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재밌는거 추가 ㅋ
태그: 되돌려진 기여 한글 자모가 포함된 편집 요약 m 모바일 웹
1번째 줄:
김정은의 8촌의 누나의 4촌이다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사람|김병로 (1943년)||진해시장을 역임한 정치인에 대해서는}}
{{공직자 정보
| 이름 = 김병로
| 그림 = Kimbyungro portrait.jpg
| 그림설명 = 街人 김병로
| 출생일 = {{출생일|1887|12|15}}
| 국가 = 대한민국
| 직책 = 초대 대법원 원장
| 출생지 = [[조선]] [[전라도]] [[순창군]] [[복흥면]] 하리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특별시)|중구]] 인현동 자택에서 간장염으로 사망
|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64|1|13|1887|12|15}}
| 국적 = 대한민국
| 임기 = 1948년 9월 13일 ~ 1957년 12월 16일
| 대통령 = [[이승만]]
| 부통령 = [[이시영 (1868년)|이시영]] <br/> [[김성수 (언론인)|김성수]] <br/> [[함태영]] <br/> [[장면]]
| 정당 = [[국민의당 (1963년)|국민의당]]
| 총리 = [[이범석 (1900년)|이범석]] <br/> [[이윤영 (1890년)|이윤영]] (국무총리 권한대행 서리) <br/> [[신성모]] (국무총리 서리) <br/> [[백낙준]] (국무총리 권한대행 서리) <br/> [[장면]] <br/> [[허정]] (국무총리 서리) <br/> [[장택상]] <br/> [[이갑성]] (국무총리 임시서리 권한대행) <br/> [[백두진]] <br/> [[변영태]] <br/> [[백한성]]
| 경력 = [[신간회]] 중앙집행위원장<br /> [[남조선과도정부]] 사법부 부장<br /> [[반민족행위처벌법|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특별재판부 재판장<br />초대 [[대한민국의 대법원장|대법원장]]<br /> [[민정당]] 대표최고위원<br /> [[국민의당 (1963년)|국민의당]] 대표최고위원
| 친인척 = [[김종인]](친손자)<br/>[[김문평]](사위)<br/>[[이택돈]](손녀사위)
| 서훈 = [[문화훈장]](1962년) <br/> [[건국훈장|건국훈장 독립장]](1963년)
| 본관 = [[울산 김씨|울산]](蔚山)
| 종교 = [[유교]]([[성리학]]) → [[개신교]]([[장로교|장로회]])
| 배우자 = [[연일 정씨]] 부인
| 자녀 = 3남 1녀<br/>(장남 김재중<br/>차남 김재열<br/>삼남 김재옥)
| 부모 = 김상희(부), [[장흥 고씨]] 부인(모)
| 웹사이트 =
}}
'''김병로'''(金炳魯, [[1887년]] [[12월 15일]] ~ [[1964년]] [[1월 13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통일운동가·[[법조인]]·[[정치가]]이며 [[시 (문학)|시인]]이다.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하리 출신(出身)이며, 본관(本館)은 [[울산 김씨|울산]](蔚山), 호는 '''가인'''(街人)이다.
 
[[일제강점기]] [[신간회]] 활동에 참여하였고, 각 학교의 법률학 전문 교수와 [[독립 운동가]]들을 무료로 변호하는 인권변호사로 활약하며 [[이인]], [[허헌]]과 함께 '''조선국 3대 민족 인권 변호사'''로서 명망을 날렸다.
 
[[광복절|광복]] 후 [[1945년]] [[9월]]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였으나, 결국 [[한국민주당]]의 정책 관련 노선에 반발하여 [[1946년]] [[10월]]에 탈당하고, 이후 [[좌우합작운동|좌우합작위원회]]와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남북 연석회의]]에 참여하였다. 후에 분단의 현실을 느껴 노선을 선회하여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 참여, [[1948년]] [[반민족행위처벌법|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특별재판부 재판부장과<ref name="hankore">{{뉴스 인용|제목=반민특위 발족서 와해까지 첫 정리|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72700289115001&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5-07-27&officeId=00028&pageNo=15&printNo=2296&publishType=00010|출판사=한겨레|저자=|날짜=1995-07-27|확인날짜=2012-02-22}}</ref>, 초대(初代) [[대한민국의 대법원장|대법원장]]을 지냈다.<ref name="jayu">{{뉴스 인용|제목=大法院長에金炳魯氏|url=|출판사=자유신문|저자=|날짜=1948-08-06|확인날짜=2012-02-22}}</ref> 대법원장 시절 [[사법부]]의 독립을 지키고 [[국가보안법]] 폐지를 주장하는 등<ref name="donga">{{뉴스 인용|제목=法理論的으로본保安法波動|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9011000209103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59-01-10&officeId=00020&pageNo=3&printNo=11236&publishType=00010|출판사=동아일보|저자=|날짜=1959-01-10|확인날짜=2012-02-22}}</ref> [[이승만 정권]]의 노선에 반발하여 대립하였고, 대법원장 퇴임 후 [[이승만]], [[박정희]] 정부의 야당 인사로 활동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1962년]] [[대한민국의 훈장|문화훈장]]<ref name="문화훈장">{{뉴스 인용|제목=6千8百名으로 光復節맞아有功者褒賞計劃發表|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208080032920100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62-08-08&officeId=00032&pageNo=1&printNo=5160&publishType=00020|출판사=경향신문|저자=|날짜=1962-08-08|확인날짜=2012-02-22}}</ref>, [[1963년]] [[건국훈장|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으며<ref name="건국훈장">{{뉴스 인용|제목=三·一節에表彰할 獨立有功者六百70名選定|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302230020920200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3-02-23&officeId=00020&pageNo=2&printNo=12713&publishType=00020|출판사=동아일보|저자=|날짜=1963-02-23|확인날짜=2012-02-22}}</ref>, [[1964년]] 자택에서 간장염으로 사망하였다.<ref name="사망1">{{뉴스 인용|제목=街人先生의의逝去|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4011400209202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4-01-14&officeId=00020&pageNo=2&printNo=12989&publishType=00020|출판사=동아일보|저자=|날짜=1964-01-14|확인날짜=2012-02-22}}</ref><ref name="사망2">{{뉴스 인용|제목=가인·김병로 선생 사회장|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401180020920601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4-01-18&officeId=00020&pageNo=6&printNo=12993&publishType=00020|출판사=동아일보|저자=|날짜=1964-01-18|확인날짜=2012-02-22}}</ref> 그의 유해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서울]] [[강북구]] [[수유동]] 선열묘역([[수유동|삼각산로]] 5)에 안장되어 있다.
 
== 생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