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지성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8번째 줄:
 
또한 종교에 딸린 반지성주의는 [[과학]]의 바탕에서 본 정확성이나 타당성이 있는 사실들을 공격해야 할 대상으로 생각하게 하거나 과학의 바탕에서 본 정확성이나 타당성이 있는 지식의 습득을 일부러 차단하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일부 [[근본주의]]다운 교회에서 받아들여지는 [[창조과학]]과 [[지적설계]]가 그것을 대표할 정도로 전형이 될 만하거나 특징이 있는 예이다. 이들은 과학의 바탕에서 본 정확성이나 타당성이 있는 사실을 일부러 왜곡하거나 이것을 교육받은 사람들을 적으로 규정하며, 조금만 제대로 배우면 명백한 사실이라는 점을 알 수 있는 [[진화]]를 비롯한, 과학의 바탕에서 본 정확성이나 타당성이 있는 지식의 습득을 일부러 방해하는 일을 벌이기도 했다. 이런 반지성주의가 극단화해 [[교과서 진화론 삭제 사건]]과 같은 사회문제가 일어나기도 했다.<ref>{{웹 인용|url=http://www.nature.com/news/south-korea-surrenders-to-creationist-demands-1.10773|제목=한국의 과학계가 창조설자들에게 굴복하다}}</ref>
 
== 학계의 반지성주의 ==
철학자 [[존 설]]은 저서 Campus War (1971)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급진주의 운동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두 가지 특징은 반지성주의와 대학 기관에 대한 적대감이다. ... 지식인은 정의상 그 자체를 위해 아이디어를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사람들이다. 그들에게는 실제 적용과는 별개로 이론이 참인지 거짓인지의 여부가 중요하다. 리처드 호프스태터의 지적과 같이 지식인은 아이디어에 대해 장난기와 경건함을 동시에 보인다. 그러나 급진주의 운동에서는 지식 그 자체를 위한 지식이라는 지성주의의 이상을 거부한다. 그들에게 지식은 행동의 기반으로서만 가치있는 것이고 그 자체로는 별 가치가 없다고 여겨지며, 무언가를 아는 것보다 자신이 어떻게 느끼는가를 훨씬 중시한다."
 
Social Sciences as Sorcery (1972)에서 사회학자 스타니슬라프 안드레스키(Stanislav Andreski)는 일반인들에게 사회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심스러운 주장을 하며 [[권위에 호소하는 논증|권위에의 호소]]를 행하는 지식인들을 불신해야 한다고 다음과 같이 주장하였다: "유명한 출판사에서 찍혀 나왔다는 사실이나 저자가 출판한 양이 많다는 사실을 중요히 생각할 필요는 없다. ... 출판사는 인쇄기를 바쁘게 유지하기를 원하며, 말도 안 되는 것이라도 판매할 수 있다면 반대하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하라."
 
Science and Relativism: Some Key Controversie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1990)에서 과학철학자이자 인식론자인 [[래리 라우든]]은 미국 대학에서 가르치는 지배적인 유형의 철학([[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을 반지성주의의 대표로 지적하며, "사실과 증거가 중요하다는 생각을 모든 것이 주관적 관점으로 귀결된다는 이념으로 대체하는 것은 미국의 정치 캠페인에 버금가는 현대 반지성주의의 가장 두드러지고 치명적인 징후"라고 표현하였다.
 
== 관련 사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