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고급 모바일 편집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철학자 정보
| 지역 = [[동양 철학]]
| 시대 = [[춘추 시대]]
| 색상 = lightsteelblue
| 그림 = Konfuzius-1770.jpg
| 그림설명 =
| 이름 = 공자
| 현지어표기 = 孔子
| 별명 = 구(丘), 자는 중니(仲尼)
| 출생일 = [[기원전 551년]]
| 출생지 = [[노나라]] [[취푸시|곡부]] 창평향(昌平鄕) 추읍(郰邑)
| 사망일 = [[기원전 479년]] (향년 72세)
| 사망지 = 노나라 [[취푸 시|곡부]]
| 학파 = [[유학]]
| 연구분야 = [[철학]], [[정치학]], [[윤리학]], [[법학]]
| 주요업적 = [[유교|유가]]와 [[법가]]의 공동 시조
| 영향받음 = 《[[역경]]》, 《[[예기]]》
| 영향줌 = [[맹자]], [[순자]], [[현학]], [[성리학]]을 비롯한 '''자기 이후의 동양철학 전체.''' [[프랑수아 케네|케네]], [[크리스티안 볼프|볼프]],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라이프니츠]], [[로버트 커밍스 네빌|커밍스 네빌]], [[에즈라 파운드|파운드]]
| 서명 =
| 상자너비 =
| 홈페이지 =
}}
{{유교}}
'''공자'''({{zh|c=孔子|p=Kǒngzǐ|h=쿵쯔}}) 또는 '''공부자'''({{zh|c=孔夫子|p=Kǒngfūzǐ|h=쿵푸쯔}}, {{llang|la|Confucius|[kənfjú:ʃəs] 콘푸키우스}}, [[기원전 551년]] ~ [[기원전 479년]])는 [[유교]]의 시조(始祖)인 고대 [[중국]] [[춘추시대]]의 [[정치가]]{{.cw}}[[사상가]]{{.cw}}교육자이고<ref name="글로벌-공자"/>, [[노나라]]의 문신이자 작가이면서, 시인이기도 하였다. 흔히 [[유교]]의 시조로 알려져 있으나, 어떤 관점에서 보더라도 유가의 성격이나 철학이 일반적인 종교들과 유사히 취급될 수 없다는 점에서 20세기 중반 이후에는 이처럼 호칭하는 학자는 거의 없다. 유가 사상과 [[법가]] 사상의 공동 선조였다.
 
정치적으로는 [[삼황 오제]]의 이상적 정치와 조카를 왕으로서 성실하게 보필한 [[주공 단]]의 정치 철학을 지향했다. 뜻을 펴려고 전국을 주유하였으나, 그의 논설에 귀를 기울이는 왕이 없어 말년에 고향으로 돌아와 후학 양성에 전념하다 생을 마쳤다. [[춘추시대]]에 [[서주]]의 제후국인 [[노나라]]의 무관인 [[숙량흘]]의 둘째 아들이자, [[서자]]로 태어났었다.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이다.
 
"공자(孔子)"의 호칭에서 "[[자]](子)"는 [[성인]]을 부르는 존칭이다.<ref name="글로벌-공자"/> 그 뒤 여러 번 추증되어 '''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에 추봉되었다.
 
== 생애 초반 ==
[[파일:Confucius, fresco from a Western Han tomb of Dongping County, Shandong province, China.jpg|섬네일|왼쪽|산동성 동평현(東平縣) 서한(西漢) 시기 무덤 벽화에 그려진 공자의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