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m 모바일 웹
1번째 줄:
백승훈의 똥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조선시대 백호의 전설 중 승훈이의 똥에 영혼이 깃들어 백호가 되었다는 내용이 있다
{{다른 뜻||서쪽을 관장하는 전설의 동물}}
백승훈은 못생겼다
{{구별|흰호랑이}}
[[파일:Asuka Byako.JPEG|섬네일|230픽셀|백호의 모습.]]
'''백호'''(白虎, {{llang|en|White Tiger}})는 [[사신 (신화)|사신]](四神) 중 하나로, [[서쪽]](西)을 관장하고 있다. 또한 [[벽화]]에 그려지는 백호는 일반적으로 [[용]]의 모습, 또는 [[흰호랑이]]의 머리에 [[용]]의 몸통으로 그려진다. 백호를 [[용]]처럼 생각한 상상력은 용이 하늘과 바다를 거침없이 다니고, 비나 구름을 자유자재로 운용하는 영험한 힘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ref>{{웹 인용|url=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8840&docId=3574614&categoryId=58854|제목=백호|언어=ko|확인날짜=2021-03-28}}</ref> 백호를 용처럼 그린 현상은 [[고려시대]]에까지 이어진다.<ref>{{웹 인용|url=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8840&docId=3574614&categoryId=58854|제목=백호|언어=ko|확인날짜=2021-03-28}}</ref> 조선 시대에는 실제 [[흰호랑이]]가 그려지기도 하였다.
 
오행 중에서는 [[쇠]](金)를 상징하며, 계절 중에서는 [[가을]]을 관장한다. [[동아시아의 별자리]]에서는 규·루·위·묘·필·자·삼수의 7개 [[별자리]] 영역이 이에 속한다. 그리고 미래를 봐서 세계를 지키고 바람을 가르는 빠른 속도로 달리다.
 
[[승훈이 얼굴]]에는 [[못생김]]이 그려져 있다. 또한 조선 [[승민이]의 서쪽 귀인 달팽이관에도 귀지가 있다.
 
== 고분 벽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