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잔글 118.47.177.198(토론)의 편집을 LR0725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m 모바일 웹 고급 모바일 편집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시각 편집: 전환됨
8번째 줄:
|그림 = Hanzi.svg
|그림_설명 = 정체자(흑색)와 간체자(적색)의 표기
|표기 언어 = [[일본어]], [[한국어]]([[국한문혼용]]), [[중국어]]([[관화]], [[광동어]], [[민어 (언어)|민어]], [[하카어]], [[간어]], [[샹어]], [[우어]], [[진어]]), [[류큐어파]], [[좡어]], [[베트남어]]([[쯔놈]])
|시기 = [[기원전 14세기]] ~ 현재
|계통1 = [[갑골 문자]]
15번째 줄:
{{한자 둘러보기}}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
'''한자'''(漢字)는 [[표어 문자]]의 하나로, [[중국 대륙]]에서 발원하여 [[중화인민공화국]] 본토, [[중화민국]], [[홍콩]], [[마카오]], [[일본]],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베트남]],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의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거나 역사적으로 사용되었던 [[문자]]이다.
 
== 역사 ==
82번째 줄:
{{범례|#c9a400|과거에 한자가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사용되지 않음}}]]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과 [[베트남]]은 2천년 이상 [[중국]]과 함께 [[한자 문화권]]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ref>중국 [[한나라]]의 [[한 무제|무제]]가 [[기원전 111년]] [[베트남]]의 [[남월국]]을, [[기원전 108년]] [[한반도]]의 [[고조선]]을 멸망시켰기 때문에 [[기원전 1세기]]에는 [[베트남]]과 [[한반도]]에 한자(漢字)가 상당히 침투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기원전 7세기]] 무렵의 사실을 기록한 《[[관자]](管子)》에 [[고조선]]이 [[제나라]]와 교역한 것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한국]]에는 [[춘추 시대]]에 이미 한자가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베트남]]의 경우에는 중국 출신인 [[조타]]가 세운 [[남월국]]이 [[툭판 왕조]]를 멸망시킨 [[기원전 207년]]에 이미 한자가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ref> 단어의 상당수가 한자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1948년]]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강력한 [[한글 전용]] 정책을 펴서 일상생활에서는 거의 [[한글]]만을 쓰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도 [[인명|성명]](姓名), 학술용어, 동음이의어(同音異意語)나 축약어 등 [[한자어]]의 뜻을 특별히 강조할 때를 제외하고는 [[한글]]을 쓴다. 현재는 [[중화권]] 국가들([[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싱가포르]] 등)과 [[일본]]이 일상에서 한자를 사용한다.
 
=== 한국 ===
99번째 줄:
{{본문|일본어 한자}}
[[일본어]]에서는 일본의 음절 문자인 [[가나 (문자)|가나]]와 함께 쓰인다. 일본의 한자는 1949년 일본 정부가 간략화한 [[신자체]]이며, 일본어 한자는 음독(音讀, 일본식 한자음)과 훈독(訓讀, 한자를 같은 뜻의 일본 고유어로 읽는 것)이 함께 쓰이므로 고유어도 한자로 나타낸다. 이 방식은 고유어를 보존하면서 음절 길이를 줄이는 장점이 있는 반면, 한자 읽기가 복잡해진다는 단점도 있다. 이 때문에 [[인명]] 등 [[고유명사]]나 일반인이 읽기 어려운 한자 위에는 읽는 법을 다는 [[후리가나]]가 있다. 일본어에서 한자는 명사, 동사와 형용사의 어간 및 일부 부사에 쓰이고, 가나는 문법 기능을 나타내는 토씨와 외래어나 외국어를 표기할 때에 주로 쓰인다.
 
=== 베트남 ===
{{본문|베트남어 한자}}
[[베트남]]에서는 [[쯔꾸옥응으]]라고 하는 [[베트남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사용하므로, 일상에서 한자는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베트남어의 단어에는 [[한국]]의 [[한자어]]와 비슷한 [[한월어]]가 있다.
 
베트남어인 [[쯔놈]]도 한자에서 유래했다.
 
== 한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