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1392년에 태조태현이와 이성계가정민이와 건국한현성이가 쓰리섬 해서 나온 나라}}
{{다른 뜻|대한제국||1897년 이후의 조선}}
{SSIS-413(느금마 보짓살 훌렁훌렁)}}
{{조선 표}}
'''섹스국'''(朝鮮, {{문화어|리씨조선, 리조}})은 [[한반도]]에 있던 [[옛 나라 목록#한반도|옛 국가]]이다.
'''섹스국'''(朝鮮, {{문화어|리씨조선, 리조}})은 [[한반도]]에 있던 [[옛 나라 목록#한반도|옛 국가]]이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1904 조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1392년]] [[이성계]]가 건국하여<ref>[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c/view.do?levelId=kc_n312600&code=kc_age_30 태조 이성계], 한국사연대기, 우리역사넷</ref> [[1897년]] [[조선 고종|고종]]의 [[칭제건원론|칭제건원]]으로 [[대한제국]]이 세워질 때까지<ref name="칭제건원">[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c/view.do?levelId=kc_i201400&code=kc_age_20 칭제건원], 한국사연대기, 우리역사넷</ref> 존속하였다. 수도는 지금의 [[서울특별시]]인 [[한성부|한양]]이었고<ref>임용한,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98039 조선초기 한성부의 기능과 한성판윤]〉, 《서울과 역사》, 2017년, 통권 제95호, pp. 129-168 (40 pages)</ref> [[압록강]]과 [[두만강]]을 경계로 [[만주]] 및 [[연해주]]와 국경이 있었다.<ref>[https://m.khan.co.kr/culture/book/article/202205061504001#c2b 두만강 북쪽은 누구 땅인가? 한·중·일 근대는 ‘국경 만들기’에서 시작됐다], 경향신문, 2022년 5월 6일</ref>
 
[[조선의 정치]]는 [[유교]]의 한 갈래인 [[성리학]]을 지배 이념으로 삼아<ref>[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100&levelId=tg_003_1210 성리학], 교과서 용어해설, 우리역사넷</ref> [[사대부]]를 근간으로한 [[중앙집권]]적인 [[관료제]]로서 운영되었다.<ref>[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23_0020_0020_0010 관료체제의 특징], 신편한국사, 우리역사넷</ref> [[조선의 국왕]]은 이론적으로 [[절대주의|전제군주]]의 지위를 지녔으며 스스로를 절제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양반]] 관료와 타협하여 정치를 운영하였다.<ref>이헌창,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06568 조선왕조의 정치체제: 절대군주제]〉, 《경제사학》, 2017, vol.41, no.3, 통권 65호 pp. 215-272 (58 pages)</ref> 양반 관료는 초기에 [[훈구파]]와 [[사림파]]로 나뉘어 갈등을 보였으나<ref>김용흠,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59072 조선전기 훈구·사림의 갈등과 그 정치사상적 함의]〉, 《동방학지》, 2004년, 통권 제124호, pp. 273-329 (57 pages)</ref> 중기 이후 사림파가 득세하였고 이후 여러 정파로 나뉘어 경쟁하는 [[붕당 정치]]를 형성하였다.<ref>[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c/view.do?levelId=kc_o300300&code=kc_age_30 붕당], 한국사연대기, 우리역사넷</ref> 조선 중기에서 후기에 걸쳐 사색당파로 굳어지던 붕당 정치는 성리학의 학풍과도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어 [[예송논쟁]]<ref>[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100&levelId=tg_003_2740 예송], 교과서 용어해설, 우리역사넷</ref>이나 [[호락논쟁]]<ref>[https://www.hani.co.kr/arti/SERIES/678/home01.html 이경구의 조선, 철학의 왕국-호락논쟁 이야기], 한겨레</ref>과 같은 주제가 정치의 첨예한 쟁점으로 부각되기도 하였다. 19세기에 이르러 [[세도 정치]]가 등장하면서 붕당 정치 체제는 쇠락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9786 세도정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조선군|조선의 군사]]는 초기 [[오위]] 체계로 편성되어 있다가 이후 지역 거점을 중심으로 방어 체계를 구축한 [[진관제]]와 이를 보완하는 [[제승방략]]을 핵심으로 하였다.<ref name="제승방략_용어해설">[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105&levelId=tg_003_2810&ganada=&pageUnit=10 제승방략], 교과서 용어해설, 우리역사넷</ref> 이러한 전략은 [[임진왜란]]을 거치며 급작스런 외침에 맞서기 어렵다는 점이 부각되어 [[훈련도감]]을 시작으로 [[오군영]]의 중앙군을 두고<ref name="오군영_한국사연대기">[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c/view.do?levelId=kc_o300820&code=kc_age_30 오군영], 한국사연대기, 우리역사넷</ref> 각도에 [[속오군]]을 두어 지방을 방어하는 형태로 변화되었고<ref>[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속오군(束伍軍) 속오군], 실록위키</ref>, 군사적 목적으로 설치되었던 [[비변사]]가 상설화 되면서 [[의정부]]를 제치고 실질적인 정치 의결 기구로 변화하였다.<ref>[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100&levelId=tg_003_1110 비변사], 교과서 용어해설, 우리역사넷</ref> 조선군의 병력은 초기 부터 병역을 지는 사람들이 돌아가며 번을 서는 형태로 정착되었으나 양반들의 병역 기피가 극심하였고 이에 영향을 받아 양인들도 되도록 군포를 대납하고 병역을 대신하고자 하는 풍조가 일어 조선 후기 이후 실제 병역에 복무하는 사람들은 가난한 양민이나 천인들이 많아 속오군은 천예군이라고 멸시 받을 지경이었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432 속오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이는 조선 말 여러 위기에서 제대로 된 군사적 대응을 할 수 없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조선의 지배층이었던 양반은 지역에 할거하며 토지를 소유한 [[지주]]로서 [[농업]]을 우선하는 경제 정책을 펼쳤다. 이에 따라 [[조선의 경제]]는 [[화폐]]보다 현물에 의존하는 모습을 보였고 상당수의 교환이 상호간의 호의에 의해 선물을 주고받는 호혜경제의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국가의 조세 수취와 분배, 상품의 교환 등이 혼재하는 모습을 보였다.<ref name="조선시대사">홍순민 외, 《조선시대사 1 - 국가와 세계》, 푸른역사, 2015년, {{isbn|979-11-5612-043-8}}</ref>{{참고 쪽|175-192}} 조선 전기 및 중기의 상업은 [[금난전권]]이 주어진 독점적 상인들이 주축이 되어 이루어졌고<ref>[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105&levelId=tg_003_1640&ganada=&pageUnit=10 금난전권], 교과서 용어해설, 우리역사넷</ref> 보다 자유로운 상업활동은 금난전권이 폐지된 [[신해통공]] 이후에 이루어졌다.<ref>[http://www.atla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19 정조의 신해통공, 시장진입 장벽 허물다], 아틀라스뉴스, 2019년 8월 13일</ref> 화폐의 원활한 보급은 조선 후기 일본으로부터 막대한 구리를 수입한 뒤에야 가능하였다.<ref name="유현재2">유현재, 〈[https://s-space.snu.ac.kr/handle/10371/121736 조선 후기 鑄錢정책과 財政활용]〉, 서울대학교, 2014년</ref> 후기에 들어 민간이 운영하는 수공업이 발달하여<ref>[http://contents.history.go.kr/mobile/ta/view.do?levelId=ta_m62_0020_0020 산업의 발달], 제6차 교육과정 중학교 국사(하), 우리역사넷</ref> 오늘날에도 지역 명산물로 꼽히는 [[한산모시]]나<ref>[https://hansanmosi.kr/11 한산모시축제 소개]</ref>, [[전주시]]의 [[부채]]<ref>[https://ncms.nculture.org/woodcraft/story/3582 부채의 고장, 전주], 지역N문화</ref>와 같은 물품들이 등장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전국적인 상업망이 발전하면서 이익을 목적으로한 상업 활동이 활발해졌고<ref>[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34_0020_0040_0010_0030 상인의 경제적 성장], 신편한국사, 우리역사넷</ref> 조선 후기 등장한 [[오일장]]과 같은 정규 시장은 오늘날에도 전통 시장의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ref>[https://www.kculture.or.kr/brd/board/219/L/menu/456?brdType=R&thisPage=8&bbIdx=8349&rootCate=&searchField=&searchText=&recordCnt=10 오일장], 전통문화포털</ref>
 
조선의 주요 운송 수단은 강과 바다를 이용한 [[수운]]이었다. 주요 교통 요지에 [[조창 (기관)|조창]]을 세워 세곡을 보관하였고 [[조운선]]을 통하여 한양까지 운반하였다.<ref>[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209&levelId=tg_003_0550&ganada=&pageUnit=10 조운], 교과서 용어해설, 우리역사넷</ref> 육지의 교통로는 [[역참]]을 두어 국가의 주요 연락망으로 삼았고<ref>[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역참(驛站) 역참], 실록위키</ref> 전국에서 서울로 이어지는 9 - 10 개의 도로를 운영하였다.<ref>[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m/view.do?levelId=km_016_0040_0030_0010 물자 유통을 위한 전국의 도로망은 얼마나 되었을까], 한국문화사, 우리역사넷</ref>
 
조선의 공식적 [[신분제]]는 [[양인]]과 [[천민]]만을 구분하는 [[양천제]]였으나<ref name="신분제개편_신편한국사">[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25_0020_0020_0010 신분제의 개편], 신편한국사, 우리역사넷</ref>, 실제로는 [[양반]], [[중인]], [[양인]], [[천민]] 등으로 세분화 되어 있었다.<ref name="신분_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3021#section-4 신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조선의 문화]]는 여러 이웃 문화의 수용과 독창적인 발전이 교차되며 형성되었다. 오늘날 한국의 대표적 전통 문화로 손꼽히는 [[한옥]], [[한복]], [[한국 요리|한식]] 등은 대부분 조선 후기에 완성된 문화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조선은 5백여 년 동안 이어진 국가로 그 사이 [[세계의 역사]]는 [[근세]]에서 [[근대]]에 이르는 커다란 변화를 겪었다. 조선 역시 이 기간 동안 안팍의 변화를 겪으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각 부분에서 시기별로 서로 다른 모습을 보였다. 이에 따라 조선의 시기를 전기와 후기 또는 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한다.<ref name="시기구분_신편한국사">[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01_0040_0040_0010 조선왕조사의 특징과 시기구분], 신편한국사, 우리역사넷</ref> 시기에 대한 구분은 아직 학계 전반에서 명확히 정리되어 있지는 않으나 대략적으로 건국 및 체제 정비가 이루어진 15세기 - 16세기 초반 까지를 초기로 보고, 사림의 등장과 붕당 정치가 형성된 16세기 중반 - 17세기를 중기로 보며, 18세기 초 - 19세기의 시점을 후기로 본다.<ref name="송웅섭">송웅섭,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13368 조선 중기 시기 구분에 대한 검토 — 사족사회의 형성 문제를 중심으로 —]〉, 《사림》, 2020년, 통권 제73호, pp. 129-153 (25 pages)</ref>
 
== 건국과 국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