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우마 호세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콜록이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8번째 줄:
|전임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전임 대수 = 35
|후임 = [[미셰우 테메르]]
|후임 대수 = 36
|웹사이트 = [http://www.dilma13.com.br/conteudo/main/ 공식 웹사이트]
}}
35번째 줄:
 
== 초기 생애와 정치 입문 ==
[[벨루오리존치]]에서 태어났다. 부친 페드루 호세프(Pedro Rousseff, 본명: 페터르 루세프({{llang|bg|Петър Русев}}), 1900 ~ 1962)는 [[불가리아]] 출신으로, [[1920년대]]에 [[불가리아 공산당]]에서 활동하다 탄압을 받아 [[프랑스]]를 거쳐 [[브라질]]로 이주하였다. 부친은 브라질에 정착한 후로는 법률가 겸 기업가로 성공하여 재산을 모았고, 지우마 호세프는 부친 밑에서 유복하게 자랐다. 그러나 지우마는 [[사회주의]] 사상에 심취하기 시작했으며, [[1960년대]] 후반 [[군사독재]] 시절 반정부 [[게릴라]] 투쟁에 참여했다가 붙잡혀 [[1970년]] ~ [[1972년]] 수감 생활을 하였다. 석방 후 [[히우그란지두술 주]]로 이주하여 [[포르투알레그리]]의 [[히우그란지두술 연방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했다. [[1980년대]] 민주화 이후 [[민주노동당 (브라질)|민주노동당]]에 관계하며 히우그란지두술 주정부·주의회와 포르투알레그리 시청에서 일했다. [[2000년2001년]]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가 창당한 [[노동자당 (브라질)|노동자당]]으로 옮겼고,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던 노동자당 소속의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의 측근이 되었다. [[2003년]] 룰라 다 시우바 행정부 출범과 함께 자원부에너지 장관으로장관(2003년 ~ 2005년)으로 임명되었고, [[2005년]] 정무 장관으로장관(2005년 임명되었다.~ 그는2010년)으로 집권당의임명되어 가장[[루이스 유력한 정치인으로 부상하였고,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대통령의 측근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그리고 [[2010년 10월]] 치러지는솔메이트로서 [[2010년브라질을 브라질 대통령 선거|대통령 선거]]에서신흥경제대국 여당의반열에 가장올려놓은 유력한'룰라의 후보로기적'을 거론되었다이끌었다.
 
그는 집권당의 가장 유력한 정치인으로 부상하였고,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대통령의 측근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그리고 [[2010년 10월]] 치러지는 [[2010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대통령 선거]]에서 여당의 가장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었다.
== 대통령 ==
=== [[2010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2010년 대통령 선거]] ===
줄 45 ⟶ 46:
[[파일:Posse Dilma 2010 8.jpg|섬네일|취임식에서 룰라로부터 대통령 띠를 넘겨받는 호세프]]
[[2011년]] [[1월 1일]], 제36대 대통령으로 정식으로 취임하였다. 취임식에서 그는 [[지우마 호세프]]는 [[룰라 다 시우바]] 전 대통령의 정책을 계승해 빈곤 퇴치와 지속적 성장을 위해 노력할 것을 다짐했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1022109465&code=970201 브라질 첫 여성 대통령 호세프 취임식] [[경향신문]] [[2011년]] [[1월 2일]]</ref> 결국 [[2013년]] [[3월 16일]]부터 [[현재]]까지 지우마 호세프 정권을 반대하는 [[야당]]과 [[브라질]] 국민들의 반정부 시위로 인하여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은 지금도 [[탄핵]] 위기에 처해있으며, 現 집권 [[여당]]인 [[브라질 노동자당]]과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의 현 정부가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상황에 처해 있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code=970201&artid=201503162139515 “부패 대통령 탄핵” 브라질 100만명 시위"] [[경향신문]] [[2013년]] [[3월 16일]]</ref>.
=== 탄핵 ===
2004∼2012년 페트로브라스의 비자금 규모가 100억헤알(약 3조3700억원)에 이른다고 발표하면서 비리 의혹으로 처벌될 위기인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를 면책특권이 보장된 수석장관에 기용하려다가 두 사람 간의 비밀통화 내용까지 공개되고 경기침체가 이어지고 2014년 재선 당시 경제 적자를 숨기기 위해 브라질 회계 장부를 조작했다는 의혹으로 탄핵 국면으로 이어졌다.
 
호세프 대통령 측이 브라질 상원의 탄핵심판 개시안 표결이 진행되기 직전 대통령 집무실에서 퇴거하고 5월 11일의 상원 연설에 불참한 가운데 브라질 상원이 5월 11일부터 22시간에 걸친 마라톤 회의 끝에 표결에 들어갔으며, 전체 상원의원 81명 가운데 과반인 55명이 의견서 채택에 찬성, 반대는 22명에 그쳐 5월 12일 오전 전체회의에서 호세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절차 개시를 촉구한 상원 특별위원회 의견서를 채택했다. 이로 인해 최장 180일간 동안 대통령의 직무는 정지되고 비리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고 있는 미셰우 테메르 부통령이 대통령 권한을 대행한다.<ref>[http://www.ytn.co.kr/_ln/0104_201605130001065077 브라질 대통령 탄핵심판·직무정지 시작]</ref>
 
호세프 대통령은 관저를 떠나기 전 기자회견을 열고 "야권은 정당한 대통령 선거 결과를 무효화시키려 한다. 유권자의 주권과 사회적 진보를 위협하는 탄핵에 맞서 계속 투쟁할 것"이라고 하면서 브라질 상원의 탄핵 심판 절차를 개시를 "'쿠데타', '정치적 테러' 이며 헌법을 훼손하는 역사적 과오가 될 것이다 직무가 정지되더라도 탄핵의 위법성을 끝까지 따지겠다"라고 했으며, 집권 노동자당은 “테메르는 대통령이 아니라 쿠데타 주역”이라면서 "탄핵파에 맞서 싸우겠다"고 밝혔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전 대통령도 "좌파 성향의 정당과 시민·사회단체, 노동계 등을 망라한 ‘브라질민중전선’을 가동해 정치 투쟁에 나서겠다"고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의 지지자들은 "테메르 정부 반대 시위를 하겠다"고 했다.<ref>[http://news.nate.com/view/20160512n40233 브라질 최초 여성 대통령의 몰락…시작된 '혼돈']</ref><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209044 호세프 브라질 대통령, 탄핵 심판 '쿠데타' 비난
]</ref>
 
한편,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브라질이 법치와 헌법을 지킴으로써 민주적 절차를 존중해나갈 것으로 믿고 있으며 브라질 사회의 모든 부문에 대해 자제와 대화를 촉구했다"고 하고<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5/13/0200000000AKR20160513005700072.HTML?input=1195m 반기문, 브라질 탄핵정국에 '자제와 대화' 촉구]</ref> 미국 백악관은 "우리는 브라질 정치가 위기를 맞고 있지만 법치와 민주주의로 이를 극복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ref>[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513_0014081165&cID=10101&pID=10100 백악관 대변인 "브라질 위기 극복할 힘 갖고 있다"]</ref>라고 한 가운데 브라질 대통령 업무 대행을 시작한 미셰우 테메르 부통령(75)이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전 대통령 집권 당시 중앙은행장을 맡았던 엔리케 메이렐리스가 재무부 장관으로 임명하는 등 전원 남성으로 구성된 내각을 구성하면서 "지출 삭감과 민영화 정책 등으로 침체된 국가 경제를 재건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ref>[http://www.focus.kr/view.php?key=2016051300080833804 탄핵 정국 진화 나선 브라질 부통령…"자신감 회복할 것"]</ref>
 
== 각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