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주의 (교육): 두 판 사이의 차이

개인의 적극적 교육 참여 원리를 방어하는 교육적 전류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새 문서: 본 문서는 교육사상으로서의 진보주의에 관한 것이다. ==개요== 진보주의 교육(進步主義敎育)은 영국의 경험론과 공리주의 및 다윈의 진화...
(차이 없음)

2009년 1월 3일 (토) 15:11 판

본 문서는 교육사상으로서의 진보주의에 관한 것이다.

개요

진보주의 교육(進步主義敎育)은 영국의 경험론과 공리주의 및 다윈의 진화론과의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진 실용주의에 기반을 두고, 전인적(全人的) 인간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진보주의 교육사상에 의하면 교육목적은 아동의 개성을 계발하여 사회생활에 유용한 적응을 할 수 있는 완전한 인간으로 성장·발달시키는 데 두고 있고, 교육내용은 아동 자신의 생활경험 중심적인 교육과정을 중시하며, 방법은 ① 집단적 활동으로서의 회의·협의·계획·참여 등 사회화의 방법, ② 지적 경험·실제적 경험·사회적 경험·미적 경험·정의적 경험 등 다방면의 경험적 방법, ③ 지식·이해·기능·태도·흥미 등의 종합적 학습방법의 중시, ④ 자주적·능동적인 학습을 위해 아동 자신이 문제를 선택·계획하고, 실행·평가하는 문제법·구안법(構案法) 등을 사용한다.

학자

듀이

듀이(John Dewey, 1859-1952)는 미국의 철학자·심리학자·교육학자이다. 미네소타·미시건 대학 철학교수를 역임하고, 1894년 시카고 대학에서 철학·심리학·교육학을 합친 학부의 장(長)이 되었다. 1905년에는 컬럼비아 대학에서 철학·교육학과의 교수가 되어 <민주주의와 교육>을 비롯한 많은 저서를 내었다. 그에 의하면 교육은 장래 생활을 위한 준비가 아니요, 생활 그 자체로서 생의 시초부터 종말까지 계속되는 생활과정 그 자체이며, ① 아동의 매일매일의 생활을 통한 성장이고, ② 아동의 생활경험이 계속적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이었다. 교육목적도 교육은 생활의 과정이지 성인생활의 준비가 아니기 때문에 교육과정 그 자체 내에 있다고 보았으며, 교육방법으로는 경험의 재구성을 위해 '논리적 교재의 심리화'를 강조하고 있다. 즉 지식은 원래 그 지식이 형성된 과정으로 되돌려 발전적으로 취급해야 된다고 하면서, 교사의 논리적·체계적 설명보다는 아동 스스로 주체가 되어 자발적 학습으로 지식과 태도를 종합적으로 획득하는 방법을 장려한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