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영어판 분류 정보를 이용.+분류:15세기 초상화; 예쁘게 바꿈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m 모바일 웹
1번째 줄:
알고 싶으면 알아서 하세요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예술품 정보
| 그림=Van Eyck - Arnolfini Portrait.jpg
| 제목=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화
| 작가=얀 판 에이크
| 제작연도=1434
| 매체=[[참나무속|오크]] 화판에 [[유화]]
| 세로=82.2
| 가로=60
| 소장=런던 내셔널 갤러리
}}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화〉'''({{llang|nl|Portret van Giovanni Arnolfini en zijn vrouw}})은 1434년 초기 네덜란드 미술의 거장 [[얀 판 에이크]]가 [[오크]] 화판에 [[유화]]로 그린 그림이다. 〈아르놀피니의 결혼〉, 〈아르놀피니 부부의 결혼식〉, 〈아르놀피니와 그의 아내의 초상〉이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
 
실내에 있는 [[조반니 아르놀피니|조반니 디 니콜라오 아르놀피니]]와 그의 아내를 그린 [[초상화]]이며, 배경의 방은 [[플랑드르]]의 [[브루제]]에 위치한 그들의 저택으로 추정된다. 이 그림은 [[서양 미술사]]에서 여러 가지 상징이 들어간 가장 독창적이고 복합적인 그림 중 하나로 평가 받는다. 1434년과 반 에이크라는 날짜와 서명이 표시되어있으며, 자신의 형제 후베르트와 그린 《[[겐트 제단화]]》와 함께 [[템페라]] 대신 유화 물감을 쓴 그림 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유명한 그림이다. 1842년 [[런던]]의 [[내셔널 갤러리]]에서 이 그림을 구입하여 전시하고 있다.
 
그림의 세부 묘사에 쓰인 환각법은 완성될 당시에 주목을 받았으며, 특히 빛을 이용한 실내 공간의 재현은 "방에 살고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방 자체의 묘사까지 완벽한 실감이 느껴진다."는 평가를 받았다.<ref>Dunkerton, Jill, et al., ''Giotto to Dürer: Early Renaissance Painting in the National Gallery'', page 258. National Gallery Publications, 1991. {{ISBN|0-300-05070-4}}</ref>
 
예술가 [[데이비드 호크니]]와 물리학자 [[찰스 M. 팔코]]는 반 에이크가 [[카메라 옵스큐라]]와 같은 광학 장치를 사용하여 그림의 세밀한 부분까지 묘사하였다는 [[호크니-팔코 이론]]을 제시하였다.
 
== 모델의 정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