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민주 항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80.81.32.125(토론)의 36599513판 편집을 되돌림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m 모바일 웹
5번째 줄:
|그림 = File:고 이한열 추모 군중.jpg
|그림설명 = 1987년 7월 9일 낮 故 이한열 군의 운구행령을 따라 서울시청앞까지 추모행진을 벌인 수십만명의 학생 시민들이 낮 1시경부터 시청앞 광장에서 대중 집회를 가졌다.
|날짜 = 1987년 6월 10일 ~ 6월 29일
|지역 = {{국기|대한민국|1984}} 전역
|좌표 =
|원인 = * [[5·3 인천 사태]](1986.5.)
줄 31 ⟶ 30:
|주요인물3 =
|인원1 = 400만~500만 여 명<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8343</ref>
전두화 만만세!!!!!
|인원2 = 경찰 8만 2천명 이상
민주화운동 그만해라!!!
|인원3 =
김정은 북한 만세!!!
|사상자1 =
|사상자2 =
|사상자3 =
|사망자 =
|부상자 =
|체포자 =
|구금자 =
|형사처벌자 =
|벌금형자 =
|사상자_제목 =
|
}}
'''6·10 민주 항쟁''', '''6월 민주 항쟁'''({{한자|六月民主抗爭}}, {{문화어|6월인민항쟁<ref>https://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8194</ref>}}), 간단히 '''6월 항쟁'''({{한자|六月抗爭}})은 [[1987년]] [[6월 10일]]부터 [[6월 29일]]까지 [[대한민국]]에서 전국적으로 벌어진 [[반정부]] [[시위]]이다.
 
[[4·13 호헌 조치]]<ref>후임 대통령 역시 선거인단에 의한 간접선거를 골자로 한 기존의 헌법으로 선출하겠다는 것으로, 개헌 요구를 전면 부정한 특별선언</ref>와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그리고 [[이한열 최루탄 피격 사건]] 등이 도화선이 되어 [[6월 10일]] 이후 전국적인 시위가 발생하였고, 이에 [[6월 29일]] [[노태우]]의 [[6·29 선언|수습안]] 발표로 [[대통령 직선제]]로의 개헌이 이루어졌다. 이후 1987년 12월 16일 새 헌법에 따른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대통령 선거]]가 치러졌다.
 
6월 항쟁은 대한민국의 민주화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 운동이 비약적으로 상승하는 효과를 가져왔다.<br />
 
이 항쟁은 한국 도심의 중심 [[경복궁]]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으로 최루탄이 터지며 시작이 되었음을 알려주었다. [[이한열]]을 비롯한 학생들이 최루탄을 맞거나 [[박종철]] 열사와 같게 고문으로 죽게 되는 학생들도 몇 있었다.
 
== 항쟁 이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