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사랑방 (정책)/2018년 1월: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11번째 줄:
 
:::비자유 저작물은 비자유 저작물대로, 자유 저작물은 자유 저작물대로 처리하면 그만입니다. 다만 보호받지 못하는 저작물이란 것도 엄연히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신문 기사 역시 신문 기사 그 자체가 보호받는 저작권이 존재하는가, 아닌가를 필히 판단하여야만 합니다. 저작권은 물론이거니와 위키백과의 [[백:정책과 지침]]은 그저 '간주'하면서 편의주의대로 다루어서는 안 됩니다. 더구나 자유 저작물이라 하여도 어디부터 어디까지가 보호받는 부분인지는 충분히 판단이 가능한 부분입니다. 그저 비자유 저작물vs.자유 저작물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만으로는 저작권에 대한 진지한 접근이 어렵습니다. [[사:일단술먹고합시다|일단술먹고합시다]] ([[사토:일단술먹고합시다|토론]]) 2018년 1월 23일 (화) 01:34 (KST)
:::: 신문기사에 대해 지나치게 제한하는 것은 백과사전으로서 제 기능을 할 수 없게 할 것 같습니다. 특정인의 발언마저 전문(그렇다고 몇페이지가 되는것도 아닙니다) 표시를 하지 않고 제한적으로 표시하고 전체는 해당기사에 가서 보라는 식인데 그 발언이라는 것이 독점 인터뷰가 아닌 이상 그 부분에 대해 저작권을 이유로 제한할 이유는 없어보입니다. 백과사전은 관문(포털)이 아닌데 저작권에 대해 민감함 때문인지 마치 포털화 되는경향이 있습니다.
::::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자는 차원에서 아래 의견을 덧붙인 것입니다. 그 경계의 모호함은 판단이 쉽지 않고, 자의적으로 판단하기가 십상입니다. -- [[사:메이|메이]] ([[사토:메이|토론]]) 2018년 1월 23일 (화) 01:39 (KST)
:::: 아래에 링크해 드린것처럼 재단 정책에서는 자유 저작물에 대한 명확한 준거기준을 가지고 있고, 해당 기준에 들어가지 않는 모든 저작물은 "비자유저작물"로 봅니다. '''중간은 없습니다''' --[[사:이강철|이강철]] ([[사토:이강철|토론]]) 2018년 1월 23일 (화) 01:41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