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89번째 줄:
35편의 《대화편》과 13편의 서간은 전통적으로 플라톤의 것으로 여겨졌으나 현대 학자들은 최소한 일부 저작에 대해서는 진위 여부를 의심하고 있다. 플라톤의 저작은 여러 방식으로 간행된 바 있는데, 그에 따라 플라톤의 글을 명명하고 배열하는 방식도 여러 가지가 되었다.
 
플라톤의 글을 분류하는 일반적인 방식은 16세기 [[앙리 에티엔]](헨리쿠스 스테파누스)의 플라톤 판본에서 비롯되었다.
 
또 플라톤의 글을 배열하는 방식으로 [[4부극]]에4부극에 따르는 전통이 있었는데,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는 이 방식이 고대의 학자이자 [[티베리우스]] 황제의 궁정 점성가였던 [[트라쉬불로스]]의 것이라고 여겼다.
 
아래 플라톤의 저작 목록에서 학자간에 플라톤이 쓴 글인지 합의가 되어 있지 않은 책은 (1) 표시를, 그리고 일반적으로 플라톤의 저작이 아닌 것으로 여겨지는 책은 (2) 표시를 달았다. 표시가 없는 저작은 플라톤이 쓴 것으로 여겨진다.
 
:I. [[에우튀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II. [[크라튈로스]], [[테아이테토스 (플라톤)|테아이테토스]], [[소피스트 (플라톤)|소피스트]], [[정치가 (플라톤)|정치가]]
:III. [[파르메니데스 (플라톤)|파르메니데스]], [[필레보스]], [[향연]], [[파이드로스 (플라톤)|파이드로스]]
:IV. [[알키비아데스 1]] (1), [[알키비아데스 2]] (2), [[히파르코스 (플라톤)|히파르코스]] (2), [[에라스타이]] (2)
:V. [[테아게스]] (2), [[카르미데스]], [[라케스]], [[뤼시스 (플라톤)|뤼시스]]
:VI. [[에우튀데모스]], [[프로타고라스 (플라톤)|프로타고라스]], [[고르기아스 (플라톤)|고르기아스]], [[메논]]
:VII. [[대 히피아스]] (1), [[소 히피아스]], [[이온 (플라톤)|이온]], [[메넥세노스]]
:VIII. [[클레이토폰]] (1), [[국가 (플라톤)|국가]], [[티마이오스 (플라톤)|티마이오스]], [[크리티아스 (플라톤)|크리티아스]]
:IX. [[미노스 (플라톤)|미노스]] (2), [[법률 (플라톤)|법률]], [[에피노미스]] (2), [[편지들 (플라톤)|편지들]] (1)
 
그 밖에 저작은 플라톤의 이름을 빌었으나 상당수는 고대에 이미 위작으로 여겨졌으며, 트라쉴로스는 자신의 4부극식 저작 배열에서 이런 류를 넣지 않았다. 아래 작품은 "위작"(Notheuomenoi) 또는 "위서"(Apocrypha)라 불린다.
 
: [[악시오코스 (플라톤)|악시오코스]] (2), [[정의 (플라톤)|정의]] (2), [[데모도코스 (플라톤)|데모도코스]], [[ (플라톤)|시]], [[에뤽시아스 (플라톤)|에뤽시아스]] (2), [[할퀴온 (플라톤)|할퀴온]] (2), [[올바름에 대하여]] (2), [[덕에 대하여]] (2), [[시쉬포스 (플라톤)|시쉬포스]] (2)
 
== 한국어 번역 ==