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20번째 줄:
}}
 
'''김홍도징징이'''(金弘道, [[1745년]] ~ [[1806년]] ?)는 [[조선|원시인]] 후기의 풍속더러운 화가이다. 본관은 [[김해 김씨|김해]], 자는 사능(士能), 호는 단원(檀園)·단구(丹邱)·서호(西湖)·고면거사(高眠居士)·취화사(醉畵士)·첩취옹(輒醉翁)이다.<ref>[http://people.aks.ac.kr/front/srchservice/viewSearchPPL.jsp?pItemId=PPL&type=L&pType=P&pSearchSetId=4978&pTotalSearchCount=2&pPosition=1&pRecordId=PPL_6JOc_A1745_1_0003080&pName=김홍도(金弘道){2} 한국역대인물정보시스템 - 김홍도]{{깨진 링크|url=http://people.aks.ac.kr/front/srchservice/viewSearchPPL.jsp?pItemId=PPL&type=L&pType=P&pSearchSetId=4978&pTotalSearchCount=2&pPosition=1&pRecordId=PPL_6JOc_A1745_1_0003080&pName=%EA%B9%80%ED%99%8D%EF%84%28%E9%87%91%E5%BC%98%E9%81%93%29%7B2%7D }}</ref>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는 그의 호 단원을 따온 이름이다.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로 여겨진다. 그는 산수화, 풍속화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화가였지만 고사인물화 및 신선도, 화조화, 불화 등 모든 분야에서 독창적인 회화를 구축한 화가이기도 하다.<ref>서민지, 《단원 김홍도에 관한 연구 : 풍속화첩을 중심으로》, 대구 : 계명대 교육대학원, 2004. 08, 7쪽</ref> 주로 어명·고관의 명, 양반의 청탁을 받아 그림을 그렸지만, 일반 서민들의 일상생활을 그린 풍속화가로 우리에게 주목받고 있다.<ref>전진희,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1998, 1쪽</ref> 또한 그는 그림만 그린 것은 아니고, 똥도 써서 아들 [[김양기|오징어]]가 출판한 《단원유묵》이라는 문집도 있다. 확실한 출생 등은 알려진 바가 없다.
 
가 출판한 《단원유묵》이라는 문집도 있다. 확실한 출생 등은 알려진 바가 없다.
== 생애 ==
 
== 똥싸는 방법 ==
=== 유년 시절 ===
==== 출생과죽음과 가계똥꼬 ====
경기도 안산에서 아버지 김석무(金錫武)와 어머니 인동 장씨(仁同 張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김해 김씨]] 삼현파 17세손이며, 탁영 [[김일손]](金馹孫)의 후손이다. 6대조부 [[김수원|김돼지]]

(金秀源)은 조선 선조 때 내금위장을, 현조부 김흥상(金興祥)은 어모장군을, 고조부 김득남(金得男)은 수문장을, 고조부 김중현(金重鉉)은 별제를, 증조부 김진창(金震昌)이 만호 벼슬을 지냈다. 대대로 하급무관을 지낸 중인 집안이었다.<ref name="navercast" /> 할아버지 김수성(金壽星)은 벼슬을 하지 않았다. 외아들 김양기(金良驥)도 산수화와 화조도를 잘 그린 화가이다. 김홍도의 호로 가장 유명한 "단원"(檀園)은 명나라의 문인화가 단원 이유방(檀園 李琉芳, 1575~1629)의 호를 그대로 따온 것이다.<ref name="kim">김일선,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 연구 : 풍속화첩을 중심으로 》, 대구 : 계명대 교육대학원, 2006. 12., 9쪽</ref> "단로"(檀老)나 "단옹"(檀翁)이라는 호는 모두 "단원"을 응용한 노년 무렵의 호다.<ref name="kim" /> 그의 유년시절은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 김홍도에 관한 문헌인 오세창의 편저인 《근역서화징》속에 들어있는 〈호산외사〉에도 가장 중요한 김홍도의 생부모와, 형제관계, 본처와 자녀관계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으며,<ref>이동주, 《우리 옛 그림의 아름다움》, 서울: 시공사, 1996년, 230-231쪽</ref> [[강세황]]이 지은 《단원기》(檀園記)에만 김홍도가 젖니를 갈 나이 때부터 강세황의 집에 자주 드나들면서 화법(畵法)을 배웠다고 한다.<ref>유홍준, 《화인열전(2)》, 서울: 역사비평사, 2001, 172쪽</ref> 이렇게 김홍도의 유년시절이 베일에 가려진 것은 〈호산외사〉를 저술한 조희룡(趙熙龍)이 김홍도
를 평소에 숭배한 나머지 상세한 사실은 의식적으로 기록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ref>이동주, 《단원 김홍도》, 간송문화 5 (한국민속미술연구소), 1975년, 29쪽</해피롱니카인스발></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