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강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Darkholi (토론 | 기여)
Darkholi (토론 | 기여)
잔글 →‎생애: 깨진링크 수정
18번째 줄:
2008년 12월 [[대한민국 국가보훈처|보훈처]]가 입수한(공중파TV 뉴스로 방송됨), 일본이 외무성 사료관에 마이크로필름으로 보관했던 문서인 `만주지역 한인 독립운동 동정보고 자료`를 보면 편강렬의사와 의성단은 특별하게 자료가 많다. 편강렬은 의병장 이후로 일제의 중요 감시대상이었다. 편강렬은 [[임진왜란]] [[정유재란]]을 승리로 이끈 [[편 (성씨)|편갈송]]의 후손이며, 일제는 전국에 있던 [[편 (성씨)|편갈송]]의 승전비를 모두 뽑아 버릴 정도로 대대로 악연이다.(출처는 중앙일보 1982.7.24 기사 5면.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http://www.gb.go.kr/open_content/about_gb/index.jsp?LARGE_CODE=10&LARGE_NAME=&MEDIUM_CODE=10&MEDIUM_NAME=&SMALL_CODE=5&SMALL_NAME=&SMALL_CODE2=40&SMALL_NAME2=&SMALL_CODE3=&SMALL_NAME3=&target=main&URL=/open_content/about_gb/gb_summary/history_vision_hero_view.jsp?cpage=72&person_no=5015 경북도청].한국족보박물관.[http://www.hanauction.com/htm/off_auction_read.htm?id=51849&off_id=132&page=1&ac_num=277 <nowiki>[동원기략(東援記略) 3卷 2冊]</nowiki>]. <의성단장 편강열의 처분에 관한 보고의 건>40권<의성단장 편강열의 체포후에 있어서의 동단의 근황에 관한 건 정보>40권<의성단장 편강열의 체포에 관한 보고의 건>40권<의성단 잔당의 동정>40권<의성단 잔당의 동정에 대하여>40권<의성단의 동정>40권<의성단의 상황에 관한 건>40권 (출처는 [https://books.google.co.kr/books?id=0NPrBQAAQBAJ&pg=PT754&lpg=PT754&dq=%EC%9D%98%EC%84%B1%EB%8B%A8%EC%9E%A5+%ED%8E%B8%EA%B0%95%EC%97%B4%EC%9D%98+%EC%B2%98%EB%B6%84%EC%97%90+%EA%B4%80%ED%95%9C+%EB%B3%B4%EA%B3%A0%EC%9D%98+%EA%B1%B4%3E40%EA%B6%8C&source=bl&ots=_2OQnGH_bf&sig=rsw_p6e7f_nrHBJuB_EuklfC_NA&hl=ko&sa=X&ved=0ahUKEwivotaHqtPPAhWMuY8KHbqOB-kQ6AEIHDAA#v=onepage&q&f=false `만주지역 한인민족운동의 재발견`] 박환). 의성단원들은 국내에 파견되어 경상도와 평안도 등에서도 일경들과 직접 교전交戰을 했다. 1924년 6월9일 김홍진金洪鎭과 김창진金昌鎭이 盈德영덕 [http://www.815gb.or.kr/shop_contents/myboard_read.htm?load_type=&page_idx=0&tag_on=&h_search_c=0&h_search_v=&me_popup=&myboard_code=Aca3_2&page_limit=7&idx=20824&page=7&category_idx= 長沙장사리 일경주재소에서] 교전으로 순국, 의성단원으로 애국장 추서.(출처는 공훈전자사료관) 1923년 6월 박일훈朴日勳이 의주義州 영산적경주재소永山敵警駐在所에서 4곳의 총상을 입고도 주재소를 파괴하고, 또 다른 교전으로 총9곳 총상으로 순국, 의성단원으로 애국장 추서.(출처는 공훈전자사료관). 서울 등에도 잠입하여 군자금을 모집한 정황이 당시 신문에도 보도되었다.(출처는1924년10월1일.1924년07월05일.1924년05월25일.동아일보)
 
의성단이 만철滿鐵을 공격한 이유>>만철은 일제의 거대한 정보수집기관. 당시 불태우지 못한 문서( 비밀, 기밀, 극비로 구분함) 상당수가 남아 일제가 저지른 만행을 생생하게 입증하는 증거가 되고 있다. 관동도독부,관동군,만철滿鐵을 세워 식민통치를 위한 3대 기구로 삼았다. 만철滿鐵은 노점상, 의사 등으로 위장해 활동했고 전화·전신 감청을 통해 각종 정보를 빼냈다. 만철滿鐵 산하 조직은 중국과 일본에 널리 퍼져 있었고 핵심 조사원은 2천500여명이었다. 만철滿鐵 수석이사 다나카 세이지로(田中淸次郞)는 [[이토 히로부미]]를 수행하다가 [[하얼빈 시|하얼빈]] 역에서 안중근의사에게 왼쪽다리에 관통상을 입었던 인물이다. 만철滿鐵병원은 저격당한 이토를 입관하였다. (출처는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05/05/0200000000AKR20140505024400097.HTML 2014/05/05 연합신문]. [http://www.ytn.co.kr/_ln/0104_201405051236012180 YTN].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375016&plink=SEARCH&cooper=SBSNEWSSEARCH SBS뉴스]. [http://www.ajunews.com/view/20140505113837840 아주경제]. [http://203.241.185.12/asd/read.cgi?board=News&y_number=4124&nnew=1 아주경제. 칭다오도서관]). 중국 각지의 일본군 병원에서는 ‘수술 연습’이라고 하면서 중국군,독립군 등에게 마취를 하여 생체 해부를 하고 살해하는 일이 행해졌습니다.(출처는 [http://avic.doc-net.or.jp/siryou/4kakokupael140720.pdf WAR AND MEDICAL ETHICS<전쟁과 의사의 윤리>Editor編者Redakteur NISHIYAMA Katsuo, 西山勝夫]). 호주군 일본어 통역자 프레드릭 아르블래스터가 여성들이 누구냐가 묻자, 일본군 장교가 적십자 간호사라고 둘러댔다. 일본군은 [[위안부]]들에게 적십자 완장을 나눠줬다.(출처는 코리아Korea헤럴드Herald 2016-02-17).일본군은 적십자병원을 점령하고 포로 부상병들에게 음식제공을 중지하였으며,대부분의 포로 부상병들을 처형하였다.일본군은 커다란 적십자가 지붕에 그려진 난징 중앙병원에 천파운드 폭탄 2개를 투하했다.(출처 역사는 누구의 편에 서는가 저자 아이리스 장) 일본은 제네바협약에 결코 동의한 적이 없다고 하면서 국제표준인 적십자 사용을 거부했다. 그러나 일본 군수품`군인들은 적십자(녹십자)마크를 사용해서 보호했다.(미디어오늘 2004-01-05). 세균`독가스`생체실험을 자행한 일본군대<731,100,1644,1855,8604부대>사진에도 [http://kr.xinhuanet.com/2014-06/08/c_133391491_5.htm ‘적십자’ 표식이 있는 대량의 물자]와 [http://kr.xinhuanet.com/2014-06/08/c_133391491_9.htm 안에는 일본 군복을 입고 밖에는 흰 가운을 걸친 남자들]이 등장한다.(출처:[http://kr.xinhuanet.com/2014-06/08/c_133391491_7.htm 인민망 한국어판/중국광파망 2014-06-08 번역`감수:조미경]) 의성단의 일본군 전용 만철병원 습격을 적십자 병원이라고 표기하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다.
 
의성단이 영사관을 공격한 이유>> 일제의 영사관은 [[조선총독부]]에 배속되어 있었고,직원들과 경찰들 모두 총독부 파견이었으며,치외법권을 악의적으로 이용하여,한국인은 일본의 국민이 되었으니 자기들이 관리한다면서,무자비한 탄압(감금`고문`감시)을 자행하였다. [[안중근|안중근`]][[김동삼]]`[[남자현]] 등의 수많은 애국지사가 투옥되어 고문을 받던 곳이다.(출처는 만주지역 한인유적 답사기` 대륙으로 간 혁명가들` 저자:박 환) 애국지사들은 고문당해서 중병을 얻고, 회생 불가능 상태에서 석방되어 객사하는 분들도 있었다.(출처 Korea Daily 2016.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