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지성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15번째 줄:
 
Science and Relativism: Some Key Controversie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1990)에서 과학철학자이자 인식론자인 [[래리 라우든]]은 미국 대학에서 가르치는 지배적인 유형의 철학([[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을 반지성주의의 대표로 지적하며, "사실과 증거가 중요하다는 생각을 모든 것이 주관적 관점으로 귀결된다는 이념으로 대체하는 것은 미국의 정치 캠페인에 버금가는 현대 반지성주의의 가장 두드러지고 치명적인 징후"라고 표현하였다.
 
== 국가별 반지성주의 ==
=== 미국 ===
종교에 딸린 반지성주의<ref>{{저널 인용 |저자1=Massimo Pigliucci |제목=Science and fundamentalism |저널=EMBO reports |날짜=2005-01-12 |doi=10.1038/sj.embor.7400589 |url=http://embor.embopress.org/content/6/12/1106?casa_token=82DcltL0bT4AAAAA%3AK1kUbpj4Uq1jkA_YqVBpeWhVrcKLmUku3E9p1uifAva_awkkBpXvo4sBfn1cextHTHAslkU6kdXzbgIk |확인날짜=2018-07-23 |인용문=as I have tried to argue above, both anti‐intellectualism and anti‐science fundamentalism are rooted in issues of ethics and religion |archive-date=2018-07-23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0723064144/http://embor.embopress.org/content/6/12/1106?casa_token=82DcltL0bT4AAAAA%3AK1kUbpj4Uq1jkA_YqVBpeWhVrcKLmUku3E9p1uifAva_awkkBpXvo4sBfn1cextHTHAslkU6kdXzbgIk |url-status= }}</ref>는 [[과학]]의 바탕에서 본 정확성이나 타당성이 있는 사실들을 공격해야 할 대상으로 생각하게 하거나 과학의 바탕에서 본 정확성이나 타당성이 있는 지식의 습득을 일부러 차단하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일부 [[기독교 근본주의]]적 교회에서 받아들여지는 [[창조과학]]과 [[지적설계]]가 그것을 대표할 정도로 전형이 될 만하거나 특징이 있는 예이다. 이들은 과학적 사실을 일부러 왜곡하거나 이것을 교육받은 사람들을 적으로 규정하며<ref>{{뉴스 인용|저자1=정한철 |제목='질문 말고 일단 믿어 봐' 기독교 반지성주의 |url=http://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197191 |날짜=2014-07-25 |확인날짜=2018-07-23 |뉴스=뉴스앤조이}}</ref><ref>{{웹 인용|저자1=권대원 |제목=반지성주의는 어떻게 기독교를 욕망의 종교로 변질시켰나? |url=https://ppss.kr/archives/24887 |웹사이트=ㅍㅍㅅㅅ |날짜=2014-07-25 |확인날짜=2018-07-23}}</ref><ref>{{서적 인용|저자1=로널드 L. 넘버스 |제목=창조론자들 |날짜=2016 |출판사=새물결플러스 |isbn=9791186409558 |쪽=304 |인용문=(홍수지질)학회(DGS)의 특별위원회는 너무도 놀라운 성격의 연구를 수행중이기에, "그 내용에 대한 매스컴의 보도를 일체 금지한다. 상황은 아주 미묘하고, 그 주제는 매우 중요하다"라고 발표했다. 현장에 있는 DGS 연구자들은 "비우호적인 과학자들" 출신의 스파이들을 경계했고, 지역 농부들에게 새로운 화석의 흔적을 찾으면 100달러씩 주겠다고 제의했다. 그것은 모든 증거를 "비밀에 부치기 위한" 것이었다.}}</ref>, 관찰 가능한 사실인 [[진화]]를 비롯한, 과학의 바탕에서 본 정확성이나 타당성이 있는 지식의 습득을 일부러 방해하는 일을, 예를 들어 [[스콥스 재판]]과 같은 일을 벌이기도 했다.
 
=== 대한민국 ===
대한민국의 반지성주의는 단순히 반지성을 신봉하는 형태로 퍼져 있는 것이 아니라, 주로 특정 학문을 천시하거나 모르는 것을 알려고 하는 행위를 무시하는 형태로 퍼져 있다. 이것이 생긴 원인으로 [[주입식 교육]] 등의 교육 방식이 지적된다.
 
2012년 한국에서 창조과학계에 의한 [[교과서 진화론 삭제 사건]]이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다.<ref>{{웹 인용|url=http://www.nature.com/news/south-korea-surrenders-to-creationist-demands-1.10773|제목=한국의 과학계가 창조설자들에게 굴복하다}}</ref><ref>{{웹 인용|url=https://www.nature.com/news/science-wins-over-creationism-in-south-korea-1.11377|제목=한국 과학계가 창조설에 승리하다}}</ref>
 
미국의 정치학자인 [[로버트 켈리]]는 한국은 완전한 지적 파산(intellectually bankrupt) 상태라고 지적했다. [[지적 파산]]이란 "사람들이 항상 집단을 발전시키기 위해 문제를 제기하는 토론에 참여하지 않으며, 대신 가능한 모든 수단으로 비이성적이게 다른 사람들을 날조, 왜곡, 욕설로 공격하는 것을 추구한다"는 뜻이다.<ref>{{웹 인용|성1=Kelly|이름1=Robert |url=https://twitter.com/Robert_E_Kelly/status/1501873941123842050 |웹사이트=트위터 |날짜=2022.03.10 |확인날짜=2022-08-29 |인용문=the SK right is intellectually bankrupt, except for foreign policy.}}</ref>
{{위키뉴스|대한민국의 반지성주의, 이대로 괜찮습니까?}}
{{-}}
 
== 관련 사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