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구스타웨스틀랜드 AW139: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45번째 줄:
* 2009년 10월 3일 강원도 소방본부 소속 헬기 AW-139는 강원도 양양군 손양면 소방항공대 기지에 착륙하는 과정에서 기체 위쪽의 엔진 덮개가 갑자기 열려 회전하고 있는 로터(회전날개)와 충돌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382962 "국내 한대 뿐인 최첨단" 伊 AW139 헬기,착륙중 기체―날개 충돌 '아찔', 국민일보, 2009년 10월19일]</ref> 당시 소방항공대는 사고 조사를 통해 "AW-139기종이 엔진 덮개를 고정해 놓은 잠금장치가 풀린 것으로 추정한다"며 사고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보고서에서는 또 "과거 중동지역에서 유사 사례가 발생해 잠금장치를 개선했으나 불안전 요소가 아직 존재할 수 있다"며 헬기의 결함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사고 당시 조사에 참가한 항공 전문가는 "AW-139는 기체가 바람을 견딜 수 있는 내항성(耐航性)이나 지지도가 애초 잘못 설계됐다"라고 지적했다. 특히 "엔진 덮개가 로터에 닿을 거리에 설계됐다는 건 이해가 안 된다"라고 조사에서 밝힌바 있다. 미국 연방항공청은 AW-139기종의 연이은 사고와 관련해 2009년 9월 16일 미국 전역에 내린 '비상 항공 내항성 보고'에서 아구스타 모델 헬기의 뒤 패널 부분이 해체됐다는 증거가 유럽항공 안전본부에 접수됐다며 이처럼 위험한 상태는 동일 기종 헬기에 이미 존재하거나 앞으로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 2011년 2월 사고로 인해 해경해경이 운용운용하던 헬기 1대를 소실하였다.
 
== 외국의 사고 일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