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1번째 줄:
*어종영. 런닝맨 준비해요 모르겠지만 *전기가 더위가 자연재 오케이 어동생하*고 막 아빠 여기 운전 중에 하니까 연기 물 좋아.* Anda -siaulook *running Google YouTube *siauJongyoung1.. 예 여자 선배 안 알려 주고 왔으니까 선생님 노래 선배님 과 jangan duduk dalam mama 전후식과 전자식품 망해진 분 절였을 거 안 찍고 정확해 요 런닝맨 김용구 김정수 씨 조용히 있습니다 어머님 아저씨라고 오래간장으로 런닝맨 엄청 좋게 잤어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한글|언어|문자}}
{{언어 정보
|이름=한국어
|계통색=알타이
|IPA=[ha(ː)n.ɡu.ɡʌ], [ɦa(ː)n.ɡu.ɡʌ]
|그림=
|지역=[[한국]]
|나라=[[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인구=약 10,300만 명<ref name="Ethnologue">{{웹 인용 |url= http://www.ethnologue.com/language/kor |제목= Korean language |work= [[에스놀로그]] |trans_title=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date= 2010년 |accessdate= 2015-02-11}}</ref>
|민족=[[한민족]]
|어순= SOVanPo
|문자=[[한글]]{{·}}[[한국 한자|한자]]{{·}}[[한글 점자]]
|공용나라=[[대한민국]]<br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br />[[중화인민공화국]]([[옌볜 조선족 자치주]])
|표준={{국기그림|대한민국}} [[국립국어원]]<br />{{국기그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br />{{국기그림|중화인민공화국}} 중국조선어규범위원회
|계통1=[[한국어족]] 또는 고립어
|초기=[[한국조어]]<br />[[고대 한국어]]<br />([[고구려어]]·[[백제어]]·[[신라어]])<br />[[중세 한국어]]<br />([[고려어 (고대어)|고려어]]·[[조선어]])<br />[[근대 한국어]]
|iso1=ko
|iso2=kor
|iso3=kor
| lc1 = kor
| ld1 = 현대 한국어
| lc2 = jje
| ld2 = 제주어
| lc3 = okm
| ld3 = 중세 한국어
| lc4 = oko
| ld4 = 고대 한국어
| lc5 = oko
| ld5 = 한국조어
|지도= Idioma coreano.png
|지도 설명 = 한국어를 주로 사용하는 지역
}}
[[파일:Map of Korean language.png|섬네일|300px|한국어의 세계 분포를 나타낸 그림]]
 
*[KimtaeYeon...태연을보냈니오빠]세*아 아빠 걱정 말해 놓고 돈 주고 있으*면 못 했니 어쨌든 모르겠습니다 오늘 *마음이 여기서 중국 주민센터 animal *sangkar gambar main sorry *sekarang 이렇게 됐어 마음의 현실로 *오면 마 시고 요 진정역 모르겠습니다
'''한국어'''(韓國語, {{문화어|조선말}})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이다. 둘은 표기나 문법에서는 차이가 없지만 표현에서 차이가 있다.<ref>일 없습네다. 등</ref>
LMERMAN yang -jongyoung Goodbyecosmos yang -jongyoung oppa ok' jongwan 1Google YouTube
 
세계 여러 지역에 [[한민족]] 인구가 거주하게 되면서 전 세계 각지에서 한국어가 사용되고 있다. 2016년 1월 초 기준으로 한국어 사용 인구는 약 8,000만 명으로 추산된다.<ref name="Ethnologue" />
 
역사 및 현대 언어학자들은 한국어를 고립어로 분류한다.<ref name="google15">{{인용| last = Song | first = Jae Jung | year = 2005 | url = https://books.google.com/books?id=rIk52cJ1vDEC&pg=PA15 | title = The Korean language: structure, use and context | publisher = Routledge | page = 15| isbn = 978-0-415-32802-9 }}.</ref><ref>{{인용| first1 = Lyle | last1 = Campbell | first2 = Mauricio | last2 = Mixco | year = 2007 | title = A Glossary of Historical Linguistics | publisher = University of Utah Press | contribution = Korean, A language isolate | pages = 7, 90–91 | quote = most specialists... no longer believe that the... Altaic groups... are related […] Korean is often said to belong with the Altaic hypothesis, often also with Japanese, though this is not widely supported}}.</ref><ref>{{인용| first = David | last = Dalby | date = 1999{{ndash}}2000 | title = The Register of the World's Languages and Speech Communities | publisher = Linguasphere Press}}.</ref><ref>{{인용| first = Nam-Kil | last = Kim | year = 1992 | contribution = Korean | title =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Linguistics | volume = 2 | pages = 282–86 | quote = scholars have tried to establish genetic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and other languages and major language families, but with little success}}.</ref><ref>{{인용| first = András | last = Róna-Tas | year = 1998 | contribution = The Reconstruction of Proto-Turkic and the Genetic Question | title = The Turkic Languages | publisher = Routledge | pages = 67–80 | quote = [Ramstedt's comparisons of Korean and Altaic] have been heavily criticised in more recent studies, though the idea of a genetic relationship has not been totally abandoned }}.</ref><ref>{{인용| first = Claus | last = Schönig | year = 2003 | contribution = Turko-Mongolic Relations | title = The Mongolic Languages | publisher = Routledge | pages = 403–19 | quote = the 'Altaic' languages do not seem to share a common basic vocabulary of the type normally present in cases of genetic relationship}}.</ref> 그러나 한국어와 [[제주어]](제주도에서 사용되며 구별되는 것으로 간주됨)와 함께 [[한국어족]]을 구성하던 몇 개의 사어가 한 때 존재했다.<ref>{{인용| contribution = Stratification in the peopling of China: how far does the linguistic evidence match genetics and archaeology? | editor1-last = Sanchez-Mazas | editor2-last = Blench | editor3-last = Ross | editor4-last = Lin | editor5-last = Pejros | title = Human migrations in continental East Asia and Taiwan: genetic, linguistic and archaeological evidence | year = 2008 | publisher = Taylor & Francis}}</ref><ref>{{저널 인용|url=https://www.academia.edu/18764127|title=Korean as a Paleosiberian Language (English version of 원시시베리아 언어로서의 한국어)|first=Alexander|last=Vovin}}</ref> 일부 언어학자들이 한국어를 [[알타이 제어]]에 포함시켰지만 오늘날 알타이 제어설은 사전적 지지를 대부분 상실했다.{{sfnp|Cho|Whitman|2020|pp=11–12}}
 
== 한국어의 여러 명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