역 = 48 [[용산역|용산]]
|전방면 = [[인천역|인천]] 방면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SM|1}}
|후역 = 52 [[종각역|종각]]
|후방면 = [[소요산역|소요산]] 방면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SM|1}}
}}
{{인접정차역
|종별 = {{한국 도시철도|SM1}}<br />경의선 완행<br />경부선 완행
|전역 = 49 [[남영역|남영]]
|전방면 = [[인천역|인천]] 방면<br />[[천안역|천안]] 방면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SM|1}}
|후역 = 51 [[시청역 (서울)|시청]]
|후방면 = [[소요산역|소요산]] 방면<br />[[광운대역|광운대]] 방면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SM|1}}
}}
{{인접정차역/닫기}}
줄 82 ⟶ 101:
<references />
<pre>
{{한국고속철도}}
{{서울수도권 1호선}}
{{국철}}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
줄 90 ⟶ 109:
 
== 가이드라인 ==
=== 공통 기준 ===
* 제일 위에 {{틀|철도역 정보}}가 와야 합니다.
* {{틀|철도역 정보}}의 역명 칸에는 주역명과 병기역명만 적습니다. 하나의 역에 역명이 여러 개일 경우 슬래시(/)를 이용하여 구분합니다. 잘 되어 있는 것으로 [[광운대역]] 문서를 참조하세요.
* {{틀|철도역 정보}}의 역명2 칸에는 부기역명만 적습니다. 병기역명과 부기역명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위키프로젝트:철도/병기역명]]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잘 되어 있는 것으로 [[신창역 (아산)|신창역]] 문서를 참조하세요.
* {{틀|철도역 정보}}의 배경색 칸에는 해당 역사를 관리하는 회사의 색상을 {{틀|한국 철도 노선색}}을 이용하여 넣습니다. 노선색을 넣는 것이 아닙니다. 대한민국 이외 국가 철도의 경우, RGB값을 이용하여 직접 입력합니다.
* {{틀|철도역 정보}}의 소재지 칸에는, 대한민국의 철도역인 경우 국가명을 생략하고 도로명 주소를 적습니다. 도로명 주소가 없는 경우에 한해서만 지번 주소를 허용합니다. 도로명 주소 뒤에는 법정동을 적지 않습니다. 광역자치단체와 지방자치단체명에는 해당 시도군구 문서로 갈 수 있도록 링크를 만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도로명은 “땡땡로”일 경우 그대로 링크를 걸어주고, “땡땡로0길” 또는 “땡땡로0번길”, “땡땡로0가길”, “땡땡로0번안길” 등의 경우 “땡땡로”로 가도록 링크를 걸어 주세요.“땡땡길”, “땡땡1로” 또는 ‘땡땡1길’의 경우에는 링크를 걸지 않습니다. 번호 앞에 지하가 올 경우 지하와 숫자는 붙여 쓰도록 합니다. 또한, 도로명과 번호 사이에 자동으로 줄넘김이 발생하는 경우 가독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로명 앞에서 강제개행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대한민국 이외의 철도역의 경우, 국가명을 포함하여 해당 국가의 공식적인 주소 체계를 이용하여 적어 주시기 바랍니다.
* {{틀|철도역 정보}}의 개업일 칸에는 대한민국 정부 소유의 철도일 경우 법적인 사용개시 고시일을 적어 주시기 바랍니다. 이외의 경우에는 실제 열차 개통일을 적습니다.
* {{틀|철도역 정보}}의 노선 칸에는 선로의 공식 명칭을 적습니다. 운행계통 또는 별칭을 적지 않습니다.
* {{틀|철도역 정보}}의 영업거리, 전역, 전거리, 후역, 후거리 칸에는 철도영업거리표상의 정보를 기입합니다. 전역과 후역에는 주역명만 적습니다. 병기역명과 부기역명을 적으면 안 됩니다. 영업거리에는 km를 같이 적어 주시고, 전거리와 후거리에는 km를 적지 말아 주세요.
* {{틀|철도역 정보}}의 바로 다음 줄, 문서 본문의 첫줄에는 해당 역의 공식 명칭을 먼저 굵은 글씨로 적고 바로 뒤에 국한문혼용 표기를 괄호 안에 적습니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이외의 국가의 철도역의 경우, 괄호 안에 국한문혼용 표기 대신에 해당 국가의 원어 표기를 {{틀|llang}}을 이용하여 표기합니다. 하나의 문서에 서로 이름이 다른 역들을 합쳐서 서술할 경우 두 역명을 모두 적어줍니다. 잘 되어 있는 것으로 [[청량리역]] 문서를 참조하세요.
* {{틀|인접정차역}}은 해당 역에 정규 여객 열차가 일주일에 1회 이상 정차할 때에만 입력합니다.
* {{틀|인접정차역}}에 넣는 운행계통은, 시종착역이 동일하면서 같은 선로를 따라 운행하는 것은 중간 정차역과 무관하게 하나의 운행계통으로 취급합니다. 또한, 같은 선로를 따라 운행하면서 시종착역이 다른 운행계통의 중간경유지에 해당하는 경우 그 운행계통은 더 긴 운행계통에 포함되는 계통으로 취급하여 따로 적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부산 경부선 계통의 경우 서울, 대전, 동대구, 부산을 정차하는 열차와 서울, 수원, 김천, 밀양, 부산을 정차하는 열차는 같은 운행계통입니다. 그리고 서울 - 대전만 운행하는 열차는 서울 - 부산 열차의 하위 계통으로 취급하여 따로 적지 않습니다. 하지만, 서울 - 해운대 열차는 서울역부터 사상역까지는 서울-부산 열차와 이동 경로가 완전히 일치하지만 그 이남 부분은 다른 선로를 따라 운행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운행계통이 됩니다.
* {{틀|인접정차역}}의 노선 칸에는 아래 서술할 운행계통의 열차가 전역과 후역을 지나면서 밟게 되는 모든 노선의 공식 명칭을 다 적습니다. 노선 칸에 들어갈 노선이 완전히 동일한 경우에는 여러 운행계통을 연달아 적어주고, 제일 먼저 적은 운행계통의 노선 칸에만 입력한 후 나머지 운행계통의 노선 칸은 비워줍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묶이게 됩니다.
* {{틀|인접정차역}}의 종별 칸에는 서술할 운행계통의 열차등급을 {{틀|한국 도시철도}}를 이용하여 입력하고 강제개행한 후 해당 계통이 무엇인지 적습니다. 대한민국의 도시철도를 제외한 모든 운행계통은 직접 입력합니다. 같은 운행계통이라면 다른 역 문서를 보더라도 해당 계통의 정보를 연속적으로 볼 수 있도록, 다른 역 문서의 인접정차역에도 동일하게 계통명을 적어 주어야 합니다. 대한민국의 운행계통은 {{틀|KTX}}, {{틀|ITX}}, {{틀|무궁화호}} 등에 모두 기재되어 있으므로 참고하여 편집하시면 됩니다.
* {{틀|인접정차역}}의 전색과 후색 칸에는 해당 운행계통의 색상을 {{틀|한국 철도 노선색}}을 이용하여 넣습니다. 대한민국 이외 국가의 경우, RGB값을 이용하여 직접 입력합니다.
* {{틀|인접정차역}}의 전역과 후역 칸에는 해당 운행계통의 모든 열차 중에서 단 한 번이라도 정차한다면 그 중 가장 가까운 역을 입력합니다. 가장 가까운 역이 현재 편집 중인 역에서 출발하는 열차 중에서는 정차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같은 운행계통이라면 적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경부선 무궁화호 열차는 서울역과 용산역을 동시에 정차하지 않지만 부산에서 출발하여 용산역에 정차하는 경부선 무궁화호 열차가 하루 한 대 존재하기 때문에 서울역 후역에는 용산역을 넣고 용산역 전역에는 서울역을 넣고 있습니다. 전역과 후역이 완전히 같지만 서로 다른 운행계통은 한 칸에 함께 적습니다. 이때 운행계통 간에 강제개행하여 계통과 시종착역을 연관하여 보는데 혼란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 {{틀|인접정차역}}의 전방면과 후방면 칸에는 해당 운행계통의 모든 열차 중에서 가장 멀리 운행하는 열차의 시종착역을 적습니다.
* {{틀|인접정차역}}의 전방면, 후방면, 전역, 후역 칸은 해당 운행계통의 시종착역일 경우 빈칸으로 둡니다.
* 대한민국의 역 문서에서 {{틀|인접정차역}}의 운행계통을 나열하는 순서는 아래와 같이 합니다. 이 순서는 같은 노선 칸으로 묶여 있는 계통들 사이에서만 적용합니다. 잘 되어 있는 것으로 [[천안역]] 문서를 참고하세요.
# [[한국고속철도|KTX]]
# [[ITX-새마을|ITX]]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누리로]]
# [[통근열차 (대한민국)|통근열차]]
# [[중부내륙순환열차|O-train]]
# [[백두대간협곡열차|V-train]]
# [[남도해양관광열차|S-train]]
# [[평화열차|DMZ train]]
# [[정선아리랑열차|A-train]]
# [[서해금빛열차|WEST GOLD TRAIN]]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분당선|수도권 전철 분당선]]
# [[경춘선|수도권 전철 경춘선]]
# [[수인선|수도권 전철 수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노선 =# [[서울 지하철 1호선2호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 [[서울 지하철 5호선]]
# [[서울 지하철 6호선]]
# [[서울 지하철 7호선]]
# [[서울 지하철 8호선]]
# [[서울 지하철 9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신분당선|수도권 전철 신분당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 [[의정부 경전철]]
# [[용인 경전철]]
# [[부산-김해 경전철]]
* 문서의 제일 밑에는 분류와 해당 역에 정차하는 운행계통과 지나가는 노선의 틀을 삽입합니다. 대한민국의 역 문서에서의 틀 사이의 순서는 위에 제시된 순서에서 1번부터 12번까지의 운행계통의 틀을 먼저 삽입하고, 그 다음으로 {{틀|경부선}}과 같은 노선 틀을 삽입한 후에 위의 순서에서 13번부터 40번까지의 운행계통 틀을 삽입합니다. 잘 되어 있는 것으로 [[수원역]] 문서를 참조하세요.
 
 
=== 미개통역 문서 생성 기준 ===
* 도시철도 운영 및 소유기관에서 사용개시 고시를 하거나 역명 확정 고시·공고를 하였을 경우 (예: 2015년 2월 13일 이후 [[공주역]] 생성, 2012년 8월 16일 이후 [[장기주차장역]] 생성, 2014년 12월 17일 이후 [[언주역]] 생성)
* 도시철도 운영기관이 제공하는 노선도에서 그 명칭과 위치를 공식화한 역(ex. [[경찰병원역]]. [[마곡나루역]], [[부산대양산캠퍼스역]])
* 3개월 이내로 개통 예정인 역 중 역명이 최종 확정된 역([[캠퍼스타운역]], [[지식정보단지역]] 등은 개통 직전에야 생성되었음을 참고)
이에 위반하는 문서 생성 시 [[위키백과:삭제 토론/우남역]]의 예를 들어 삭제신청하도록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