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목: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cite 태그 정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Ambox
| 종류 = content
| 그림 = [[파일:Translation to ko arrow.svg|50px|번역 직후]]
| text = '''이 문서는 번역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문서'''로, 검토와 교정이 필요합니다. {{#if:[https://en.wikipedia.org/w/index.php?title=Zygentoma&oldid=1193609673]|(원문: [https://en.wikipedia.org/w/index.php?title=Zygentoma&oldid=1193609673])| <span class="error"> &#32;[[틀:번역 직후]]의 변수 입력 오류 : 번역한 원문은 반드시 지정해야 합니다. <code>1=[번역한 원문의 URL 번역한 원문의 판 정보 등]</code> 이 양식으로 입력하십시오.</span>}}<br />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더 나은 문서를 만들어 주세요. 의견이 있으시다면 [[{{TALKPAGENAME}}|{{ns:1}} 문서]]에 남겨주시고 [{{fullurl:{{FULLPAGENAME}}|action=history}} 문서 역사]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날짜 = {{#if:2024년 2월|{{날짜|2024년 2월}}}}
}}{{일반 기타|{{날짜 정비 분류|1=번역 직후|2={{#if:2024년 2월|{{날짜|2024년 2월|연월}}}}|3=날짜 매개변수 없이 번역 직후 틀이 쓰인 글}}}}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생물 분류
줄 50 ⟶ 41:
 
=== 응집 행동 ===
과거에는 접촉[[페로몬]]이 좀목 곤충들에게서 관찰되는 응집 및 정지 행동을 담당하는 것으로 가정되었습니다가정되었다.<ref name="Woodbury-Gries-2007">{{저널 인용|제목=Pheromone-based arrestment behavior in the common silverfish, ''Lepisma saccharina'', and giant silverfish, ''Ctenolepisma longicaudata''|저널=Journal of Chemical Ecology|성=Woodbury|이름=Nathan|성2=Gries|이름2=Gerhard|날짜=2007|권=33|호=7|쪽=1351–1358|doi=10.1007/s10886-007-9303-4|pmid=17508133}}</ref> 이후 응집 행동이 페로몬에 의해 촉발되는 것이 아니라 내공생 진균인 ''Mycotypha microspora'' ([[털곰팡이목]] 계열의 한 종)와 내공생 세균인 ''Enterobacter cloacae'' ([[장내세균과]]. Enterobacteriaceae)에 의해 일어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두 생물 종 전부가 얼룩좀(''Thermobia Domestica)'' 이라는 좀벌레의 배설물에 존재한다.<ref name="Woodbury-Gries-2013a">{{저널 인용|제목=Firebrats, ''Thermobia domestica'', aggregate in response to the microbes ''Enterobacter cloacae'' and ''Mycotypha microspora''|저널=Entomologia Experimentalis et Applicata|성=Woodbury|이름=Nathan|성2=Gries|이름2=Gerhard|날짜=2013a|권=147|호=2|쪽=154–159|doi=10.1111/eea.12054}}</ref> 또한 이 좀벌레는 D-[[글루코스]] 성분을 기반으로 하는 [[다당류]]의 외부 글리코칼릭스를 기반으로 ''E. cloacae'' 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 알려졌다. ''M. microspora''는 [[셀룰로스|셀룰로스가]] 있을 때 얼룩좀에게서만 검출되며, 이는 ''M. microspora''가 발산하는 셀룰로스 소화 효소에 분해된 대사산물(예: D-포도당)이 응집 및 정지 신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ref name="Woodbury-Gries-2013c">{{저널 인용|제목=How firebrats (Thysanura: Lepismatidae) detect and nutritionally benefit from their microbial symbionts ''Enterobacter cloacae'' and ''Mycotypha microspora''|저널=Environmental Entomology|성=Woodbury|이름=Nathan|성2=Gries|이름2=Gerhard|날짜=2013c|권=42|호=5|쪽=860–867|doi=10.1603/EN13104|pmid=24331598}}</ref> 후속 연구에 따르면 [[좀]]( ''Ctenolepisma longicaudatum'')도 ''M. microspora''에 대해 반응하지만 [[양좀]](''Lepisma saccharinum)''에게서는 반응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ef name="Woodbury-Gries-2013b">{{저널 인용|제목=Fungal symbiont of firebrats (Thysanura) induces arrestment behaviour of firebrats and giant silverfish but not common silverfish|저널=Canadian Entomologist|성=Woodbury|이름=Nathan|성2=Gries|이름2=Gerhard|날짜=2013b|권=145|호=5|쪽=543–546|doi=10.4039/tce.2013.35}}</ref>
 
또한, [[전자기장|정적 전자기장]]을 갖춘 [[직류|직류식]] 저단계 [[코일|전자기 코일]]이 양좀 및 얼룩좀을 하여금 유인 또는 정지 동작을 일으키게 하도록 유도한다는 것이 밝혀졌다.<ref name="Wijenberg-eal-2013">{{저널 인용|제목=Behavioural responses of diverse insect groups to electric stimuli|저널=Entomologia Experimentalis et Applicata|성=Wijenberg|이름=Rosanna|성2=Takács|이름2=Stephen|날짜=2013|권=147|호=2|쪽=132–140|doi=10.1111/eea.12053|성3=Lam|이름3=Kevin|성4=Gries|이름4=Gerhard}}</ref> 이 행동 특성은 좀목에 대하여 제3자 시점에서는 예찰 및 방제책이 되었으며 해당 특허가 발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