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えのきだ0725(토론)의 36701724판 편집을 되돌림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21번째 줄:
{{HTML}}
'''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언어'''({{llang|en|Hyper Text Markup Language, '''HTML'''}}, {{문화어|초본문표식달기언어, 하이퍼본문표식달기언어}})는 [[웹 페이지]] 표시를 위해 개발된 지배적인 [[마크업 언어]]다. 또한, HTML은 제목, 단락, 목록 등과 같은 본문을 위한 구조적 의미를 나타내는 것뿐만 아니라 링크, 인용과 그 밖의 항목으로 [[구조적 문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미지와 객체를 내장하여 대화형 양식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HTML은 웹 페이지 콘텐츠 안의 [[괄호#꺾쇠 괄호|꺾쇠 괄호]]에 둘러싸인 "태그"로 되어있는 [[HTML 요소]] 형태로 작성한다. HTML은 [[웹 브라우저]]와 같은 HTML 처리 장치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자바스크립트]], 본문과 그 밖의 항목의 외관과 배치를 정의하는 [[CSS]] 같은 [[스크립트 언어|스크립트]]를 포함하거나 불러올 수 있다. HTML과 CSS 표준의 공동 책임자인 [[W3C]]는 명확하고 표상적인 마크업을 위하여 CSS의 사용을 권장한다.<ref name="deprecated">[http://www.w3.org/TR/html401/conform.html#deprecated HTML 4 — Conformance: requirements and recommendations]</ref>
 
== 역사 ==
=== 개발 ===
[[파일:Tim Berners-Lee April 2009.jpg|섬네일|오른쪽|[[팀 버너스리]]]]
 
1980년,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의 계약자였었던 물리학자 [[팀 버너스리]]가 HTML의 원형인 [[인콰이어]]를 제안하였다. 인콰이어는 CERN의 연구원들이 문서를 이용하고 공유하기 위한 체계였다. 1989년에 팀 버너스리는 [[인터넷]] 기반 [[하이퍼텍스트]] 체계를 제안하는 메모를 작성했다.<ref>Tim Berners-Lee, "Information Management: A Proposal." CERN (1989년 3월, 1990년 5월). [http://www.w3.org/History/1989/proposal.html W3.org]</ref> 버너스 리는 1990년 말에 HTML을 명시하고, 브라우저와 서버 소프트웨어를 작성했다. 그 해에 버너스리와 CERN 데이터 시스템 엔지니어 [[로버트 카일리아우]]와 함께 CERN측에 자금 지원을 요청하였지만, 이 프로젝트는 CERN으로부터 정식으로 채택 받지 못했다. 버너스리의 개인적인 기록<ref>팀 버너리, [http://www.w3.org/DesignIssues/ "Design Issues"]</ref>에 1990년부터 "하이퍼텍스트가 사용되는 여러 분야의 일부"를 열거했고 백과사전을 그 목록의 첫 번째로 두었다.
 
=== 최초 규격 ===
HTML 최초의 일반 공개 설명은 1991년 말에 버너스리가 처음으로 인터넷에서 문서를 "HTML 태그"(''HTML tag'')로 부르면서 시작되었다.<ref name="tagshtml" /><ref>{{웹 인용|url=http://lists.w3.org/Archives/Public/www-talk/1991SepOct/0003.html|제목=First mention of HTML Tags on the www-talk mailing list|출판사=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날짜=1991년 10월 29일|확인날짜=2010년 3월 3일|archive-date=2013년 5월 17일|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0517212901/http://lists.w3.org/Archives/Public/www-talk/1991SepOct/0003.html|url-status=}}</ref>
 
그것은 머릿글자로 이루어진 20개의 요소를 기술하였고, 상대적으로 HTML의 단순한 디자인이었다. 하이퍼링크를 제외한 HTML 태그들은 CERN 자체의 [[SGML]] 기반 문서화 포맷인 SGML [[GUID]]에 강하게 영향을 받았다. 이 요소 중 13개는 HTML 4 버전에서도 여전히 존재한다.<ref>{{웹 인용|url=http://www.w3.org/TR/1999/REC-html401-19991224/index/elements|제목=Index of elements in HTML 4|출판사=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날짜=1999년 12월 24일|확인날짜= 2010년 3월 3일}}</ref>
 
HTML은 동적인 웹 페이지의 [[웹 브라우저]]를 통한 문자와 이미지 양식이다. 문자 요소의 대부분은 1988년 ISO 기술 보고서 9537 ''SGML을 이용한 기법''에서 찾을 수 있다. 하지만 SGML 개념의 일반적인 마크업은 단지 개별 효과 보다는 요소 기반이고 또한 구조와 처리의 분리(?)(HTML은 CSS와 함께 이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해 왔다.)
 
버너스리는 [[SGML]] 응용 프로그램이 되는 HTML을 고안해야 했고 그것은 공식적으로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IETF]](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에 의하여 1993년 중반, HTML 규격에 대한 최초의 제안을 간행물로 정의했다. (버너스리와 [[덴 콘놀리]]에 의한 문법을 규정하는 SGML [[문서 형식 정의]](SGML DTD)가 포함된 [http://www.w3.org/MarkUp/draft-ietf-iiir-html-01.txt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 인터넷 초안]<ref>{{웹 인용|url=http://lists.w3.org/Archives/Public/www-talk/1991NovDec/0020.html|제목=Re: SGML/HTML docs, X Browser (archived www-talk mailing list post)|저자=[[팀 버너스리]]|날짜=1991년 12월 9일|확인날짜=2010년 3월 7일|인용=SGML은 매우 일반적입니다. HTML은 간단한 구조를 가진 하이퍼텍스트 문서에 적용된 SGML 기본 구문의 응용입니다.|archive-date=2013년 5월 20일|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0520065930/http://lists.w3.org/Archives/Public/www-talk/1991NovDec/0020.html|url-status=}}</ref>)
이 초안은 6개월 후 만료된다. 하지만 [[모자이크 (웹 브라우저)|NCSA 모자이크]] 브라우저의 인라인 이미지를 내장하는 사용자 정의 태그의 사례는 주목할 만 했고, 성공적인 [[프로토타입]]에 대한 표준을 기반한 IETF의 철학을.
<ref name="raymond">{{서적 인용|url=http://www.faqs.org/docs/artu/|chapterurl=http://www.faqs.org/docs/artu/ietf_process.html|제목=The Art of Unix Programming|성=Raymond|이름=Eric|장=IETF and the RFC Standards Process|인용문=In IETF tradition, standards have to arise from experience with a working prototype implementation — but once they become standards, code that does not conform to them is considered broken and mercilessly scrapped. …Internet-Drafts are not specifications, and software implementers and vendors are specifically barred from claiming compliance with them as if they were specifications. Internet-Drafts are focal points for discussion, usually in a working group… Once an Internet-Draft has been published with an RFC number, it is a specification to which implementers may claim conformance. It is expected that the authors of the RFC and the community at large will begin correcting the specification with field experience.|확인날짜=2010-03-12|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50317014053/http://www.faqs.org/docs/artu/|보존날짜=2005-03-17|url-status=dead}}</ref> 마찬가지로 데이브 라그렛의 경쟁 인터넷 초안인 "HTML+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포맷)"은 1993년 말에 테이블과 기입양식 같은 요소들을 이미 구현하여 표준화 제안을 했다.<ref name="html+">{{웹 인용|url=https://datatracker.ietf.org/public/idindex.cgi?command=id_detail&id=789|제목=HTML+ Internet-Draft - Abstract|인용=Browser writers are experimenting with extensions to HTML and it is now appropriate to draw these ideas together into a revised document format. The new format is designed to allow a gradual roll over from HTML, adding features like tables, captioned figures and fill-out forms for querying remote databases or mailing questionnaires.|확인날짜=2007년 6월 17일|보존url=http://arquivo.pt/wayback/20160515150537/https://datatracker.ietf.org/public/idindex.cgi?command=id_detail&id=789|보존날짜=2016년 5월 15일|url-status=dead}}</ref>
 
이후 1994년 초 HTML과 HTML+ 초안은 만료되었고, IETF는 HTML 작업 그룹을 설립해 1995년에 HTML 2.0을 완성한다. 최초의 HTML의 규격은 미래에 수행될 HTML 표준을 기반으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었다.<ref name="raymond"/>[[RFC]] 1996년에 HTML 2.0은 HTML과 HTML+ 초안의 아이디어가 포함됐다고 발표했다.<ref>
{{웹 인용|url=http://www.ietf.org/rfc/rfc1866.txt|제목=RFC 1866: Hypertext Markup Language - 2.0 - Acknowledgments|출판사=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날짜=2005년 9월 22일|확인날짜=2007년 6월 16일|인용=Since 1993, a wide variety of Internet participants have contributed to the evolution of HTML, which has included the addition of in-line images introduced by the NCSA Mosaic software for WWW. Dave Ragget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riving the forms material from the HTML+ specification. Dan Connolly and Karen Olson Muldrow rewrote the HTML Specification in 1994. The document was then edited by the HTML working group as a whole, with updates being made by Eric Schieler, Mike Knezovich, and Eric W. Sink at Spyglass, Inc. Finally, Roy Fielding restructured the entire draft into its current form.|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50305063804/http://www.ietf.org/rfc/rfc1866.txt|보존날짜=2005년 3월 5일|url-status=dead}}
</ref>
HTML 2.0 지정은 이전의 초안들로부터 새로운 버전을 구별하기 위해서였다.<ref>{{웹 인용|url=http://www.ietf.org/rfc/rfc1866.txt|제목=RFC 1866: Hypertext Markup Language - 2.0 - Introduction|출판사=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날짜=2005년 9월 22일|확인날짜=2007년 6월 16일|인용=This document thus defines an HTML 2.0 (to distinguish it from the previous informal specifications). Future (generally upwardly compatible) versions of HTML with new features will be released with higher version number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50305063804/http://www.ietf.org/rfc/rfc1866.txt|보존날짜=2005년 3월 5일|url-status=dead}}</ref>
 
게다가 IETF의 후원하에 개발은 상충하는 이해 관계 때문에 지연되었다. 1996년부터 HTML 규격은 상용 소프트웨어 제작사의 투입으로 [[W3C|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에서 유지해 왔다.<ref name="raggett">{{서적 인용|이름=Dave|성=Raggett|제목=Raggett on HTML 4|연도=1998|url=http://www.w3.org/People/Raggett/book4/ch02.html|확인날짜=2007년 7월 9일}}</ref> 하지만 2000년부터 HTML 또한 국제 표준([[ISO]]/IEC 15445:2000)이 되었다. 현재 W3C에 의해 발표된 최신 규격은 1999년 말에 발표된 HTML 4.01 권고안이며 2001년에 문제와 오류들이 수정되어 발표된 안이 최종 승인되었다.
 
=== 표준 버전의 역사 ===
 
==== HTML 버전 스케줄 ====
; 1995년 11월 24일: HTML 2.0이 [[IETF]]의 RFC 1866<nowiki/>로 발표되었다. 추보의 [[RFC]]의 추가된 기능:
:* 1995년 11월 25일: RFC 1867 (양식 기반 파일 업로드)
:* 1996년 5월: RFC 1942 (테이블)
:* 1996년 8월: RFC 1980 (클라이언트 측 이미지맵)
:* 1997년 1월: <nowiki>RFC 2070</nowiki> ([[국제화와 지역화|국제화]])
: 2000년 6월, 이 모든 것들이 RFC 2854에 의하여 더 이상 쓰이지 않고 역사적인 것으로 선언됨.
; 1997년 1월: HTML 3.2<ref>{{웹 인용|url=http://www.w3.org/TR/REC-html32 |제목=HTML 3.2 Reference Specification |출판사=World Wide Web Consortium |날짜=1997년 1월 14일 |확인날짜=2010년 3월 3일}}</ref> 가 W3C 권고안으로 발표되었다. 이것은 1996년 9월에 폐쇄한 HTML 작업 그룹인 IETF와 같이 W3C에 의하여 배타적으로 개발되고 표준화된 첫 번째 버전이다.<ref>{{웹 인용|url=http://www.w3.org/MarkUp/HTML-WG/|제목=IETF HTML WG|확인날짜=2007년 6월 16일|인용=주: 이 작업그룹은 폐쇄되었다.}}</ref>
:HTML 3.2에서 여러 종류의 겹치는 확장 수학 수식을 완전히 제외 시키고 넷스케이프의 비주얼 마크업 태그의 대다수를 채택했다. 넷스케이프의 [[블링크 요소]]와 마이크로소프트의 [[마퀴 요소]]는 두 회사의 상호 협의 하에 누락시켰다.<ref name="raggett"/> HTML에서 수학적 수식과 비슷한 마크업은 이후 [[MathML]]이 나올 때까지 14개월 동안 표준이 아니었다.
; 1997년 12월: HTML 4.0<ref>{{웹 인용|url=http://www.w3.org/TR/REC-html40-971218/ |제목=HTML 4.0 Specification |출판사=W3C |날짜=1997년 12월 18일 |확인날짜=2010년 3월 4일}}</ref>
이 W3C 권고안으로 출시되었다. HTML 4.0은 세 가지 문서 형태를 제공한다:
:* Strict(엄격): 사용이 중지된 요소를 금지한다.
:* Transitional(변이): 사용이 중지된 요소를 허용한다.
:* Frameset(프레임셋): 대부분 [[HTML 요소#프레임|프레임]] 관련 요소에서만 허용한다.
: 처음에 코드네임 "쿠가"<ref name="engelfriet">{{웹 인용
|url=http://htmlhelp.com/reference/wilbur/intro.html
|제목=Introduction to Wilbur
|저자=Arnoud Engelfriet
|출판사=Web Design Group
|확인날짜=2007년 6월 16일}}</ref>에서 HTML 4.0은 다양한 브라우저 특정 요소의 종류와 속성을 채택하였지만 동시에 스타일시트에 찬성하는 세력의 반대로 넷스케이프의 시각적 마크업 기능을 단계적으로 제거하기로 했다. HTML 4는 ISO 8879 - SGML에 따른 SGML 응용 프로그래밍 언어다.<ref>{{웹 인용|url=http://www.w3.org/TR/html4/conform.html#h-4.2 |제목=HTML 4 - 4 Conformance: requirements and recommendations |확인날짜=2010년 3월 4일}}</ref>
; 1998년 4월: HTML 4.0<ref>{{웹 인용|url=http://www.w3.org/TR/1998/REC-html40-19980424/ |제목=HTML 4.0 Specification |출판사=W3C |날짜=1998년 4월 24일 |확인날짜=2010년 3월 12일}}</ref>
이 버전이 증가되지 않고 조금 수정되어 재발표되었다.
; 1999년 12월: HTML 4.01<ref>{{웹 인용|url=http://www.w3.org/TR/html401/ |제목=HTML 4.01 Specification |출판사=World Wide Web Consortium |날짜=1999년 12월 24일 |확인날짜=2010년 3월 4일}}</ref>
이 W3C 권고안으로 출시되었다. HTML 4.0과 마찬가지로 세 가지 문서 형태를 제공한다. 그리고 2001년 5월 12일에 그것에 대한 최종 [http://www.w3.org/MarkUp/html4-updates/errata 오류 수정 사항] 이 발표되었다.
; 2000년 5월: [[ISO/IEC 15445:2000]]<ref name="iso-html">{{웹 인용|url=http://www.iso.org/iso/iso_catalogu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27688 |제목=ISO/IEC 15445:2000 - Information technology -- Document description and processing languages --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저자=ISO |날짜=2000 |확인날짜=2010년 3월 12일}}</ref>
<ref>[https://www.cs.tcd.ie/15445/15445.HTML CS.TCD.ie]</ref> ("[[국제 표준화 기구|ISO]] HTML", HTML 4.01 Strict 기반)이 ISO/IEC 국제 표준과 함께 출시되었다. ISO에서 이 표준안은 [[ISO/IEC JTC1/SC34]] (ISO/IEC 공동 기술 위원회 1, 소위원회 34 - 문서 표현과 처리 언어)의 범위에서 떨어져 나왔다.<ref name="iso-html" />
:2008년 중반, HTML 4.01과 ISO/IEC 15445:2000은 HTML의 대부분의 최근 버전이다. XML 기반 병렬 개발 언어인 XHTML을 통해 W3C의 HTML 작업 그룹은 2000년대 초중반에 성장하였다.
 
==== HTML 초안 버전 스케줄 ====
; 1991년 10월: ''[[HTML 요소]]''<ref name="tagshtml" />: 비공식적 CERN 문서에서 12개의 HTML 태그 목록이 대중에게 언급되었다.
; 1992년 7월: 6단계 이후의 개정판과 함께 HTML DTD,[http://lists.w3.org/Archives/Public/www-talk/1992JulAug/0020.html] {{웨이백|url=http://lists.w3.org/Archives/Public/www-talk/1992JulAug/0020.html |date=20101120101957 }}의 첫 번째 비공식 초안
; 1992년 11월: HTML DTD 1.1 (1.0 대신에 1.1을 [[버전 관리 시스템|RCS]] 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첫 번째 버전 번호로 시작한다.), 비공식 초안
; 1993년 6월: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ref>[http://tools.ietf.org/html/draft-ietf-iiir-html-00 Hypertext Markup Language: A Representation of Textual Information and MetaInformation for Retrieval and Interchange]</ref>는 인터넷 초안(표준에 대한 간략한 제안)과 함께[[IETF]]IIIR 작업 그룹에 의하여 발표되었다. 그것은 한 달 후 IETF에 의해 [http://tools.ietf.org/html/draft-ietf-html-spec-00] 6가지 추가 초안을 더한 두 번째 버전 [http://www.w3.org/MarkUp/draft-ietf-iiir-html-01.txt]으로 대체되었고 결국 HTML 2.0이 RFC1866을 주도했다.
; 1993년 11월: HTML+가 인터넷 초안과 함께 IETF에 의하여 출시되었고, HTML 초안과의 경쟁을 제안하였다. 1994년 5월 HTML+는 만료되었다.
; 1995년 4월 (1995년 3월에 저술): HTML 3.0<ref>{{웹 인용|url=http://www.w3.org/MarkUp/html3/ |제목=HTML 3.0 Draft (Expired!) Materials |출판사=World Wide Web Consortium |날짜=1995년 12월 21일|확인날짜=2010년 3월 4일}}</ref> 이 IETF 표준안으로 제안되었지만 이 제안은 이후 5개월 동안 진전이 없어서 만료되었다. 여기에는 [[데이브 라겟]]의 HTML+ 제안의 표와 복잡한 수학적 수식을 표시를 지원하는 것과 같은 특성의 상당부분을 포함했다.<ref>{{웹 인용
|url=http://www.w3.org/MarkUp/html3/CoverPage
|제목=HyperText Markup Language Specification Version 3.0
|확인날짜=2007년 6월 16일}}</ref>
:W3C는 HTML3와 CSS를 지원하는 시험하기 위하여 자체적으로 [[아레나 브라우저]]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HTML 3.0은 여러 이유로 성공하지 못했다.
; 2008년 1월: [[HTML 5]]<ref>{{웹 인용|url=http://www.w3.org/TR/html5/ |제목=HTML 5 |출판사=World Wide Web Consortium |날짜=2008년 6월 10일 |확인날짜=2010년 3월 4일}}</ref> 초안 작업은 W3C에 의해 발표되었다.
 
: 비록 문법은 SGML의 문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만, [[HTML 5]]는 난해한 SGML 문법과 호환되지 않는다. 그리고 HTML 5를 "html" 시리즈라고 명시적으로 정의되었다.<ref>{{웹 인용|url=http://www.w3.org/QA/2008/01/html5-is-html-and-xml.html |제목=HTML 5, one vocabulary, two serializations|확인날짜=2010년 3월 4일}}</ref>
 
==== XHTML 버전 ====
{{본문|XHTML}}
XHTML은 [[XML]] 1.0을 이용하여 HTML 4.01을 새로 만든 독립된 언어다.
 
* XHTML 1.0<ref>{{웹 인용|url=http://www.w3.org/TR/xhtml1/ |제목=XHTML 1.0: The 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 (Second Edition) |출판사=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 |날짜=2000년 1월 26일 |확인날짜=2010년 3월 7일}}</ref> 은 2000년 1월 26일에 W3C 권고안으로 발표되었다. 이후 2002년 8월 1일에 개정과 재발표를 하였다. 이것은 XML에 관하여 새로 작성된 HTML 4.0 과 HTML 4.01 같이 세가지 문서 형태를 사소한 규약과 함께 제공한다.
* XHTML 1.1<ref>{{웹 인용|url=http://www.w3.org/TR/xhtml11/ |제목=XHTML 1.1 - Module-based XHTML - Second Edition |출판사=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 |날짜=2007년 2월 16일|확인날짜=2010년 3월 7일}}</ref> 2001년 5월 31일에 W3C 권고안으로 발표되었다. 그것은 XHTML 1.0 strict 기반이지만 사소한 변경 사항과 사용자 정의 기능을 포함하고, [http://www.w3.org/TR/xhtml-modularization/ XHTML의 모듈화] 으로부터 모듈을 이용하여 새로 작성되었다.
* XHTML 2.0<ref>{{웹 인용|url=http://www.w3.org/TR/xhtml2/ |제목=XHTML 2.0 |출판사=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날짜=2006년 7월 26일 |확인날짜=2010년 3월 7일}}</ref> 은 아직까지 W3C 작업 초안이다. W3C는 2009년 말까지 XHTML 2 그룹을 중단한다고 발표하였다.<ref>{{웹 인용|url=http://www.w3.org/News/2009#item119 |제목=XHTML 2 Working Group Expected to Stop Work End of 2009, W3C to Increase Resources on HTML 5 |출판사=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날짜=2009년 7월 17일|확인날짜=2010년 3월 7일}}</ref>. 그러므로 XHTML 2.0 표준은 사라질 것이다. XHTML은 XHTML 1.x와 호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XHTML 1.0에서 업데이트된 것 보다 XHTML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언어가 특성이 더 정확해진다.
* XHTML5는 HTML 5 초안에서 [[HTML 5]]와 함께 정의되었다.<ref>{{웹 인용|url=http://www.w3.org/html/wg/html5/ |제목=HTML 5 |출판사=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 |날짜=2008년 10월 24일|확인날짜=2010년 3월 7일}}</ref>
 
== 마크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