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범석 (1900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21번째 줄:
|서명 =
|웹사이트 = [http://www.815academy.com/ 철기 이범석 기념사업회]
}}
{{군인 정보
|이름= 이범석
|생애=[[1900년]] [[10월 20일]] ~ [[1972년]] [[5월 11일]]
|그림=
|설명=
|별명= 호는 철기(鐵驥), 자는 인남(麟男), 다른 이름은 왕운산, 이인남, 이국근(李國根), 이국진(李國鎭)
|태어난 곳= [[대한제국]] [[한성부]] [[동인천동|용동]]
|죽은 곳=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복무= [[중화민국]] [[육군]]<br/>[[대한독립군]] <br /> [[한국광복군|대한광복군]] <br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군]]
|복무 기간= [[1929년]] ~ [[1940년]] <br /> [[1940년]] [[9월]] ~ [[1946년]] [[6월]]
|최종 계급= [[중화민국]] [[국민혁명군]] [[육군|육군소장]] / [[한국광복군|대한광복군]] [[3성 장군|중장]]
|부대=
|지휘=중국 동북항일군<br/>제3로군 <br />한국광복군 참모장, 제2지대장
|주요 참전 전투/전쟁= [[청산리 전투]], [[중일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서훈 내역=[[1963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대통령장
|기타 이력= 중국 동북항일군 작전과장, 육군 제3로군 참의급(參議級) 고급참모(중국군 소장)겸 중국군 제3집단군 제50군단 참모처장, 제3집단군 55군단 참모처장. 전역후 한국 광복군 육군소장 임관 [[북로군정서]] 중대장, [[대한민국]] 정부 1대 [[국무총리]],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장관]], 주[[중화민국]][[대사 (외교관)|대사]], [[대한민국 내무부|내무부]][[장관]]
}}
'''이범석'''(李範奭, [[1900년]] [[10월 20일]] ~ [[1972년]] [[5월 11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군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고등학교 재학 당시 [[중화민국]]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1919년 만주에서 [[신흥무관학교]]와 [[북로군정서]] 등지에서 항일독립활동을 하였으며, [[북로군정서]] 연성대장으로 [[청산리 전투]]에 참전하기도 했다. 그 뒤 [[소련]]과 만주에서 활동하던 중 중국으로 건너가 [[대한민국임시정부]] [[한국 광복군]]의 중장으로 [[한국 광복군|광복군]] 참모장과 제2지대장 등을 지냈다. [[1945년]] 귀국을 시도했다가 강제로 상해로 되돌려보내졌고 [[1946년]] 귀국하였다. 귀국 후 [[안호상]]과 함께 [[조선민족청년단]]을 결성하여 활동하였고 [[반공주의]] 정치 활동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