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S경인TV: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차단 회피 - Vandal Cleaner
태그: 일괄 되돌리기 동음이의 링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방송국 정보
|로고 =
|로고 그림 설명 =
|본사 그림 = OBSgaikan.jpg
|약칭 = OBS
|회사 정보 = OBS경인TV 주식회사
|창립일 = 2006년 8월 30일
|개국일 = 2007년 12월 28일 (TV) <br/> 2023년 3월 30일 ([[OBS 라디오|라디오]])
|폐국일 =
|해체일 =
|이전 = [[경인방송|iTV 경인방송]]
|이후 =
|자본금 = 143,150,000,000원 (2015년 12월)
|매출액 = 34,058,463,008원 (2015년)
|영업 이익 = 185,816,575원 (2015년)
|순이익 = 94,904,026원 (2015년)
|자산 총액 = 21,374,526,797원 (2015년 12월)
|주주 = [[영안모자]]: 31.9%<br>[[경기고속]]: 13%<br>[[매일유업|매일홀딩스]]: 6.3%<br>[[솔브레인]]: 5.4%<br>[[클라크]]: 5.4%
|직원 수 =
|국가 = [[대한민국]]
|본사 =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오정로]] 233 (오정동) (TV) <br/> {{국기나라|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경수대로]] 420 ([[인계동]], 마라톤빌딩) 7~8층 (라디오)
|사장 = 김학균
|자회사 =
|계열사 =
|슬로건 = 지역이 희망입니다.
|웹사이트 = {{URL|https://www.obs.co.kr/}}
}}
 
[[파일:OBS-1.jpg|섬네일|200px|OBS경인TV 사옥(1)]]
[[파일:OBS-2.jpg|섬네일|200px|OBS경인TV 사옥(2)]]
[[파일:OBS-3.jpg|섬네일|200px|OBS경인TV 사옥(3)]]
 
'''OBS경인TV'''(京仁TV)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지역을 대상으로 방송하는 지역 지상파 TV 방송사다.
 
== 의미 ==
OBS에서 O는 하나를 의미하는 One, 우리를 뜻하는 Our, 열림을 뜻하는 Open, 척박한 사막의 희망 Oasis, 기회를 뜻하는 Oppotunity가 담겨져 있다.
 
== 캐치 프레이즈 ==
=== 과거 ===
==== 2000년대 ====
* 2008년 ~ 2009년 : 희망을 나눠요.
 
==== 2010년대 ====
* 2010년 : 따뜻한 세상 함께 하는 OBS
* 2011년 ~ 2014년 : 사람 세상(世上)을 만듭니다.
* 2015년 ~ 2017년 : 경인 성장의 힘 OBS
* 2018년 : 지역의 희망이 되겠습니다.
 
=== 현재 ===
*TV : 지역이 희망입니다. OBS (2019년~)
* 라디오 : 열린 채널, 열린 방송 따뜻한 나눔 99.9 OBS 라디오 (2023년~)
 
== 로고송 ==
* 2008년 : 오늘보다 더 희망찬 내일 OBS
* 2009년 : 다 함께 희망을 나눠요 OBS
* 2013년 ~ :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 OBS
 
== 방송 권역 ==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등 수도권 지역, [[충청남도]], [[충청북도]] 일부 지역을 가시청 권역으로 하고 [[대한민국의 케이블TV 방송|유료방송 재송신]]을 통해 [[서울특별시]] 전체 지역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한다.
 
== 나라별 제휴국 ==
* {{국기|일본}} [[마이니치 방송|마이니치방송]]({{llang|ja|毎日放送}})
* {{국기|일본}} [[요미우리 TV 방송]]({{llang|ja|読売テレビ放送}})
* {{국기|일본}}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llang|ja|東京メトロポリタンテレビジョン}})
 
== 연혁 ==
=== 2000년대 ===
* 2006년 8월 30일 : 법인 설립.
* 2006년 11월 8일 : 김성재 사장 취임.
* 2007년 4월 5일 : OBS경인TV 허가 추천 결정 ([[대한민국 방송위원회|방송위원회]]).
* 2007년 4월 12일 : 3개 송신소, 중계소 허가 추천서 수령.
* 2007년 7월 25일 : 주철환 사장 취임과 김성재 사장은 회장으로 취임.
* 2007년 11월 23일 : OBS경인TV 인천 [[계양산]] [[아날로그 텔레비전|아날로그 TV]], [[디지털 텔레비전|디지털 TV]] 방송국 허가증 교부([[대한민국 정보통신부|정보통신부]]), 시험 방송 실시.
* 2007년 12월 7일 : OBS경인TV 방송국 검사 필증 취득.
* 2007년 12월 26일 : [[OBS문화재단]] 설립.
* 2007년 12월 28일 : OBS경인TV 개국 및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실시.
* 2008년 8월 15일 : 경기 수원, 용인 광교산 중계소 전파 송출 시작.
* 2009년 1월 21일 : 주철환 사장 사퇴 의사 표명.
* 2009년 2월 12일 : 주주 총회에서 차용규 전 [[울산방송]] 사장을 OBS 신임 사장으로 선임.
* 2009년 2월 16일 : 차용규 사장 취임.
* 2009년 8월 : 미디어 OBS를 방송통신위원회에 PP로 등록.
 
=== 2010년대 ===
* 2010년 4월 : 손용 사장 취임.
* 2010년 5월 : [[KT스카이라이프|스카이라이프]]를 통한 재송신 개시.<ref>{{뉴스 인용|제목 = OBS, 경인 지역 스카이라이프 재송신| url=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27|출판사 = 미디어스|저자 = 도형래|쪽 = |날짜 = 2010년 4월 29일|확인 날짜 = }}</ref>
* 2010년 5월 19일 : 경인일보-OBS 양사간 업무협약 조인.<ref>{{뉴스 인용|제목 = 경인일보 - OBS 업무 협약|url = http://www.kyeongin.com/news/articleView.html?idxno=519536|출판사 = 경인일보|저자 = 민정주|쪽 = |날짜 = 2010년 5월 20일|확인 날짜 = }}</ref>
* 2010년 6월 12일 : [[OBS W]] 개국.<ref>{{뉴스 인용|제목 = 스카이라이프, OBSW 론칭..`메이저 리그 생중계`|url =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DC13&newsid=01682646592968920&DCD=A01404&OutLnkChk=Y|출판사 = 이데일리|저자 = 유용무|쪽 = |날짜 = 2010년 5월 14일|확인 날짜 = }}{{깨진 링크|url=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DC13&newsid=01682646592968920&DCD=A01404&OutLnkChk=Y }}</ref>
* 2011년 3월 21일 : OBS 역외 재송신 허용 ([[대한민국 방송통신위원회|방송통신위원회]]).<ref>{{뉴스 인용|제목 = 서울서 경인TV 본다…방통위, 역외재송신 허용|url =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32115270025696|출판사 = 아시아경제|저자 = 명진규|쪽 = |날짜 = 2011년 3월 21일|확인 날짜 = }}</ref>
* 2011년 8월 1일 : 서울 전 지역 [[대한민국의 케이블TV 방송|케이블TV SO]]를 통한 재송신 개시.<ref>{{뉴스 인용|제목 = [브리핑] 경인TV OBS, 1일부터 서울 전역으로 송출 시작 外|url = https://news.joins.com/article/5878848|출판사 = 중앙일보|저자 = |쪽 = |날짜 = 2011년 8월 1일|확인 날짜 = 2020년 8월 30일 }}</ref>
* 2011년 12월 28일 : [[용문산 (경기)|용문산 중계소]] 전파 송출 개시.
* 2012년 3월 20일 : [[SK브로드밴드]] [[B TV]]를 통한 재송신 개시.<ref>{{뉴스 인용|제목 = OBS, 수도권 전역 모든 플랫폼으로 본다|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3&aid=0004393628|출판사 = 뉴시스|저자 = 유상우|쪽 = |날짜 = 2012년 3월 18일|확인날짜 = }}</ref>
* 2012년 7월 1일 : 서울 지역 스카이라이프 HD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한 재송신 개시.<ref>{{뉴스 인용|제목 = OBS, 수도권서 위성방송 재송신|url = https://www.yna.co.kr/view/AKR20120703165400005|출판사 = 연합뉴스|저자 = 윤고은|쪽 = |날짜 = 2012년 7월 3일|확인날짜 = 2020년 8월 30일}}</ref>
* 2012년 9월 12일 : [[SK브로드밴드]] [[B TV]]를 통한 재송신 권역을 [[서울특별시]] 전 지역으로 확대.<ref>{{뉴스 인용|제목 = 서울 위성방송 가입자도 OBS 본다|url =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159|출판사 = 미디어스|저자 = 이승욱|쪽 =|날짜 = 2012년 6월 28일|확인날짜 =}}</ref>
* 2012년 9월 29일: [[KT]] [[올레 TV]]를 통한 재송신을 개시.<ref name="iptv">{{뉴스 인용|제목 = KT IPTV 가입자, 채널 31번에서 OBS 시청가능|url =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982|출판사 = 미디어스|저자 = 곽상아|쪽 =|날짜 = 2012년 9월 25일|확인날짜 =}}</ref>
* 2012년 10월 16일 : [[LG유플러스|LG]] [[U+ TV]]를 통한 재송신을 개시.
* 2012년 12월 31일 : 오전 4시 수도권 지역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
* 2013년 10월 16일 : [[수도권]], [[충청권]], [[강원도]] 디지털 방송 재배치.
* 2013년 11월 19일 : [[경인방송]]과 업무협정 체결.<ref>{{뉴스 인용|제목 = OBS·iFM, 업무 제휴 체결 "경인 지역 방송 위상 새롭게 정립할 것"|url = http://www.ob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53180|출판사 = OBS 플러스 (OBS 뉴스)|저자 = 김나라|쪽 = |날짜 = 2013년 11월 19일|확인날짜 = }}</ref>
* 2014년 4월 24일 : 주 송신소를 계양산에서 광교산으로 변경.
* 2015년 12월 28일 : 백령 중계소 전파 송출 개시.<ref>{{뉴스 인용|제목 = OBS '백령 DTV 방송 보조국' 28일 개국 백령도 대청도 지역 3000가구, OBS 직접 수신!|url = http://www.ob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35862|출판사 = OBS 뉴스|저자 = 정현길|쪽 = |날짜 = 2015년 12월 28일|확인 날짜 = 2016년 3월 3일}}</ref>
* 2018년 1월 30일 : 경인방송과 MOU 체결.<ref>{{뉴스 인용|제목 = OBS·iFM, 30일 MOU 체결…'경인방송' 상호 공동 사용|url = http://www.ob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81017|출판사 = OBS 플러스 (OBS 뉴스)|저자 = 박혜영|쪽 = |날짜 = 2018년 1월 30일|확인 날짜 = }}</ref>
 
=== 2020년대 ===
* 2021년 9월 1일 : [[국방홍보원]]과 MOU 체결.<ref>{{뉴스 인용|제목 = OBS경인TV·국방홍보원, MOU 체결…국방·안보분야 홍보 공동사업|url = http://www.ob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24803|출판사 = OBS 뉴스|저자 = 김숙경|쪽 = |날짜 = 2021년 9월 1일|확인 날짜 = }}</ref>
* 2021년 11월: 2020년 3월 30일에 폐업한 [[경기방송]]을 대체하는 경기 지역 지상파 라디오 방송사 사업자에 신청 완료.<ref>{{뉴스 인용
|제목 = 경기 지역 신규 라디오 방송 사업자 선정 절차 돌입...11월 12일까지 접수
|url = https://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72967
|출판사 = PD저널
|저자 = 박수선
|쪽 =
|날짜 = 2021년 10월 1일
|확인날짜 =
}}</ref>
* 2022년 5월 17일 : 경기 지역 지상파 라디오 방송사 사업자 선정.<ref>{{뉴스 인용
|제목 = 경기 지역 새 라디오 방송 사업자에 OB S경인TV 선정
|url = https://www.yna.co.kr/view/AKR20220517134200017
|출판사 = 연합뉴스
|저자 = 최현석
|쪽 =
|날짜 = 2022년 5월 17일
|확인날짜 =
}}</ref>
* 2022년 8월 25일 : OBS경인FM 방송 신규 허가.<ref>{{뉴스 인용
|제목 = 자진 폐업 경기방송 2년 5개월 만에 ‘OBS FM’으로 부활
|url = htt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5546
|출판사 = 미디어오늘
|저자 = 박서연
|쪽 =
|날짜 = 2022년 8월 25일
|확인날짜 =
}}</ref>
* 2023년 2월 9일: [[국회사무처]]와 MOU 체결.<ref>{{뉴스 인용|제목 = OBS-국회사무처, 프로그램 교류 등 협력 위한 MOU 체결|url = http://www.ob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85424|출판사 = OBS 뉴스|저자 = 배해수|쪽 = |날짜 = 2023년 2월 9일|확인 날짜 = }}</ref>
* 2023년 3월 30일: [[OBS 라디오]] 개국.<ref>{{뉴스 인용
|제목 = '열린 채널, 열린 방송' OBS 경기 라디오 내년 2월 개국
|url = http://www.ob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54257
|출판사 = OBS 뉴스
|저자 = 최진만
|쪽 =
|날짜 = 2022년 5월 26일
|확인 날짜 =
}}</ref>
 
== 방송 송출 시설망 ==
[[계양산]] 중계소 문제는 2007년 11월에 허가 교부증이 나오면서 해결되었으며, [[광교산]] 송신소 문제도 역시 2008년 7월에 허가 교부증이 나오면서 해결되었다.
* 호출부호 : HLQS-DTV
* 가상채널 : 8-1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90%;"
|-
! rowspan="2"|송신소 !! colspan="2"| UHD !! colspan="2"| HD !! rowspan="2"|송신소 위치 !! rowspan="2"|비고
|-
! 물리채널 !! 출력 !! 물리채널 !! 출력
|-style="border-top:solid 2px #0054a6;"
! 광교산 송신소
| colspan="2" rowspan="5"{{빈칸|연주소<br/>이전시<br/>도입 예정}} || CH 25 || 2.5㎾ || 경기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 산52-2 ||
|-
! 계양산 중계소
| CH 36 || 500W || 인천 계양구 목상동 산57-1 ||
|-
! 파평 중계소
| CH 21 || 90W || 경기 파주시 파평면 눌노리 산 23-8 ||
|-
! 용문산 중계소
| CH 30 || 500W || 경기 양평군 용문면 연수리 934 ||
|-
! 진촌 중계소
| CH 43 || 20W || 인천 옹진군 백령면 진촌리 용기원산 ||
|}
 
; 아날로그TV (2012년 12월 31일 종료)
* <span style="color:dimgray;">호출부호 : HLQS-TV</span>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90%;"
|-style="border-bottom:solid 2px dimgray;"
! 송신소 !! 채널 !! 출력 !! 송신소 위치
|-
! 계양산 송신소
| CH 21 || 10㎾ || 인천 계양구 목상동 산57-1
|-
! 광교산 중계소
| CH 4 || 1㎾ || 경기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 산52-2
|}
 
; 라디오
* 전파수신 가능 지역 : 경기도 일원, 인천광역시, 서울특별시 일부, 충청남도 북부, 세종특별자치시 일부, 충청북도 북부, 강원도 영서 일부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90%;"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비고
|-style="border-top:solid 2px #0054a6;"
! 광교산 송신소
| rowspan="3"| FM 99.9㎒ || 5㎾ || rowspan="3" | HLMD-FM || 경기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 산52-2 ||
|-
! 용문산 중계소
| 500W || 경기 양평군 용문면 연수리 934 ||
|-
! 감악산 중계소
| 500W || 경기 파주시 적성면 객현리 40-2 ||
|}
 
== OBS 문제점, 그 이후 ==
; 개국 전 송신소 문제
* [[경인방송|iTV 경인방송]]과는 다르게 인천 계양산을 키 스테이션으로 하여 아날로그와 디지털 모두 송출할 계획이었다.
* 그러나 전파 월경과 전파 혼신 문제를 두고 같은 지상파 민영방송사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와의 마찰과 함께 [[정보통신부]](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허가가 지연되어 당초 개국 예정일이었던 2007년 11월 1일을 넘겨버리게 되었다.
* 2007년 11월 23일 [[대한민국 정보통신부|정보통신부]]의 OBS 경인TV에 대한 방송 허가 교부증이 나오면서 시험 방송을 통해 2007년 12월 28일 정식으로 개국했다.
 
; 개국 후 OBS 시청 문제
* OBS는 2007년 12월 28일에 개국을 무사히 치렀으나 SO와 계약을 하지 않아 개국 이후 2개월 가까이 유선 케이블 방송이 아니라 UHF 지상파 안테나로만 시청 가능했다.
* 2008년 1월에는 인천 계양산 송신소 가시청 구역 안에 위치한 아파트들을 대상으로 OBS 수신을 위한 공시청망 개선 작업을 실시하여 작업이 끝난 곳에서는 지상파 안테나를 통해 OBS를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 인천 계양산 송신소, 경기 수원, 용인 광교산 중계소 가시청 구역 안에 위치한 곳에 거주하고 있다면 UHF 안테나를 해당 송신소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OBS를 지상파로 수신할 수 있다.
* 2008년 2월 주송출 지역인 경기 남부 지역, 인천 일부 지역 SO 채널에서도 OBS 채널이 설정되어 케이블TV를 통한 TV 시청도 가능하게 되었다.
* 2008년 8월 15일 경기 수원, 용인 [[광교산]] 중계소에서 전파 송출이 시작되어 경기 남부 지역, 충남 북부 지역에서도 OBS를 수신할 수 있다. (디지털TV : UHF 25)
* 그러나 [[티브로드]](현재 SK브로드밴드 케이블TV) 등 MSO와 계약을 하면서 위성방송 [[스카이라이프]](현재 KT스카이라이프)에는 방송하지 않는다는 조건을 달아 논란이 되었으나<ref>{{뉴스 인용|제목 = OBS 역외 재전송 '케이블 온리' 파문|url =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47|출판사 = 미디어스|저자 = 안현우|쪽 =|날짜 = 2008년 5월 23일|확인 날짜 = }}</ref> 2010년 5월 스카이라이프를 통한 OBS 재전송이 시작되었다.<ref>경기, 인천 지역 HD 상품 가입자들만 TV 시청이 가능하다.</ref>
* 일부 지역 케이블TV 방송사들은 OBS 디지털 방송을 아날로그 상품 가입자들에게 재전송 하지 않기 때문에 일부 케이블TV 가입자들은 OBS [[고선명 텔레비전|HD TV 방송]]을 안테나로만 시청이 가능하다.
 
; 낙하산 인사 및 역외 재송신
* 주철환 전 사장의 사임 후 공모 형식으로 진행된 신임 사장 인선에서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 당시 [[이명박]] 대통령의 방송 특보를 역임한 차용규 前 [[울산방송|ubc]] 사장이 선임되자 이에 대해 노조, 야권, 시민 단체에서 "낙하산 사장을 통한 방송 장악 시도"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특히 OBS 노동조합 측은 차용규 신임 사장의 취임을 반대하여 노조 집행부가 단식 투쟁에 들어가고 2009년 2월 16일에 열릴 예정이었던 공식 취임식을 무산시키는 등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정부 측은 "차기 사장은 정상적인 공모 절차에 의해 선임되었으므로 낙하산 인사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곤란하다"(2009년 2월 13일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 발언)라는 의견을 밝혔다.
* 결국 방송통신위원회는 2009년 11월 18일 전체 회의를 개최하여 기존에 승인 받은 적이 존재하는 티브로드 강서방송(현재 SK브로드밴드 강서방송), 현대HCN 서초방송(현재 HCN 서초방송), CJ헬로비전 양천방송(현재 LG헬로비전 양천방송), GS 강남방송(현재 딜라이브 강남방송), 큐릭스 종로중구방송(현재 SK브로드밴드 종로중구방송) 등 13개 종합 유선 방송 사업자(SO)의 OBS 역외 재송신 재승인 여부를 2010년 2월 18일 이전까지 결정하기로 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들 13개 SO에 대해 재승인 심사 의사를 통보하고 2010년 2월 18일까지 지역 지상파 방송 역외 재송신 정책 방안을 전체 회의에 상정, 승인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방송통신위원회 전신 방송위원회는 2008년 2월 19일 서울 지역 13개 SO에 대한 OBS 역외 재송신을 승인하고 기간을 2년으로 한정했다. 재승인이 만료되는 2010년 2월 19일 이전에 방송통신위원회가 재전송 재승인 여부를 결정하지 않을 경우 3년간 자동 연장된다.<ref>{{뉴스 인용|제목 = 방통위, OBS 역외 재전송 재승인 심의키로|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2981153|출판사 = 연합뉴스|저자 =|쪽 = 정주호|날짜 = 2009년 11월 18일|확인 날짜 =}}</ref>
* 그리고 [[대한민국 방송위원회|방송위원회]](현재 방송통신위원회)는 OBS 서울 수도권 지역 역외 재송신에 대해 승인한 바 있었지만 방송통신위원회는 그 동안 역외 재송신 승인은 권역별로 나눈 지상파 방송 허가 제도의 근본 취지를 허물 수 있는 만큼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고 의무 전송 채널 SBS 등과의 형평성 문제가 제기돼 왔다. 그러나 지난 국정 감사에서 여야를 막론하고 OBS 역외 재송신, 관련, 정책 일관성 등에 대해 집중적인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OBS 관계자는 “OBS가 광고 수주 등의 어려움으로 재정이 어렵기 때문에 역외 재송신을 해야 한다는 논리보다는 [[대한민국 방송위원회|방송위원회]] 시절부터 꾸준하게 제기돼 온 지역 콘텐츠 활성화와 지역 방송 생존 전략이라는 전략으로 접근해야 한다”라고 하며 “방송통신위원회의 긍정적인 결정을 기대한다”라고 밝혔다.<ref>{{뉴스 인용|제목 = 방통위, OBS 역외 재송신 재승인 검토 결정|url =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5024|출판사 = PD저널|저자 =|쪽 = 원성윤|날짜 = 2009년 11월 18일|확인 날짜 =}}</ref>
* 2011년 7월 방송통신위원회가 OBS를 재전송하지 않는 서울 일부 지역의 케이블TV 사업자들에 대해 OBS 재전송을 승인에 따라 2011년 8월 1일부터 서울 전 지역에서 케이블TV를 통해 OBS를 시청할 수 있게 됐다.<ref>{{뉴스 인용|제목 = 방통위, OBS 경인TV 역외 재송신 승인|url = http://ntn.seoul.co.kr/?c=news&m=view&idx=107245|출판사 = 서울신문|저자 = 이규하|쪽 =|날짜 = 2011년 7월 22일|확인 날짜 =}}{{깨진 링크|url=http://ntn.seoul.co.kr/?c=news&m=view&idx=107245 }}</ref> 며칠 후 7월 31일 보도 자료를 통해 "서울 지역 송출을 시작에 따라 OBS는 서울, 경기, 인천 수도권 지역 24,000,000명 시청자와 만날 수 있게 되었다"라고 하면서 "2011년 가을 개편 때 서울, 경기, 인천 수도권 지역 밀착형 TV 프로그램을 제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f>{{뉴스 인용|제목 = OBS, 내달 1일부터 서울 전역 송출|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5189794|출판사 = 연합뉴스 저자 |저자= 이연정|쪽 =|날짜 = 2011년 7월 31일|확인 날짜 =}}</ref>
* 2021년 12월 방송통신위원회가 [[HCN (방송사)|HCN]] 간 역외 재송신료 분쟁 조정에 지급해야 하는 금액과 지급 기간을 결정해 조정안으로 제시했다고 한다.<ref>{{뉴스 인용|제목 = OBS - HCN 재송신 대가 방송 분쟁 조정 성립
|url = https://www.inews24.com/view/1428654|출판사 = 아이뉴스24|저자 = 송혜리|쪽 =|날짜 = 2021년 12월 2일|확인 날짜 = 2021년 12월 2일}}</ref>
* 2022년 1월 5일 HCN이 채널 2번을 35번으로 이동 압박으로 불공정하다며 논란이 제기되어<ref>{{뉴스 인용|제목 = OBS "HCN, 채널 2 → 35번 이동 압박"…불공정 거래 분쟁 조정 신청|url = https://www.yna.co.kr/view/AKR20220105129400005|출판사 = 연합뉴스|저자 = 강애란|쪽 = |날짜 = 2022년 1월 5일|확인 날짜 = 2022년 1월 5일}}</ref> 결국 1월 17일 서울 일부 지역 케이블TV 사업자는 2월 18일 이후 케이블 역외 재송신 기한이 만료될 예정이라고 발표하였으며, 사실상 역외 재송신을 거부한 상태다. 이에 따르면 케이블TV 4사가 "채널 번호를 2번에서 30번대로 변경하려는 이유는 송출 수수료를 받을 수 있는 홈쇼핑 채널을 2번으로 편성해 가입자 감소에 따른 위기를 돌파할 목적"이라며 최장 14년 동안 유지해온 채널 2번을 변경하면 시청자들이 불편과 혼란을 겪게 된다고 한다.<ref>{{뉴스 인용|제목 = OBS "서울 대부분 지역서 방송 중단…케이블TV 업체 약관 변경"|url =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22/02/161481/|출판사 = 매일경제|저자 = 연합뉴스|쪽 =|날짜 = 2022년 2월 20일|확인 날짜 = 2022년 2월 20일|archive-date = 2022년 2월 21일|archive-url = https://web.archive.org/web/20220221034243/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22/02/161481/|url-status = }}</ref> 이후 9월 7일부터 [[SK브로드밴드]] 케이블TV 서울 지역 케이블TV와 협상이 타결돼 송출이 재개됐으며<ref>[https://www.obs.co.kr/center/?ptype=view&idx=152160&page=1&lnb=center&lnb2=notice SK브로드밴드 케이블TV OBS 경인TV 서울 지역 방송 재개 안내]</ref> 11월 2일부터 [[LG헬로비전]] 서울 지역 케이블TV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승인을 통해 송출이 재개<ref>[https://www.obs.co.kr/center/?ptype=view&idx=153871&page=1&lnb=center&lnb2=notice LG헬로비전 OBS 경인TV 서울 지역 방송 재개 안내]</ref>, 2023년 4월 17일부터 [[딜라이브]] 서울 지역 케이블TV도 송출이 재개됐다.<ref>[http://www.obs.co.kr/center/?mid=&id=A100000000&menu=notice&lnb=center&lnb2=notice&ptype=view&idx=159779 딜라이브 OBS 경인TV 서울 지역 방송 재개 안내]</ref>.
 
; 광고 판매·송출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