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m 모바일 웹
1번째 줄:
파악하고 있다.<ref>한영우 외, 한국사특강위원회, 《한국사특강》,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년]], {{ISBN|89-7096-115-1}}, 40쪽 - [[농업]] 경제와 [[청동기]]문화를 영위한 이래로 [[한반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고조선 표}}
 
'''고조선'''(古朝鮮, [[기원전 7세기]] 이전 ~ [[기원전 108년]])은 [[단군|단검]]이 세웠다고 전해지는 [[한반도]] 최초의 고대 국가이다. 본래 국호는 '''조선'''(朝鮮)이나 [[태조 (조선)|태조 이성계]]가 건국한 [[조선]]과 구별하기 위해 흔히 고조선(古朝鮮)으로 총칭하였다.<ref>고조선 [古朝鮮]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대한민국]]의 역사학계는 일반적으로 고조선이 [[청동기]] 문명을 기반으로 한 현 [[중국]] [[랴오닝성]] 및 북한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 [[강원도]]에 있던 고대 국가라고 파악하고 있다.<ref>한영우 외, 한국사특강위원회, 《한국사특강》,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년]], {{ISBN|89-7096-115-1}}, 40쪽 - [[농업]] 경제와 [[청동기]]문화를 영위한 이래로 [[한반도]]와 중·남부 [[만주]] 지역 각지에서 새로운 정치적인 움직임이 서서히 태동하는 가운데서 가장 먼저 역사의 무대에 두각을 나타낸 것이 조선이다.</ref><ref>김기흥, 《한국고대사》, 역사비평사, 1993년, {{ISBN|8976960025}}, 235쪽</ref><ref>한국박물관연구회, 《한국의 박물관 2 - 경보화석박물관.양구선사박물관》 , 문예마당, 1999년, {{ISBN|8982990755}}, 58-59쪽 - 고조선은 물론 청동기 국가였음이 분명하지만 그리고 [[비파형 동검]]을 사용했지만, 전남지역에서 [[비파형 동검]]이 발견되었다고 그 곳까지 고조선의 강역으로 볼 수는 없다……</ref>
 
문헌상의 기록에 따라 실존했던 국가라는 사실은 분명하지만 관련 기록이 적고 추상적이다. 직접적으로 고조선의 것이라 암시되는 유물·유적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고조선의 연대와 강역·역사·문화 등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23224&cid=1590&categoryId=1590 「고조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국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