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리장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같이 보기: 일부 작성자들에 의해 만리장성 노역 관련 내용이 전부 삭제되어 있음으로 노역이 언급된, 몽염 항목을 추가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시각 편집
28번째 줄:
[[파일:Map of the Great Wall of China.jpg|오른쪽|300px|섬네일|중국이 주장하는 시대별 만리장성의 축조도. 한국 학계에서는 이를 부정하고 만리장성이 동쪽으로 요하 부근까지 진출했다고 본다.]]
[[파일:북직례~1.JPG|섬네일|300픽셀|대명여지도에 그려진 명장성 (직례성 지역)]]
[[파일:산동여도.jpg|섬네일|300픽셀300x300px|대명여지도에 그려진 명장성 (요동 지역)]]
=== 진한(秦漢)대의 장성 ===
장성의 기원은 [[춘추 시대]]의 [[제]](齊)에서 시작되어 [[전국 시대]]에 들어오면 [[초 (춘추 전국)|초]](楚)·[[위 (전국)|위]](魏)·[[연 (춘추전국)|연]](燕)·[[조 (전국)|조]](趙)·[[진 (영성)|진]](秦) 등 북방의 이민족과 국경을 접하고 있던 국가들이 국경에 북방의 방어를 위해 장성을 쌓았다. [[한 (전국)|한]], [[제 (춘추전국)|제]] 등은 북방의 이민족과 국경을 접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이 쌓은 장성은 초나라를 막기 위해 중국 본토 안에 건설되었다. [[기원전 221년|기원전 222년]]에 [[진나라|진]]의 [[시황제]]가 중국을 통일한 후 중국 안에 있던 장성을 파괴하고 [[흉노]]를 방어하기 위하여 북쪽에 만들어졌던 여러 성들을 보수하고 서로 연결시켜 장성을 쌓았는데, 기록에 따르면 [[몽염]] 장군에게 장성을 쌓도록 명하여 [[기원전 214년]] 경에 완성하였으며 동쪽으로는 요동(현재의 [[랴오닝성]])에 이르렀고 서쪽은 임조(臨洮, 현재의 [[간쑤성]] [[민 현]])에 이르렀다고 한다. 최근에 발견된 [[츠펑 시]] 등지의 유적으로 미루어 보아 당시의 장성은 현재보다는 북방에 위치하였다. 이후 [[한나라]]의 [[전한 무제|무제]]는 흉노를 몰아내고 영토를 확장하면서 장성을 서쪽의 [[옥문관]]까지 확장시켰다. [[후한]] 시기에는 흉노의 세력이 크게 약화되어 이후 수백년 동안 장성의 개축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55번째 줄:
 
만리장성 중 가장 인기 있는 관광지는 베이징 부근의 [[팔달령 장성]](八達嶺長城)이다. 수도인 [[베이징]]에서 80km 떨어져 있다는 지리적 장점과 함께 용이 춤을 추는 듯한 역동적인 형상 때문에 팔달령은 1년 내내 관광객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ref>서영진,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00&contents_id=3512&path=%7C184%7C197%7C&leafId=241 만리장성과 베이징 - 네이버 캐스트]</ref>
 
== 논란 ==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은 [[2009년]] 진장성과 명장성으로 대표되는 만리장성의 전체 길이와 위치를 확정하여 발표하였다. 한국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이 만리장성의 동쪽 끝이라 발표한 [[단둥 시]]의 ‘호산산성’이 고구려의 [[박작성]]이라는 사실에 언론이 주목하여 논란이 되었다. [[2004년]]부터 고구려의 박작성을 대대적으로 개축하여 만리장성의 일부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한다.<ref>KBS 《역사스페셜》, 2010년 5월 15일 방영</ref> 또한 [[2012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의 역대 왕조들이 건설한 장성 유적을 모두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였는데, 한국의 언론에서는 이를 기존의 만리장성의 길이를 연장한 것이라 왜곡하여 발표, 대중의 논란을 불러일으켰다.<ref>[http://news.donga.com/3/all/20120607/46816671/1 고무줄 만리장성… 中, 고구려-발해땅까지 연장(2012년 6월 7일 동아일보 기사)]</ref> 중국의 조사는 만리장성으로 대표되는 진나라 및 한나라, 명나라의 장성 유적뿐만 아니라 그외 다른 역대 왕조에서 건설된 다양한 장성을 조사하여 그것을 모두 합산하여 만리장성의 길이가 연장되었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한국에서는 언론의 왜곡된 발표로 논란이 되고 있으나, 동북아역사재단은 공식 검토 의견을 통해 중국의 정치적 의도 및 [[고구려]], [[발해]]와의 연관성은 확인할 필요가 있으나 정확한 사실도 확인하지 않고 촉발된 언론의 논란은 잘못된 것이라 일축했다.<ref>[http://www.nahf.or.kr/?bmode=view&search=&s_word=&mode=&board=&menulev=&didx=&bname=&sidx=128&page=1&bidx=378&stype=1&subject=%EC%9E%AC%EB%8B%A8%EC%86%8C%EC%8B%9D 중국의‘장성(長城)’보도 관련 전문가 토론회 개최] 중 첨부자료 [http://www.nahf.or.kr/data/bodo/20120608/0608_NAHF.hwp 중국역대장성길이발표에대한검토-동북아역사재단]</ref>
 
== 주요 장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