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1번째 줄:
ref>존 라이트, 박상은 역, 뉴욕타임즈가 선정한 교양 7. 역사인물, 이지북이지북백|url=http://www.time.com/time/time100/scientist/profile/farnsworth.html |date=20090930214902 }}, 2006[[타임지]], 213쪽1999년 3월 29일, 2009-8-1 읽어봄</ref>
 
=== 텔레비전 방송의 역사 ===
[[파일:Nipkow disk.svg|섬네일|닙코프 디스크]]
[[파일:Kuvaputki2.JPG|섬네일|[[음극선관]]의 뒷면, 가운데에 전자총이 부착되어 있다.]]
1817년 [[스웨덴]]의 화학자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llang|sv|Jöns Jakob Berzelius}}, [[1779년]] [[8월 20일]] - [[1848년]] [[8월 7일]])가 [[셀렌]]을 발견하였다. 1873년 [[아일랜드]]의 [[전신|전신 기사]] [[조지프 메이]]가 셀렌의 [[광전 효과]]를 발견하였다. 2년후인 1875년 [[미국]]의 [[조지 케리]]가 이를 이용하여 물체의 영상을 전기 신호로 바꾸는데 성공하였다. 셀렌으로 수많은 광전지를 만들어 각각을 [[전구]]에 연결한 뒤 셀렌 판 앞에 물체를 두자 전구가 물체의 윤곽을 나타낸 것이다.<ref name=teletronic>[http://www.teletronic.co.uk/pioneers.htm 텔레비전의 선구자들] {{웨이백|url=http://www.teletronic.co.uk/pioneers.htm |date=20170802083807 }}, teletronic.co.uk, 2009-8-1 읽어봄</ref>
 
그러나 케리의 텔레비전은 좋은 화상을 얻기 위해서 무수히 많은 전구와 전선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것은 [[1884년]] [[독일]]의 전기 기술자 [[파울 고틀리베 닙코프]]({{llang|de|Paul Gottlieb Nipkow}}, 1860년 8월 22일 – 1940년 8월 24일)였다. 그는 셀렌판 앞에 24개의 구멍이 뚫린 원판을 세우고 이를 모터로 회전 시켜 빛을 순차적으로 전달하도록 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수많은 광전지에서 나온 전기 신호를 하나의 전선으로 전달할 수 있었다. 신호를 전달 받은 수상기는 같은 역의 방법으로 전구를 켜서 이미지를 재생할 수 있었다. 그는 [[영화]]의 기술과 같이 빛이 순차적으로 이미지를 재현하더라도 [[잔상]] 효과때문에 사람들은 전체의 이미지로 파악한다는 것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주사 방식은 텔레비전의 화상 표현 방법에 큰 영향을 주었다. 닙코프의 장치는 "전기망원경"이라 불렸다. 1926년 [[영국]]의 사업가 존 로지 베어드는 닙코프의 "전기망원경"을 이용한 사업을 시작하였다. 베어드가 "텔레바이저"({{llang|en|televisor}})라 부른 이 기계는 이후의 [[음극선관]]을 이용한 텔레비전과 구분하여 기계식 텔레비전이라 부른다. 1929년 [[BBC]]는 기계식 텔레비전을 이용한 방송을 시작하였다.<ref>백종민, 전자기 멕스웰의 스파크, 성우, 2007</ref>
 
[[1897년]]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llang|de|Karl Ferdinand Braun}}, [[1850년]] [[6월 6일]] -[[1918년]] [[4월 20일]])이 [[음극선관]]을 발명하였다. 발명가의 이름을 딴 브라운관이라고 널리 알려진 음극선관은 [[진공관]]과 같은 원리에 의해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가 형광물질을 입힌 화면에 부딪혀 나는 빛을 이용하여 화상을 재현하였다.<ref name=teletronic/> 이후 [[LCD]]와 [[LED]]가 발명될 때까지 브라운관은 텔레비전 수상기를 비롯한 컴퓨터 모니터 등에 두루 쓰였다. 기계식 텔레비전에 대비된 음극선 방식의 텔레비전은 전자식 텔레비전이라 불렸다.
 
[[텔레비전]]이란 말은 [[1900년]] [[8월 25일]] [[파리 (프랑스)|파리]]에서 열린 [[국제전기기술총회]]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제대로 된 텔레비전이 세상에 나오기까지는 20여년의 세월이 더 흘러야 했다.<ref name=kang>[[강준만]], 세계의 대중 매체 1. 미국편, 인물과사상사,2006, 29쪽</ref> 그 동안 여러 과학자와 발명가들은 텔레비전의 발명을 성공시키기 위해 경쟁하였다. 미국의 발명가 [[필로 판즈워즈]]({{llang|en|Philo Farnsworth}}, [[1906년]] [[8월 19일]] – [[1971년]] [[3월 11일]])는 고등학교 졸업 무렵 자신의 스승이었던 톨만에게 전자식 텔레비전의 스케치를 보여주었고 졸업 후 투자자를 모아 연구에 전념하여 1927년에 시제품을 발명하였다. 그의 발명은 1년뒤에 일반인에게 알려져 1928년 9월 3일 《센프란시스코 신문》은 "SF맨이 텔레비전 혁명을 일으켰다"라고 보도하였다.<ref name=song>송성수, 기술의 프로메테우스, 신원문화사, 2006, 271-282쪽</ref>
 
미국의 거대 방송사 [[RCA (기업)|RCA]]는 1930년 [[러시아]]에서 미국으로 이민한 발명가 [[블라디미르 K. 즈보리킨]]({{llang|ru|Владимир Козьмич Зворыкин}}, 1889년 7월 30일 - 1982년 7월 29일)를 고용하여 텔레비전의 발명을 진행하고 있었다. 블라디미르 즈보리킨은 판스워즈의 연구소를 방문한 뒤 그의 아이디어를 빌려 전자식 텔레비전을 완성하였다. RCA는 텔레비전 특허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판스워즈와 특허권 분쟁을 일으켰다. RCA는 1939년 4월 뉴욕의 세계박람회에서 [[프랭클린 D. 루스벨트|루즈벨트]] 대통령의 연설을 텔레비전으로 내보내며 자신들의 발명을 자랑하였으나 1939년 10월 판스워즈의 특허권을 인정하고 로열티를 지불하였다. 그러나 오래된 법정 분쟁으로 판스워즈는 이미 큰 타격을 입은 상태였다. 더욱이 곧바로 이어진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하여 텔레비전 산업은 제약을 받았다. 이로써 판스워즈는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졌다. 전쟁 이후 RCA는 미국 텔레비전 사업의 80%를 점유하는 독과점 기업이 되었고 자신들이 텔레비전을 발명했다고 광고하였다. 판즈워즈는 1957년 CBS의 텔레비전 퀴즈쇼를 통해 텔레비전의 발명가라는 것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ref name=song/> 1999년 [[타임지]]는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100명"의 한 명으로 판스워즈를 꼽았다.<ref>네일 포스트먼, [http://www.time.com/time/time100/scientist/profile/farnsworth.html 필로 판즈워즈, 20세기 가장 중요한 100명, 과학 및 사상 분야] {{웨이백|url=http://www.time.com/time/time100/scientist/profile/farnsworth.html |date=20090930214902 }}, [[타임지]], 1999년 3월 29일, 2009-8-1 읽어봄</ref>
 
한편, 1930년대 [[독일]]은 기존의 기술과 함께 즈보리킨과 여러명의 특허권을 사들여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하였다. 또한, 영국, 일본, 프랑스 등도 이 시기에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하였다. 그 결과 [[1936년]] [[베를린 올림픽]]이 전 세계에 생중계 될 수 있었다.<ref name=k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