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인권 선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
[[파일: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10 December 1948.jpg|섬네일|250px|세계 인권 선언문]]
[[파일:Eleanor Roosevelt UDHR.jpg|섬네일|250px|[[엘리너 루스벨트]]와 세계 인권 선언(1949년)]]
'''세계 인권 선언'''(世界人權宣言, {{llang|en|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UDHR'''}})은 [[1948년]] [[12월 10일]] 파리에서 열린 제3회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인권]]에 관한 세계 선언문이다.<ref name=":0">[https://ko.dict.naver.com/#/entry/koko/a0f97a6350e3417ab154ea9c14f2e3ad <nowiki>[네이버 국어사전] 세계인권선언 (世界人權宣言).</nowiki>]</ref> 2차 세계대전 전후로 전 세계에 만연하였던 인권침해 사태에 대한 인류의 반성을 촉구하고, 모든 인간의 기본적 권리를 존중해야 한다는 유엔 헌장의 취지를 구체화 하였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430775&cid=58436&categoryId=58436 <nowiki>[네이버 지식백과] 세계 인권 선언 (EBS 어린이 지식e, EBS 지식채널ⓔ 제작팀, 서선정, 민재회, 김잔디, 박은애)</nowiki>]</ref> 시민적, 정치적 권리가 중심이지만 노동자의 단결권, 교육에 관한 권리, 예술을 향유할 권리 등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에 대하여서도 규정하고 있다.<ref name=":0" />
 
초안은 1946년 [[존 험프리]]가 작성하였다.<ref>[https://www.geschichte-menschenrechte.de/schluesseltexte/william-h-fitzpatricks-editorials-on-human-rights-1949/ Christopher N.J.Roberts. "William H. Fitzpatrick's Editorials on Human Rights (1949)". Quellen zur Geschichte der Menschenrechte. Retrieved November 4, 2017.]....The recognition of universal principles of human dignity was certainly a crucial historical milestone. Thus such historical works often focus on the tireless work of human rights supporters such as Eleanor Roosevelt and John Humphrey, who penned the first draft of the UDHR.</ref> 인권선언문은 전문과 본문의 30개 조에 개인의 기본적인 자유와 함께 노동권적 권리, 생존권적 권리를 오늘날의 진보적인 국가의 헌법에서 규정하는 인권보장과 같이 자세히 규정하고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1424&cid=43667&categoryId=43667 <nowiki>[네이버 지식백과] 세계인권선언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nowiki>]</ref> 프랑스 파리 샤요 궁(Palais de Chaillot)에서 열린 3번째 회의에서 당시 국제연합 가입국 58개 국가 중 48개 국가가 찬성하여 [[유엔 총회 결의]] 217 A (III)로 승인되었다.
 
선언문은 524개의 언어로 번역되어, 가장 많이 번역된 유엔 총회 문건이다. 1946년의 인권장전 초안과 1948년의 세계인권선언 그리고 [[1966년]]의 [[국제인권규약]]을 합쳐 [[국제인권장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세계 인권 선언은 유엔의 결의로서 비록 직접적인 법적 구속력은 없으나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 헌법 또는 기본법에 그 내용이 각인되고 반영되어 실효성이 클 뿐만 아니라 1966년 국제인권규약은 세계 최초로 법적 구속력을 가진 세계적인 인권 관련 국제법이다.<ref>조효제, 《인권의 풍경》 326쪽, <인권의></ref>
 
== 역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