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Krystalsky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끈기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수동 되돌리기 되돌려진 기여
11번째 줄:
| 전임 = [[황낙주]]
| 후임 = [[박준규 (1925년)|박준규]]
| 본관 = [[신 안동 김씨|안동]](安東)<ref>판관공파(判官公派)-예의소승공파(禮儀少丞公派) 27세손 한(漢) 항렬.</ref>
| 학력 = [[대구초등학교|대구국민학교]] 졸업<br />[[경북중학교]] 졸업<br />[[대구고등학교]] 졸업<br />[[영남대학교]] 법학 학사<br />[[듀크대학교]] 법학 석사<br />[[경남대학교]] 정치학 명예박사<br />[[영남대학교]] 법학 명예박사
| 부모 = 아버지: 김성진, 어머니: [[성주 이씨]]
20번째 줄:
| 의원 대수 = 7·8·9·10·12·15
| 서훈 = [[훈일등욱일대수장|훈1등 욱일대수장]]<br />[[국민훈장|국민훈장 무궁화장]]
| 종교 =
| 종교 = [[무종교]]<ref>비서들이 현재 종교가 없으시다고 밝혔다.</ref>
}}
 
'''김수한'''(金守漢, [[1928년]] [[8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고위정치인이다. 제7·8·9·10·12·15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장]]이다.
 
== 학력 ==
32번째 줄:
* [[2010년]] [[경남대학교]] ([[정치학]] / [[명예박사]])
* [[2014년]] [[영남대학교]] ([[법학]] / [[명예박사]])
 
== 생애 ==
1928년, 김성진과 성주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경순왕]](敬順王)의 재종질(再從姪) [[김선평]]의 27세손이다. 조부대에 이르기까지 하인들을 소유했으나 해방시켜 주었다.
 
[[대구초등학교|대구국민학교]], [[경북중학교]], [[대구고등학교]], [[영남대학교]] 법학 학사를 졸업했다.
 
1950년, 6.25 전쟁이 일어나자 [[김영삼]]과 같이 학도병으로 [[6.25 전쟁]]을 치루었다. [[김영삼]] [[대통령]]과 함께 금융실명제 도입 등을 개혁했으며, 정치, 경제, 사회의 국가 체제를 정착하게 하였다.
 
1958년, [[국회의원|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북도 대구시 병 선거구에 민주혁신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자유당 이우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사회대중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민주당 임문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3년, [[국회의원|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 후보로 경상북도 대구시 동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이원만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통합야당 민중당에 속했다가 1966년 신한당 분당시 따라갔다. 1967년 [[국회의원|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70년부터 1972년까지 신민당 대변인을 역임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진산 파동 때는 [[유진산|유진산계]]에 속하였다.
 
1973년, [[국회의원|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제2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정희섭]]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이후 [[이충환]]의 혁진회에 속하였다. 1978년, [[국회의원|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관악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정희섭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0년 여름, [[신군부]]에 의해 모처로 끌려가서 구금당하고 강제로 의원직 사퇴서를 제출해야 했다. 그리고 정치규제를 당했다가 1984년 해금되었다. 1985년 [[국회의원|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임철순]]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7년 [[통일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였다.
 
1988년, [[국회의원|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평화민주당 이해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2년 [[선거|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역시 민주당 이해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6년, [[국회의원|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98년까지 제15대 [[국회의장]](국가 서열 2위)을 역임하였다.
 
1998년,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서훈하였다.
 
제2공화국 때 혁신계, 민주혁신당-신민당 강경파로 활동했으며, 새누리당과 한국 메인스트림 계열에서 보기 드문 [[사회주의]] 일본사회당-사회민주당으로 한일 협력에 기여를 하며 국가 체제를 앞당겼다.
 
== 경력 ==
줄 91 ⟶ 68:
 
== 가족 관계 ==
* 아버지: 김성진 - 법조인(대표변호사)
* 어머니: [[성주 이씨]] - 이언충 [[종2품]] [[형조참판]]의 직계손
** 장인: 신금석(愼金石) - 법조인(대표변호사)
** 장모: [[경주 김씨]] 김남현(金湳鉉)의 딸, 김부 [[정1품]] [[좌의정]]의 직계손
*** 처형: 신영희(愼英姬)
*** 손위동서: [[김우경 (1931년)|김우경]] - 교육자정치인, 제6대 국회의원(비례대표)
*** 부인: 신금호 - [[거창 신씨]] 신금석의 둘째 딸
**** 장남: [[김성동 (1954년)|김성동]] - 교육자정치인, 제18대 국회의원(비례대표)
***** 손자: 김유현 - 법조인(대표변호사)
 
== 그외 것들 ==
* 1999년 [[훈일등욱일대수장|훈1등 욱일대수장]]을 [[일본 황실]]로부터 서훈했다. [[훈일등욱일대수장|훈1등 욱일대수장]]의 서훈자는 [[황족]]([[메이지 천황]], [[아리스가와노미야 다케히토]] 등), [[공작]]([[이와쿠라 도모미]], [[산조 사네토미]] 등) 등의 [[군주]]나 [[화족]]이다.
 
* [[장쩌민]] [[중화인민공화국]] 제4대 [[국가주석]]과 친분이 깊었다. 1999년 [[장쩌민]] [[중화인민공화국]] 제4대 [[국가주석]]의 종교 탄압이 시행되면서 [[파룬궁|파룬궁 탄압]]이 시행되어 공식적으로 수십만 명이 죽었고, 100만여 명이 죽은 것으로 집계되었다.<ref>{{웹 인용|url=https://kaeot.org/202/?q=YToy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zOjQ6InBhZ2UiO2k6Mzt9&bmode=view&idx=13669395&t=board|제목=ETAC 파룬궁 수련자 장기적출을 처음 지시했던 장쩌민 공산당 전 주석 사망|언어=ko|확인날짜=2022-12-14}}</ref> 이후 관계를 절연하게 되었다.
 
* [[김종필]] 제11·31대 [[국무총리]]와 친분이 깊었다.<ref>{{웹 인용|url=https://imnews.imbc.com/replay/1996/nwdesk/article/2011056_30712.html|제목=김수한 국회의장.이수성국무총리.김종필 총재등 골프 회동[김석진]|언어=ko|확인날짜=1996-10-20}}</ref><ref>{{웹 인용|url=https://www.joongang.co.kr/amparticle/3610977|제목=김수한 국회의장, 표흐름에 큰영향…김종필총리안 정국 새변수|언어=ko|확인날짜=1998-03-02}}</ref>
 
* 1998년, 김수한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장]]을 경호하는 경호관의 수는 1백여 명에 달했다.<ref>{{웹 인용|url=https://m.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929409051|제목=Rank-order in Nietzsche's ‘Great Politics’|언어=ko|확인날짜=2014-02-14}}</ref>
 
==역대 선거 결과==
줄 123 ⟶ 92:
{{선거기록/KR/개인|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5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틀:제15대 비례대표 신한국당|전국구]] | 신한국당 | 6,783,730표| 34.5 | 전국구 6번 | 당선 | 6선 }}
{{선거기록 끝}}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전임후임
|전임자 = [[황낙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